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은주-
dc.creator정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6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4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69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to the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who are participated in Long Term Care Insurance test service. In this paper, the factors are limited on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to explore the significant reasons to determine the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A survey of one hundred twenty eight female caregiver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 concept, the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the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they had in their minds in doing their jobs.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Minnesota Satisfaction Queries (MSQ) was used, and to figure out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each equivalent part of Professional Identity Scale was applied for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ed: First,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job satisfaction, the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the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are rather good. The satisfaction was 3.65; the belief in public service 3.81; the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3.43.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caregivers’ job satisfaction are the marital status, sex, and belief in public service. This fact shows it is statistically seemed that a caregiver who is female, married, and has a firm belief in public service is more satisfied with her job.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ed: First, it is needed for caregivers to level up their belief in public service. They directly face and carry out the service to the elders and their family members; that means their performance is the key for the success of Long Term Care Insurance. According to this research, we need to find the way to increase the standard of their belief in public service because it plays the important role in the job satisfaction. Also, it is needed to supplement the curriculum included the job identification or the specific job concept such as the belief in public service. At this moment, the education for the new caregivers focuses only on the skills which can be used for the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aper that their concept to the job influences a lot to the job satisfac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ir belief in public service by adding new curriculum. Finally, the proper working condition for caregivers needs to be offered. The working environment can affect significantly their job satisfaction, specially the extrinsic factors to the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give intense supervision, to provide comfortable and utility space in the office, to connect with community resources, and to offer consistent self-training chances.;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범사업의 방문요양 및 방문목욕 서비스에 서비스 제공자로 참여하고 있는 장기요양요원들의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과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의 수준을 조사하고, 이것이 장기요양요원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장기요양요원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소명의식을 강화하여 그것을 통해 장기요양요원의 직무만족의 수준을 높여 궁극적으로 장기요양보험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장기요양요원의 효과적인 양성과 관리에 있어서 필요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노인장기요양보험 2차 시범사업에 참여하였으며, 2007년 5월부터 시작된 3차 시범사업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장기요양요원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해 MSQ(Minnesota Satisfaction Queries)를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 중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소명의식을 조사하기 위해 전문직업적 정체성 척도 중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소명의식을 조사하는 각 5문항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와 One-way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한 변수인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소명의식, 그리고 직무만족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기요양요원이 인식하고 있는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은 3.81이고, 소명의식은 3.43, 그리고 직무만족은 내재적 직무만족이 3.80, 외재적 직무만족이 3.41, 그리고 일반적 직무만족은 3.65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소명의식, 직무만족의 수준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없었으며, 소명의식의 경우 60대의 장기요양요원이 가장 높은 3.75로 가장 높았고, 30대가 3.62로 그 다음, 그리고 40대인 장기요양요원의 소명의식 수준이 3.45, 50대가 3.32로 그 다음으로 높은 수준의 평균값을 보여주고 있으며, 20대 이하가 가장 낮은 3.00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F=3.336, p=.012). 내재적 직무만족의 경우 남성의 평균이 4.27, 여성의 평균이 3.77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t=2.219, p=.028), 일반적 직무만족의 경우 역시 남성이 4.07, 여성이 3.63으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t=2.026, p=.042) 셋째, 독립변수인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소명의식과 직무만족의 각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내재적 직무만족과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일반적 직무만족과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역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성별, 결혼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성별이었으며, 외재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상태, 그리고 일반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성별, 그리고 결혼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세히 살펴보면, 여성인 경우와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이 높은 경우 내재적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았으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외재적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았다. 또한 여성인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이 높은 경우 일반적인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요양요원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수준을 제고시켜야 한다. 장기요양요원은 이 제도의 실질적인 서비스 제공 주체로써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노령화 사회에 기여하는 바를 가장 직접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따라서 장기요양요원의 직무수행의 정도는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성공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기본이 되는 것이다. 그러한 장기요양요원들이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가 공익을 위한 가치있는 것이라 인식하고, 그것이 또한 그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결과는 장기요양요원에게 활동의 중요성과 의의를 추가로 교육해야 한다는 함의를 제시한다. 전문적인(skilled) 기술보다 자신의 직업 자체에 대한 의미와 그를 통해 사회에 공헌하고 있음을 인식하게끔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장기요양요원 양성 교육을 강화시켜야 한다. 장기요양요원의 직무 만족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기요양요원 양성교육에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이나 소명의식의 내용을 포함한 커리큘럼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장기요양요원 실무교육은 가사 및 간병 이론 및 실기 교육 쪽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일견 이러한 이론과 실기 위주의 교육이 실제 현장에서 서비스를 전달할 때에 가장 유익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자신의 활동이 공익을 위한 가치 있는 것이라 인식하고 이를 통해 장기요양요원 활동의 중요성과 의의를 가지고 서비스를 전달할 때 장기요양요원 스스로에게도 만족스럽고 요양인정자에게도 만족스러운 장기요양보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장기요양요원의 외재적 직무만족의 여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장기요양요원의 직무만족의 수준을 높이는 데 가장 기본적이고 또 효과적인 방안은 바로 외재적인 직무만족의 여건, 즉 직업의 안정성과 만족스러운 보수 수준, 적절한 복리후생의 제공 등의 여건을 충족시키는 것일 것이다. 현재는 일선 기관에서조차 장기요양요원에 대한 처우를 기존의 가정봉사원이나 기타 자원봉사자들과 유사한 수준으로 대우하고 있다. 4대 보험조차 지원하지 않는 기관이 태반이며, 유류대나 기타 활동에 필요한 비용의 지원이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정부나 건강보험공단에서 장기요양요원의 보수나 처우에 대한 규칙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나, 그러한 것은 없이 각 기관에서 기관의 형편에 맞는 대우를 해 주고 있을 뿐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장기요양요원 = 7 1. 장기요양요원의 개념 = 7 2. 장기요양요원이 제공하는 서비스 = 8 3. 장기요양요원과 관련된 정책 동향 = 10 B.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 19 1. 공공서비스의 개념 = 19 2.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의 개념 = 21 3.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에 관한 선행연구 = 23 C. 소명의식 = 25 1. 소명의식의 개념 = 25 2. 소명의식에 관한 선행연구 = 28 D. 직무만족 = 29 1. 직무만족의 개념 = 29 2.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 30 Ⅲ. 연구방법 = 34 A.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 34 B. 연구질문 및 연구모형 = 35 1. 연구질문 = 35 2. 연구모형 = 36 C. 변수의 정의 및 측정도구 = 37 1. 독립변수 = 37 2. 종속변수 = 40 D. 자료분석방법 = 41 Ⅳ. 연구결과 = 42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2 B. 측정변인의 수준 = 46 1.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 46 2. 소명의식 = 50 3. 직무만족 = 54 C. 주요 변수들의 상관관계 = 59 D. 장기요양요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 = 61 Ⅴ. 결론 = 65 A. 연구결과 = 65 B. 결론 및 논의 = 67 1. 사회복지적 함의 = 67 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72 참고문헌 = 73 설문지 = 82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585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60-
dc.title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소명의식이 장기요양요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Caregivers Participated in Long Term Care Insurance Test Service : Focused on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Sense of the Calling to the Field-
dc.creator.othernameJeong, Eun Ju-
dc.format.pagexii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