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영-
dc.creator박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6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4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656-
dc.description.abstractReading begins as an analysis of visual stimulus and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to determine its meaning or significance. Therefore, visual factors such as print size, word spacing and retinal place where word is presented affect reading process. Particularly, people with low vision read much more slowly than normally sighted people due to their limited visual information analysis. Although it is true that visual factors are one of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reading, the interaction of visual and 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es needs to be examined. Researches conducted in a visually limited reading situation have provided different results and the following paragraphs delineate three key conclusion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First, context effects would be less in a visually degraded reading situation because so much of cognitive capacity is used to decode the degraded visual stimulus. Secondly, when visual input is reduced, a reader would rely more on context to identify words. Lastly, visually degraded stimulus would not affect the use of context. Furthermore, the text difficulty is an another linguistic factor affecting reading process. Usually, reading speed for an easy text is faster than a difficult text and researches based on eye movement analysis illustrate that more parafoveal information is acquired when high frequency words are used or syntactic structure is not complicated. Although recent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people with low vision in the country raised the awareness of need for rehabilitation and education, only poor studies have been done about relationship between low vision and linguistic factors such as context and text difficulty within Hangul(Korean) reading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visual quality and text difficulty on context effects in Korean sentence reading by applying method of comparing reading speed of sentences and random order words.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the reading speed was faster when the given condition was with normal visual quality than poor visual quality, with easy text than difficult text, and with sentences than random order words. More importantly, the context effects(sentence gain-the ratio of reading rates for sentences to random order words) increased when the given condition was with poor visual quality than normal visual quality and with easy text than difficult text. Also,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the visual quality and text difficulty. The context effects increased more when stimuli were presented in the poor visual quality with easy text condition. Experiment 2 examined whether the result of experiment 1 replicated when the given design experienced both vision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llustrated that reading speeds as well as context effects followed the same pattern as experiment 1. The results from these two experiments were consistent with the expectation of interactive compensatory model and further indicated that readers rely more on contextual information in a visually degraded situation. The context effect was greater for the easy text, and it suggested that usefulness of context information increase upon reading easy text that contains familiar words and easy contents. The familiarity of language information operated as a context accelerating visual information process and expanded cognitive attentiveness to its surroundings. Furthermore, as the dependency on context information increased to compensate insufficient visual information in a visually degraded situation, the role of context information increased slightly for the difficult text that contains complex and unfamiliar language information. Yet, it increased greatly in familiar easy text. This research serves as the foundation of reading for people with low vision by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isual and 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 In developing rehabilitation or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reading ability, this research proposes that a practical usage of context and easy text needs to be applied.;읽기는 시각자극의 분석으로 시작하여 그 의미를 파악해가는 정보처리과정이다. 그러므로 단어의 크기, 간격, 단어가 제시되는 망막의 위치 등 시각적 요소들은 읽기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저시력자들은 시력 저하로 초기 시각정보처리가 제한되어 읽기속도가 크게 감소한다. 시각적인 요인들이 읽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에 틀림없지만 이러한 시각정보처리가 언어정보처리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관해서는 아직 이해가 부족하다. 일반적인 읽기 상황에서 맥락 정보의 제시는 단어재인이나 문장 읽기속도를 향상시킨다. 하지만 시각적 제한상황에서 맥락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서로 일관되지 않은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가설이 제기된다. 첫째, 시각 정보가 명확하지 않을 때 시각 정보 해독에 대한 인지적인 부담으로 맥락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시각 정보가 명확하지 않을 때 부족한 정보를 보상하기 위해 더욱 맥락에 의존할 것이다. 셋째, 불완전한 시각 정보는 맥락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글의 난이도는 읽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언어적인 요인인데 보통 어려운 글 보다 쉬운 글의 읽기속도가 빠르며, 안구운동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들은 고빈도 단어를 사용하거나 통사 구조가 복잡하지 않을 때 주변 정보를 더 많이 처리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최근 국내에서도 저시력자의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들의 재활과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한글 읽기 과정에서 저시력이나 시각 제한이 맥락이나 문장의 난이도와 같은 언어적 변인들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본 연구는 문장과 무선단어열의 읽기속도를 비교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한글 문장 읽기에서 시각질과 난이도에 따라 맥락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실험 1의 결과, 맥락효과는 정상 시각질보다 빈약한 시각질에서, 고난이도보다 저난이도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시각질과 난이도 간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는데 빈약한 시각질 조건에서 맥락효과의 이득이 고난이도보다 저난이도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실험 2는 한 피험자가 두 시각질을 모두 경험하도록 한 실험 설계에서 실험 1의 결과가 반복되는지 검토해 보았다. 실험 2의 결과는 실험 1과 일치하였는데, 정상 시각질보다 빈약한 시각질에서, 고난이도보다 저난이도에서 맥락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시각질과 난이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는데 맥락효과는 정상 시각질보다 빈약한 시각질에서 크며 저난이도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상호보상모델이 예측하는 바와 같이 시각질이 빈약한 읽기 상황에서 맥락 정보의 역할이 커짐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주목되는 새로운 결과는 저난이도에서 맥락효과가 더 커진다는 것인데 이는 익숙한 단어와 쉬운 내용을 포함하는 저난이도 문장 읽기는 언어 정보의 친숙함이 맥락으로 작용하여 시각정보처리를 촉진시키고 인지적인 주의력이 주변으로 확대됨으로써 맥락 정보의 유용성이 증가함을 증명한다. 또한, 시각질이 빈약할 때 부족한 시각 정보를 보상하기 위해 맥락 정보에 의존하게 되는데, 복잡하고 친숙하지 않은 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고난이도 조건보다 친숙한 저난이도 조건에서 맥락효과가 더욱 증가함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시각적 제한상황에서 한글 문장의 시각정보처리와 언어정보처리에 대한 상호작용을 검토함으로써 저시력자의 읽기 수행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이들의 읽기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활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맥락 정보의 활용 및 쉬운 문장 사용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저시력과 읽기속도 = 2 C. 읽기에서 맥락효과 = 3 1. 맥락과 단어재인 = 3 2. 맥락과 읽기속도 = 6 D. 시각적 제한상황에서 맥락효과 = 8 E. 난이도 수준에 따른 읽기 수행의 특징 및 맥락효과 = 12 F. 연구 문제 = 16 Ⅱ. 실험 1 = 17 A. 방법 = 17 1. 참가자 = 17 2. 기구 = 17 3. 재료 및 설계 = 17 4. 절차 = 19 B. 결과 = 20 1. 읽기속도 = 21 2. 맥락효과 = 23 C. 논의 = 26 Ⅲ. 실험 2 = 28 A. 방법 = 28 1. 참가자 = 28 2. 기구 = 28 3. 재료 및 설계 = 28 4. 절차 = 29 B. 결과 = 29 1. 읽기속도 = 29 2. 맥락효과 = 31 C. 논의 = 34 Ⅳ. 종합 논의 = 35 참고문헌 = 39 부록 1 = 42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38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50-
dc.title한글 문장 읽기에서 시각질과 난이도에 따른 맥락효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s of Visual Quality and Text Difficulty on Context Effects in Hangul Reading-
dc.creator.othernamePark, Yun Young-
dc.format.pageⅷ, 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