View : 7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효진-
dc.creator백효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8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3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4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30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경기도 일개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 우울 정도와 신체화 증상 정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우울 정도와 신체화 증상 정도의 관계를 확인하여 노인 건강관리의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60세 이상 노인으로, 2단계 BK21 핵심 사업팀의 연구 사업인 노인의 건강관련특성 DB구축프로젝트에서 수집된 자료를 해당 연구 책임자의 동의하에 우울과 신체화 증상과 관련된 변수를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한 것이다. 총 대상자 303명 중 정신질환 및 치매를 진단받았다고 보고한 10명을 제외하여 293명으로 했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6년 9월 10일부터 2007년 3월 30일까지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읽어주고 응답하도록 했다. 연구의 도구는 일반적 특성 5문항, 한국형 노인 우울척도 30문항, 신체화 증상 측정도구 13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총 48문항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우울 정도는 평균 점수가 10.92(SD=6.38)로 나타났으며, 우울 정도에 따라서는 67.6%가 정상이었으나, 17.7%가 경증의 우울, 6.8%가 중등도의 우울, 7.8%가 중증의 우울이 나타났다. 2. 연구 대상자의 신체화 증상 정도는 평균 점수가 5.079(SD=3.933)로 나타났으며, 신체화 증상 정도에 따라서는 61.1%가 낮은 신체화 증상, 25.3%가 중정도의 신체화 증상, 13.7%가 높은 정도의 신체화 증상을 호소했다. 3. 우울 정도는 교육정도(p=.048), 가정의 월평균수입(p=.001)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신체화 증상 정도는 성별(p=.000), 결혼상태(p=.011)과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4. 연구 대상자의 우울 정도는 신체화 증상 정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 정상집단에 비해 경증의 우울인 집단과 중증의 우울인 집단이 신체화 증상 정도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노인의 우울 정도는 교육정도, 가정의 월평균 수입과, 신체화 증상 정도는 성별, 결혼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우울 정도가 심할수록 신체화 증상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재가 노인 뿐 아니라 입원 노인을 포함하여 노인의 우울 및 신체화 증상에 대한 확대 및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노인의 신체화 증상과 관련한 주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of the elderly that lives in medium to small town cit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of the elderly's health management. The study subjects were over 60 years old, and the data were chosen from the large dataset on health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for the Second Phase of Brain Korea 21,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variables related to the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under the consent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tudy. Among 303 subjects in total, the subjects were 293 excluding 10 reported to have been diagnosed for psychological disease or dementia. The duration of data collection was from the 10th of September in 2006 to 30th of March in 2007 and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using th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48 items: 5 about demographic variables, 30 about Korean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and 13 about Patient Health Questionnaire(PHQ).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ies, percentages, mean,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OVA and Scheffe's test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total of 293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73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was 58.0%. 64.5% of the participants were none or elementary school graduates. In addition, 34.8% of the subjects were 500-1,000 thousand won in monthly income. 2.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for the study subjects was 10.92(SD=6.38). While 67.6% were normal in the level of depression, 17.7% were mild depression, 6.8% were moderate depression, and 7.8% were severe depression. 3. The mean score of somatic symptom for the study subjects was 5.079(SD=3.933). While 61.1% had mild somatic symptoms, 25.3% had moderate somatic symptoms, and 13.7% had severe somatic symptoms. 4. The level of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education(p=.048) and a family's monthly average income(p=.001), and the level of somatic symptom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p=.000) and marital status(p=.011). 5. The level of depression for the study subjec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evel of somatic symptoms(p=.000), an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mild and severe depression had higher level of somatic sympt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education, a family's monthly average income, and the level of somatic symptoms show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nd marital status in terms of level of depression for the elderly. Based on such results, more studies need to be made on expansion and repetition of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of the elderly including not only those at home, but also who are hospitalized. Also, more studies must be made concerning main factors related to the somatic symptoms of the elder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Ⅱ. 문헌고찰 = 5 A. 노인의 우울 = 5 B. 노인의 신체화 증상 = 9 Ⅲ. 연구방법 = 12 A. 연구 설계 = 12 B. 연구 대상 = 12 C. 연구 도구 = 13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14 E. 자료 분석 = 15 F.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 15 G. 연구의 제한점 = 1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17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7 B. 연구 대상자의 우울 정도 = 19 C. 연구 대상자의 신체화 증상 정도 = 20 D.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와 신체화 증상 정도 = 21 E. 연구 대상자의 우울 정도와 신체화 증상 정도와의 관계 = 24 Ⅴ. 결론 및 제언 = 25 A. 결론 = 25 B. 제언 = 28 참고문헌 = 29 <부록 1> = 37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30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0-
dc.title재가노인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dc.creator.othernameBaek, Hyo-Jin-
dc.format.pageⅷ, 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