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e-learning 환경에서 대학도서관 강의지원 서비스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e-learning 환경에서 대학도서관 강의지원 서비스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rvice Management of Libraries for Academic Courses in E-learning Environment
Authors
김소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in university has changed dramatically due to the introduction of e-learning. In line with the change of the services of libraries, this study began with two aims. Firstly,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meaning and status of the current service of academic libraries in the aspect of its supporting roles for academic courses. Secondly, wi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optimal administrative plans in e-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consists of academic research, survey and case studies. The research included the definition, features of library service for academic courses and the e-learning environment in the academic level. Besides, the necessity, administrative qualifications, and types of library service for academic courses were also studied. Academic libraries in Korea were the subject for surveys and phone interviews to know the current status of library's supportive role for academic courses. Survey from academic instructors revealed the status of courses, e-learning and their perception on the supportive service from academic libraries. Additionally, the study had a case study with foreign academic libraries in U.S. and Hong Kong mainly about the administrative features of their supportive roles for courses. The surveys were conducted during April and May in 2007 to librarians in 48 university libraries and instructors in Ewha womans university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ta were analyzed by SPSS. The followings are findings from surveys about how libraries support for academic courses and how instructors conduct courses and use library services. First, reference librarians or librarians in each library department take charge of the service for courses in almost all university libraries. Subject specialists or liaison librarians take charge of the service for courses in a couple of libraries. A ratio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library and university’s administrative departments is low. Second, to provide information resources for supporting courses, many libraries participate in interlibrary loan and have a collection policy to increase multimedia materials. Some libraries have a plan to collect course materials. Half of libraries provide bibliographic software. A ratio of libraries which provide e-reserve services and additional bibliographic services of real materials is low. An aspect of facilities, many libraries have policy on organizing the space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space set up with IT equipments. Third, a large number of libraries intend to publish subject guides. Library instructions are carried out by most libraries. Many libraries conduct course-customized instructions. A few carries out course-integrated instructions and program-integrated instructions with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Online tutorial services are provided by over half of libraries mainly about library use. Forth, 68.8% of respondent universities offers e-learning. More than half of 68.8% of respondents does not provide the access point of library services to e-learning operating system. Most librarians gave affirmative answers to the necessity of service expansion for e-learning. Fifth, librarians who provide services for courses need information literacy and subject knowledge, ability to mak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instructors and university’s administrative departments. When they manage the supportive service for courses, administrative difficulties are lack of librarians or the chief librarian’s perception, lack of budget, lack of instructors’ perception according to order. Sixth, some instructors us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like presentation or discussion and give assignments that be focused on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This reveals students’ needs of library support. Instructors use materials in various forms to design curriculum. And most of them use multimedia materials in class. All respondents have an experience of e-learning and have intention of using continuously. If library resource and service links are provided for e-learning operating system, most instructors gave affirmative answers to the intension about using them.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s administrative plans of library services for academic courses like followings. First, it is required for reference librarians to take charge of supportive services for courses. And libraries are required to consist of the services team for offering the one-stop service for courses. Libraries also need to make an opportunity from these to get firmly fixed subject specialist or liaison librarian system. And the university needs to make cooperation of libraries, IT department,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and academic affairs in order to support courses effectively. Second, development of collections and subject online resources should be based on the syllabus. It should be provided with multimedia materials which are often used in class and bibliography software for managing course materials. E-reserve services and additional bibliographic services of real materials are required for users who participate in e-learning. To establish policy on collecting course materials, library's information resources should be rich. It is also necessary for libraries to provide physical facilities for teaching & learning. Third, subject guides and online tutorials should be developed relating to subjects and courses. Library instructions need to be considered as a part of coursework or separate course to make students complete for required subjects. Assignment support services are needed for instructors and students to use library efficiently. Forth, libraries in e-learning institution should provide the service access point for e-learning operating system. Currently, libraries with no service access point should make that e-learning operating system includes the library link for a default item. And integrated services are required by analyzing common course-related services within the university. Candidate integrated services are library instructions and programs of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and reserve services and syllabus input services. Fifth, the library telephone line and e-mail to support courses and feedback from users through questionnaires and discussion are required to encourage communication with users. Introduction of user-participation services like blog, wiki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eans of communicating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Marketing of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instructors, students, staffs and administrators. It would be effective to provide internet marketing like RSS, SDI and library news through e-learning homepage. And it needs to be marketed to freshmen & newly appointed professors orientations and university’s meetings.;본 연구는 e-learning으로 인해 변화된 대학의 강의 환경을 반영하여 대학도서관 강의지원 서비스의 의의와 현황을 분석하고, 현재 환경에서 요구되는 서비스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문헌연구와 현황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강의지원 서비스와 대학 e-learning 환경의 개념 및 특성을 밝히고, 강의지원 서비스의 필요성 및 운영 요건과 유형을 조사하였다. 국내 현황조사는 사서 대상 설문조사와 전화 면담을 통하여 강의지원 서비스 제공 정책과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강의자 대상 설문조사에서는 강의 운영 현황 및 강의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국외 사례연구는 e-learning에 대한 도서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강의지원 서비스 운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대학도서관 강의지원 서비스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의 대부분의 국내 대학도서관에서는 강의지원 서비스를 참고사서가 담당하거나 업무 부서별로 분담하고 있으나 주제전문사서나 리에종 사서가 담당하는 기관이 소수 있었다. e-learning 환경에서 강조되는 교내 부서와의 협력 현황은 저조하게 나타났다. 둘째, 강의를 위해 제공되는 자원과 관련하여 타기관 자료 협력 서비스와 멀티미디어자료 확충 정책을 가진 곳이 많았다. 강의생산물 수집을 계획하고 있는 기관이 상당수 있고,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제공 정책은 전체 기관의 반 정도가 가지고 있었다. 전자 지정도서 서비스와 실물자료의 서지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정책을 수립한 기관의 비율은 낮았으며, 시설공간 면에서 협력학습 공간과 정보통신기기 설비 공간에 대한 정책을 가진 곳이 많았다. 셋째, 이용지원 서비스 측면에서는 학문주제별 가이드 발행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도서관 이용자 교육은 대부분의 기관이 제공하고 있으며, 강의맞춤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이 많았고, 정규 교과과정 통합 교육과 교수학습센터 프로그램 통합 교육은 저조하게 나타났다. 도서관 이용 안내에 대한 온라인 튜토리얼 서비스는 반 이상의 기관이 제공하고 있었다. 넷째, 응답 대학의 68.8%가 e-learning을 실시하고 있었고, 이 중 e-learning 운영시스템에 도서관 서비스 접근점을 제공하지 않는 기관이 반 이상이었다. 서비스 접근점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도서관 기관 링크를 제시하는 정도였다. e-learning에 대한 강의지원 서비스 확대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의 사서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다섯째, 강의지원 서비스 담당사서는 정보원 활용능력과 특정 학문주제분야의 지식을 갖추고, 강의자 및 교내 부서와 협력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의지원 서비스 운영의 어려움은 사서 또는 도서관 경영자의 관심 부족, 예산 부족, 강의자의 인식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강의자들은 강의 준비시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사용하고, 대부분의 강의자가 수업에 멀티미디어자료를 사용하고 있었다. 응답한 강의자들은 전원이 e-learning을 활용한 경험이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e-learning 운영시스템에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링크 제공시 이용 의사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강의자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응답한 강의자들은 발표 및 토론 수업을 상당수 실시하고 있고, 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강조하는 과제를 부과하여 학생에 대한 도서관 이용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도서관 강의지원 서비스의 운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국내 대학도서관의 현 상황에서는 참고사서를 담당사서로 하고, 강의지원 서비스 팀을 구성하여 강의지원 서비스 창구를 일원화하는 것을 제안한다. 강의지원 서비스를 국내에 도입되고 있는 주제전문사서나 리에종 사서를 정착시키는 기회로 활용하도록 한다. 대학에는 도서관을 포함한 강의지원 협력체제 마련을 제안한다. 협력체제 대상은 정보통신기술 부서, 교수학습센터, 교무?학적 부서가 있다. 둘째, 강의계획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소장자료를 교과과정 중심으로 구성하면서 강의와 관련이 있는 웹 정보원을 파악하여 주제별 온라인 정보원을 확충하도록 한다. 강의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멀티미디어자료와 이용자가 강의자료를 관리할 수 있는 서지관리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도록 한다. e-learning을 활용하는 이용자를 위해 인쇄본 지정도서의 전자화 정책을 수립하고, 실물자료의 서지부가정보 서비스를 확대한다. 강의생산물의 수집 정책을 마련하여 제공 자원의 범위를 넓히도록 한다. 도서관의 교수학습 공간 지원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셋째, 주제 가이드와 온라인 튜토리얼을 학문주제분야 또는 개별 강의에 맞추어 개발해야 한다. 도서관의 이용자 교육을 정규 교과과정에 개설하거나 포함시켜 학생이 학습에 필요한 도서관 이용 교육을 필수로 이수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학생과 강의자에게 도서관의 소장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제지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소속대학에서 e-learning을 실시하는 대학도서관은 강의지원 서비스의 접근점을 e-learning 운영시스템에 제공해야 한다. 현재 도서관 서비스 접근점을 제공하지 않는 기관은 e-learning 운영시스템의 기본 메뉴로 도서관 기관 링크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 또한 교내의 강의 관련 서비스를 규명하여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도서관 이용자 교육과 교수학습센터의 강의자?학생 대상 프로그램, 지정도서 서비스와 강의계획서 입력 서비스의 통합을 우선 대상으로 제안한다. 다섯째, 이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강의지원 전용 전화선과 이메일을 개설하고, 설문조사와 간담회 등을 실시하여 이용자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얻도록 한다. 블로그, Wiki와 같은 이용자 참여형 서비스를 실시하여 사서와 이용자 간에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로를 개발하도록 한다. 강의지원 서비스 홍보는 강의자는 물론 학생, 직원, 행정가 등 교내 구성원을 포괄하여 실시해야 한다. RSS나 SDI 서비스, e-learning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홍보를 강화하고, 신입생 및 신임교수 오리엔테이션과 각종 교내 회의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홍보하도록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