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양부모 아동과 한부모 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Title
양부모 아동과 한부모 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children's stress : point of children in both parents and single parent families
Authors
이지선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Basically, human born in family and exercise human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through their processes of growth. In case of Korea, people usually recognize that standard concept of family is structured with a married couple and offsprings. However, the concept of family is changing slowly nowadays. In present, it is unacceptable to limit concept of family with old usage. Lately, people who get divorce or live as a single are increasing, and there are various conditions of family structure, such as single parent family, cohabitation family, remarried couple family, and community family instead of standard family. Thus, there is no doubt to say that the concept of family structure in the present is extending and changing. Many people still judge newly structured family with stereotype although contemporary society formate various families. Lately, the proportion of single parent is increasing; 1985: 8.9%, 1990: 7.8%, 1995: 8.6%, 2000: 9.4%. And single parent family has been taking a place as a new kind of contemporary family structure. Because of stereotype on single parent family, some people distrust family function of single parent. Moreover, some people think that children who bring up by single parent experience more stress than who bring up by both parents. However, the fact is that we have to focus on generous environment of children rather than the family structure. Many previous researches proved that factors that influence children's stress are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toward children. In this study,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between both parents family and single parent are compared and analysed; also, stress of children between both parents family and single parent family are compared and analysed. Moreover, this study validates that whether the condition of family structure(both parents family/single parent family) influences children's stress or not. In this study, the total of 1040 of 5-6th grade schoolers were participated for the survey and 1033 cases were used to analyze. Among 1033 children, 936 children have both parents and 97 children have single parent.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statistics analysis, higher officer analysis, t-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used with SPSS 13.0. The main result of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ed. 1) There is no difference in parent's rearing attitude between both parents family and single parent family. Subordinate realm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are love, hostility, autonomy, and control. In both groups(both parent family/single parent family), the average points of hostility and control realms are high, but love and autonomy realms are low. Between both family groups,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for the average points of each subordinate realm. 2) There is no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between both parents family and single parent family. Subordinate realms of social support are friend, family, and teacher. Children of single parent family feel less support from friends than children of both parents family, bu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hildren in both family groups feel the same level of family's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In both family groups, children are supported by family at the most and supported by teacher at the least. Between both family groups,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for each subordinate realm. 3) Accept the realm of home environment, the levels of children's stress are similar between both family groups in the most realms. Subordinate realms of children's stress are parents, home environment, friend, study, teacher and school, and living environment. Among these subordinate realms, children who bring up by single parent are more stressful than children who bring up by both parents in family environment. However, in the other realms than home environmen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oth family groups. 4) Factors that influence children's stress are gender of children, friend's support, family's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When a child is a boy, the stress level is high. Also, when friend's, family's and teacher's supports get higher, the children's stress get lower. Among these factors, friend's support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Next effective factors are family's, and teacher's support followed by the gender of children.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family structure(both parents family/single parent family) is not a influencing factor for children's stress level. 5) The results of each subordinate realm of children's stress are as follow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stress of parent realm are gender of the children, study, and family's support. The factors that influence home environment stress are friend's and family's support. And gender of the children and friend's support effect stress of friend realm. Stress of study realm gets influenced by gender of the children, study, rearing attitude of control, and family's support. In the case of teacher and school realm, gender of the children, friend's support, family's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affect children's stress. For stress of the living environment, living condition with grandparent, friend's support and family's support influence children's stress. Consequently, at the all subordinate realms of the children's stress, family structure(both parents family/single parent family) does not influence children's str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rearing attitude,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stress between both parents family group and single parent family group. Accordingly, people have to overcome stereotype on children who bring up by single parent; moreover, people need to adopt new kind of family structure and try to develop and improve function of newly structured family. To enhance this effort, social workers need more concern to single parent family, and government needs to promote correct understanding of single parent family to public. Home environment that is the only realm where children of single parent felt more stress than children of both parents, needs to be intervened by government, because single parent families usually experience more economical problem due to absence of one parent. As influence of social supports' on children's stress is proved in this study, social support has to be improved in various areas, such as home, school, and local community welfare center, with helpful educational welfare programs.;인간은 가족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태어나고 1차적인 인간관계를 맺으며 성장하게 된다. 한국의 경우, 오랫동안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된 가족형태를 전형적인 가족의 개념으로 인식하여왔으나,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점차 가족의 의미는 변화되어가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과거의 보편화된 개념으로 가족을 한정시키기엔 무리가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이혼, 독신, 미혼모 등의 증가로 가족의 형태는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일반가정 외에도 한부모 가족, 동거가족, 부부가족, 재혼동거가족, 공동체가족 등의 다양한 양상의 형태로 가족의 개념은 확대 변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현상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사회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한부모 가족에 대한 편견도 자리 잡고 있는데, 근래 들어 사별 및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 가족이 차지하는 비율은 1985년 8.9%, 1990년 7.8%, 1995년 8.6%, 200년 9.4%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한부모 가족은 현대사회의 한 가족형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사회에서는 과거의 인습에 얽매여 새로운 형태의 가족에 대한 편견이 팽배하다. 한부모 가족에 대한 잘못된 편견으로 일부의 사람들은 한부모 가족의 기능상의 문제를 의심하기도 하고, 한부모 가족 내에서 성장한 아동은 양부모 가족 내에서 성장한 아동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하지만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이 어떤 가족형태에서 성장했느냐를 따지기보다, 아동이 어떠한 주변 환경에서 성장하느냐에 우리는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과거 선행연구에 의하면 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임이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부모 가족 아동집단과 한부모 가족 아동집단의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를 비교분석 하였고, 또 두 집단의 아동 스트레스를 비교분석 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가족의 형태(양부모/한부모)가 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 5-6학년을 대상으로 총 1040명의 아동에게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1033명의 아동으로부터 회수된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들 1033명 중 양부모 아동은 936명이고, 한부모 아동은 97명이다. 자료를 비교분석하는데 비율의 차이가 크기는 하나, 설문을 실시하는데 있어 한부모 아동만을 선별한다는 것은 특정 집단 편견에 대한 윤리적 이슈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를 방문하여 각 학급에 전체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연구를 위한 분석단계에서 양부모 아동과 한부모 아동을 구분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부모 아동과 한부모 아동 두 집단 간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부모의 양육태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영역으로는 애정적 양육태도, 적대적 양육태도, 자율적 양육태도, 통제적 양육태도가 있다. 양부모 아동과 한부모 아동 두 집단 모두에서 부모의 적대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평균이 높았고, 애정적인 양육태도와 자율적인 양육태도에 대한 평균이 낮은 편이였다. 그리고 두 집단 간 하위영역별로 평균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양부모 아동과 한부모 아동 두 집단 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사회적 지지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으로는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가 있다. 한부모 아동 집단이 양부모 아동집단에 비해 친구들에게 지지를 덜 받는다고 느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나머지 영역인 가족지지와 교사지지에서 두 집단 간 사회적 지지는 비슷하다고 나타났다. 두 집단 공통적으로 가족지지를 가장 많이 받고 있고, 그 다음으로 친구지지, 교사지지 순으로 나열된다. 두 집단 간 하위영역별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양부모 아동과 한부모 아동 두 집단 간 아동 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아동 스트레스에는 가정환경만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동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으로는 부모영역, 가정환경영역, 친구영역, 학업영역, 교사 및 학교영역, 주변환경이 있다. 이 하위영역들 중 가정환경영역에서, 한부모 아동 집단이 양부모 아동 집단보다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머지 영역들에서는 두 집단 간 스트레스에 대한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아동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동의 성별,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로 집약된다. 아동의 성별이 남자일 때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고,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그리고 교사의 지지가 높을수록 아동의 스트레스는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 변수 중 가장 영향력이 있는 요인은 친구의 지지이고, 그 다음으로 가족지지, 교사지지, 아동의 성별 순으로 나열된다. 가족형태 요인(양부모/한부모)은 아동의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5) 아동 스트레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모영역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아동의 성별, 아동 자가 성적평가, 가족지지로 집약되고, 가정환경영역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친구지지와 가족지지이다. 친구영역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아동의 성별과 친구지지이며, 학업영역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아동의 성별, 아동 자가 성적평가, 부모의 통제적 양육태도, 가족지지로 집약된다. 그리고 교사와 학교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아동의 성별,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로 집약되며, 주변환경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조부모와의 동거여부, 친구지지 그리고 가족지지로 집약된다. 이렇듯 모든 스트레스 하위영역에서도 양부모 아동과 한부모 아동의 가족형태(양부모/한부모)는 아동의 영역별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족형태(양부모/한부모)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와 아동 스트레스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한부모 가족이 사람들의 편견에서 벗어나 다양한 현대 가족의 한 형태로서 받아들여지고, 가족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보다 성장할 수 있도록 올바른 인식의 보급을 위한 정부의 홍보와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아동 스트레스 하위영역 중 유일하게 양부모 집단과 한부모 집단 간 차이를 보인 가정환경에 대해, 한쪽 부모의 부재로 인한 보호자의 경제적 한계를 보충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아동 스트레스의 여러 영역에 걸쳐 사회적지지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런 사회적지지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사회사업부, 지역사회 사회복지관 등에 걸쳐 여러 아동의 생활영역에서 한부모 가족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제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