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하정-
dc.creator하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6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4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680-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우수한 여성들의 학업과 직업에서의 성취는 분명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0년 이후에 한국 사회의 우수 여성의 사회 진출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와 이를 뒷받침할 이론적 근거가 빈약한 현실이다. 따라서 우수 여성의 진로발달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06년도에 학업우수 여자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대한 양적 연구들이 일부 수행되었다. 하지만 이 연구들은 서구의 여성 진로 발달이론을 그대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우수 청소년에 대한 전반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돕기에는 제한적이라고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근거이론 접근을 사용하여 학업우수 여자청소년의 입장에서 이들의 직업결정과정 경험을 밝힘으로써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적합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외국어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 20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을 주로 사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91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과정은 ‘결정에 대한 내적 동기가 생김’과 ‘결정에 대한 외적 자극을 받음’이라는 인과적 조건과 ‘학업성취가 직업포부를 이끌어 냄’, ‘부모의 지원과 기대를 받음’ 그리고 ‘성취와 독립적 삶의 가치관이 형성됨’의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자기(self)를 실현하는 큰 포부를 품음’이라는 중심현상에 대해 ‘관심직업을 갖게 됨’, ‘진로장벽을 인식함’, 그리고 ‘자아 탄력적임’의 중재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정보를 탐색함’, ‘진로장벽에 대처함’, ‘중요한 가치기준을 세우고 적용함’, ‘부모의 의견과 조율함’, 그리고 ‘내적 수용과정을 가짐’의 전략을 사용하는 ‘탁월한 성취를 향한 자율적 길 찾아가기’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직업결정과정은 결정의 필요성인식단계, 탐색 단계, 선택단계, 부모와 조율단계, 내적수용단계, 그리고 결정 확신과 추진단계의 6단계로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인 ‘결정의 필요성인식단계’에서 참여자들은 내적, 외적으로 결정의 압력을 받음으로써 직업 결정에 대한 고민이 시작된다. 두 번째 단계인 ‘탐색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직업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찾거나 중요한 타인에게 묻거나 이전의 학교 과제로 조사한 정보를 활용해서 하나씩 검토해 나간다. 그리고 직업관련 심리검사 결과를 참조하거나 자신의 성격이나 특성들을 따져봄으로써 자신에 대한 탐색도 진행시켜 나간다. 더불어 환경적인 부분을 포함한 진로장벽과 이에 대한 대처를 함께 고려한다. 세 번째 단계인 ‘선택단계’에서 참여자들은 탐색과정의 연장선에서 자신에게 중요한 가치 기준을 정하고 여러 가지 선택 기준의 우선순위를 매기거나 여러 가지 조건들을 최대한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따져 보면서 선택을 좁혀 나간다. 네 번째 단계인 ‘부모와 조율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선택한 직업에 대해서 부모에게 말하고 부모의 승인을 구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부모의 의견을 반영한다거나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는 방식으로 어떤 합의를 이루어낸다. 부모와의 조율은 선택이전에도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참여자들은 미리 부모의 선호를 고려하기도 한다. 선택 단계와 탐색 단계 그리고 부모와 조율 단계는 상호 순환적으로 진행된다. 다섯 번째 단계인 ‘내적 수용단계’에서 참여자들은 비록 전적으로 내가 주체적으로 선택한 직업이 아닌 경우라고 해도 그 직업의 여러 좋은 점과 기대되는 긍정적인 면들을 내면화하면서 받아들이는 시간을 가진다. 이 과정은 혼자서 고민하고 해결해야하는 시간으로 이전의 여러 단계에서 어떠한 경험을 거쳐 왔는지에 따라서 또한 여러 중재적 조건에 따라서 경험의 질이 달라진다. 마지막 단계는 ‘결정 확신과 추진단계’로 최종적으로 스스로 결정했다는 자율성 인식과 결정에 대한 확신을 얻으면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공부를 열심히 하게 된다. 이와 함께 도달에 대한 불안감도 경험하는데 이러한 결과는 그 정도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났다. ‘탁월한 성취를 향한 자율적 길 찾아가기’의 유형은 자기주도 성취형, 자기선택 만족형, 현실수용 타협형, 상황의존 갈등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 성취형은 학교에서의 우수한 성취를 직업에서도 이루고자하는 큰 직업포부를 품게 된다. 이들은 관심 직업을 갖고 진로장벽 인식은 미약하며 매우 자아 탄력적이기 때문에 자신을 주체로 강한 성취를 추구한다. 적극적으로 탐색, 선택, 부모와의 조율 과정에서의 여러 전략을 수행하면서 긍정적인 내적 수용 과정을 가진다. 그 결과 직업결정에 대한 확신을 얻고 자율과 성장을 얻으며 자율적으로 공부를 더 열심히 하게 된다. 한편 이들의 성취 자신감과 자율적이고 적극적인 성향은 도달에 대한 불안감을 가장 낮게 경험하도록 해 준다. 자기선택 만족형은 자신들의 관심분야가 뚜렷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소질과 관심 직업을 살리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따라서 자신의 주체적인 선택을 중심으로 직업 탐색, 선택, 조율이 자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내적 수용 과정을 진지하면서도 긍정적으로 거치면서 자신의 결정에 대해 확신을 얻고, 공부의지가 강화되며 자율과 성장을 얻는다. 반면 도달에 대한 불안함은 어느 정도 경험한다. 현실수용 타협형은 부모의 기대나 처한 상황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다. 하지만 탁월한 성취를 향한 자율적 길을 찾는 과정은 동기 강화가 강했으며 자신이 중심이 되지는 못하였지만 적극적인 태도를 취한다. 자신의 관심 직업을 뚜렷하거나 강하게 주장하기 보다는 부모의 권유나 상황적 요인, 진로 장벽을 고려하면서 부모의 의견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조율한다. 긍정적 수용과정을 경험하면서 결정 확신에 도달하고 학업성취에 대한 내적 동인도 강화된다. 미약하지만 자율과 성장을 획득하며 도달에 대한 불안함은 어느 정도 경험한다. 상황의존 갈등형은 부모의 기대나 진로장벽 등의 상황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탁월한 성취를 향한 자율적 길을 찾는 과정은 동기 강화가 약하며 자신이 중심이 되지 못하고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 이들은 내적 수용과정을 부정적으로 경험하면서 결정 확신 단계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내적 수용 과정에 오랫동안 머물면서 이전 여러 단계를 반복적으로 경험한다. 결과적으로 결정에 대한 확신이 약하고 자율과 성장을 획득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한다. 이상의 결과는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이 직업결정과정에서 여러 맥락요인들의 영향을 조절하면서 중재전략들을 활용하여 자율성을 발달시켜나가는 ‘탁월한 성취를 향한 자율적 길 찾아가기’의 과정 및 구조에 관한 이해를 밝혔다. 이는 가정, 학교, 사회, 상담 현장에서 새로운 통찰력을 갖는데 기여하며 진로지도와 상담개입의 방향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상담개입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essential experience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academically talented female students in Korean social-cultural contexts. The Strauss and Corbin's(1998) grounded theory was adopted to explore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their experienc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wenty academically talente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Grounded theory based data analyses resulted in 91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as fellows. The 'causal conditions' influencing the central phenomenon was 'Internally motivated for decision' and 'Externally influenced for decision'. The central phenomenon was 'Maintains high career aspiration for self-realization'. The contextual conditions related to 'Maintains high career aspiration for self-realization' are 'Academic achievement brings career aspiration', 'Supported and anticipated by parents', and 'Learns the value of achievement and independence'. The intervening conditions was 'Seeks for a job of interest', 'Realizes career barriers', and 'Self-resilient'. The identified actions/reactions include 'Information exploration', 'Deals with career barriers',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a standard for value', 'Harmonization with parents' opinions' and 'Internal receptive process', the result of which are 'Confirms own decision', 'Internal motivation for academic achievement is reinforced', 'Acquisition of autonomy and growth' and 'Anxious about attainment'. The core category in the experience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female students was 'The autonomous finding of the way to eminent achievement'. And Participants went through six stages with time i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e stage of awareness, the stage of exploration ,the stage of choice, the stage of compromise with parents, the stage of self-regulation and internal and acceptance, the stage of commitment and propulsion. From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re category and the other categories, hypothetical statements were generated, thus four types were derived as fellows: self-initiative achievement type, self-selective satisfaction type, reality-receptive compromise type, context-dependent conflict ty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cademically talented female students need more early specific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o assist their career developmen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a policy issue, counseling issu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문헌 고찰 = 6 A. 여성 진로발달 = 6 1. 여성 진로발달 이론 = 6 2. 여성 진로발달 연구 동향 = 9 B. 우수 여성의 진로발달 = 11 1. 교육과 직업 성취에서의 남·녀의 차이 = 11 2. 우수 여성의 사회적·심리적 발달 = 14 3. 학업성취가 우수한 여자청소년의 진로발달에 관한 최근 연구 = 16 4. 직업적으로 성공한 우수 여성 연구 = 18 C. 진로의사결정과정 = 21 1. Tiedman과 O'Hara(1963)의 진로의사결정과정 = 21 2. Harren(1979)의 진로의사결정 모형 = 22 3. Gati와 Asher(2001)의 진로결정과정 = 23 4. Germeijs와 Verschueren(2006)의 진로결정과정 연구 = 23 Ⅲ. 연구 방법 = 25 A.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 = 25 B. 연구 참여자 = 28 1. 연구 참여자 선정 = 28 2. 연구 참여자 특성 = 29 C. 연구자 준비도 및 윤리적 고려 = 30 1. 연구자 준비도 = 30 2. 윤리적 고려 = 31 D. 자료 수집 = 31 E. 자료 분석 = 34 1. 분석 단계 = 34 2. 분석 전략 = 36 Ⅳ. 연구 결과 = 38 A. 개방코딩 = 38 B. 축 코딩 = 117 1. 패러다임 모형에 의한 범주의 구조분석 = 117 2. 과정 분석 = 120 C. 선택 코딩 = 127 1. 핵심 범주 : ‘탁월한 성취를 향한 자율적 길 찾아가기’ = 127 2. 이야기 윤곽 전개 = 129 3.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진술 = 132 4. ‘탁월한 성취를 향한 자율적 길 찾아가기’의 유형 분석 = 136 D. '탁월한 성취를 향한 자율적 길 찾아가기‘의 상황모형 = 146 1. 개인 수준 = 146 2. 부모 수준 = 146 3. 사회 수준 = 147 E. 연구 결과의 평가 = 149 1. 신뢰성(credibility) = 149 2. 전이가능성(transferability) = 151 3. 의존성(dependability) = 152 4. 확증성(confirmability) = 153 Ⅴ. 논의 = 154 A. 중심현상에 대한 논의 = 154 B. 핵심범주에 대한 논의 = 158 C. 직업결정과정 단계에 대한 논의 및 상담 개입 = 165 D. ‘탁월한 성취를 향한 자율적 길 찾아가기’의 유형에 의한 상담 개입 = 169 Ⅵ. 결론 및 제언 = 172 A. 결론 = 172 B.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 173 C. 제언 = 174 1. 정책적 제언 = 174 2. 상담개입에 대한 제언 = 176 3.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 177 참고 문헌 = 179 부록 1 인적 사항 = 191 부록 2 면접 참여 동의서 = 192 부록 3 인터뷰 반구조화 질문지 = 193 부록 4 참여자 확인 질문지 = 194 부록 5 비참여자 평가 질문지 = 195 ABSTRACT = 1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47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50-
dc.title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과정-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Academically Talente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 A grounded theory based approach-
dc.creator.othernameHa, Jung-
dc.format.pageⅶ, 19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