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민지-
dc.creator이민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9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4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91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tigma,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It's specifically meant to check whether attitude toward pursuing professional help played a role as an intermediary in between stigma(social stigma and self-stigma) and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The hypotheses were formulated as below: 1. An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might intermediate between social stigma and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2. An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might intermediate between self-stigma and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394 students in six four-year-course universities. They involved175 male and 219 female student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o look into their social stigma, Komiya, Good and Sherrod(2000)'s Stigma Scale for Receiving Psychological Help was employed, and Vogel, Wade and Haake(2006)'s Self-Stigma of Seeking Help was adopted to evaluate their self-stigma. To assess their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Fischer and Turner(1970)'s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was utilized, and Cash, Begley, McCown and Weise(1975)'s 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Inventory was used to look into their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social stigma, self-stigma,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After their social stigma, self-stigma,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were evaluated, a structural equation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by AMOS 5.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termediated between social stigma and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Second, an attitude towardseeking professional help intermediated between self-stigma and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ose who were more aware of social stigma and self-stigma in relation to a pursuit of professional help took a more negative attitude and consequently avoide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those who were less cognizant of social stigma and self-stigma about a pursuit of professional help took a more positive attitude and tried to ask for more professional help.;이 연구는 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가 낙인(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간에 중개역할을 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는 사회적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를 중개할 것이다. 둘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는 자기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를 중개할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있는 6개의 4년제 대학교 학생 394명(남학생: 175명, 여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낙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Komiya와 Good, Sherrod(2000)가 개발한 심리적 도움을 받는 것에 대한 낙인 척도(Stigma Scale for Receiving Psychological Help)를 사용하였고, 자기 낙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Vogel과 Wade, Haake(2006)가 개발한 도움추구에 대한 자기 낙인(Self-Stigma of Seeking Help)을 사용하였으며,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Fischer와 Turner(1970)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를 사용하였고,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Cash와 Begley, McCown, Weise(1975)의 상담 의도 목록(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Inventory)을 사용하였다. 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간의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기 위해서 SPSS 12.0을 사용하였고, 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를 측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구조 방정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 방정식 모형은 AMOS 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는 사회적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를 중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는 자기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간의 관계를 중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을 높게 지각할수록,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고, 따라서 전문적 도움추구를 회피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을 낮게 지각할수록,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고, 전문적 도움추구에 더욱 접근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사회적 낙인 = 6 B. 자기 낙인 = 8 C.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 10 D.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 13 E. 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간의 관계 = 17 1. 사회적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 17 2. 자기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 21 F. 연구 가설 및 연구 모형 = 24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 대상 = 25 B. 연구 절차 = 26 C. 측정 도구 = 26 1. 사회적 낙인 척도 (Stigma Scale for Receiving Psychological Help:SSRPH) = 26 2. 자기 낙인 척도 (Self-Stigma of Seeking Help Scale: SSOSH) = 27 3.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척도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ATSPPH) = 28 4.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척도 (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Inventory:ISCI) = 30 D. 분석 방법 = 32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3 A. 상관관계 분석 = 33 B.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 34 1. 구조 모형 설정 = 34 2. 구조 모형의 적합도 분석 = 36 3. 모수 추정치 = 37 4. 중개효과 분석 = 39 Ⅴ. 결론 및 논의 = 41 참고문헌 = 47 부록 = 61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05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50-
dc.title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among Stigma,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dc.creator.othernameLee, Min Ji-
dc.format.pageⅵ,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