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유유아의 체형특징 및 유아복 치수에 관한 연구

Title
유유아의 체형특징 및 유아복 치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body shape and apparel sizing system for infant
Authors
남재우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유유아체형특징유아복 치수의류직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출생직후부터의 신생아에서 24개월이하의 유유아를 대상으로 유유아를 직접계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유유아 체형의 대표항목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한 치수 규격을 제시하며 현행 유아복의 치수체계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계측항목은 선행연구 및 유아복 업체의 기준치수를 참고로하여 총 20항목을 선정하였고 계측치 20항목과 지수치 2항목을 분석하여 유유아의 월령별, 성별 성장양상 및 유의도, 체형 분류를 파악하고 요인 분석을 통한 유유아 체형의 대표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현재 유아복 치수체계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한국공업규격 유아복의 치수를 고찰하고 유아복 업체 3곳이 사용하고 있는 신체치수 및 제품치수를 조사, 이를 본 연구의 계측치와 비교 고찰하였다. 유유아의 체형특징 및 유아복 치수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측치를 이용한 유유아 체형분석에서 출생직후의 신생아부터 24개월이하의 유유아를 대상으로 직접 계측치를 분석하고 이를 월령별, 성별로 분석하고 유의도를 검증한 결과, 유유아의 성장은 5,6개월까지는 급진적, 그 이후의 월령에선 점진적 성장양상을 보였고 신장과 길이항목에서의 성장은 타항목에 비해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월령에 따른 유유아의 성장양상을 살펴보고 월령에 따른 계측치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Duncan-test에선 월령별, 항목별로 유의차가 인정되어 월령이 증가함에 따른 성장추세가 파악되었다. 계측항목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결과 길이항목에선 일부항목을 제외하곤 전 항목에서 중정도의 상관 또는 높은 상관을 보였고 특히 길이항목과 신장, 둘레항목과 체중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충실지수에 의한 체형분류에서 Rohrer지수의 분류결과 남녀 유유아 모두 평균체형인 B체형이 가장 많았고 Kaup 지수의 분류에서는 남아와 여아 모두 지수 19.0-15.0의 정상체형이 가장 많았다. 유유아 체형 파악을 위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계측치 및 지수치 22항목과 월령이 포함된 23항목에 대해 실시한 결과 22항목에 대한 분석에선 요인 1에는 계측항목 전 항목이 포함되었으며 공통성이 .90 이상으로 높은 항목은 신장, 체중. 머리둘레, 정강이둘레였고 요인 2에는 Rohrer 지수와 Kaup지수가 포함되었다. 23항목에 대한 분석결과는 요인 1에는 월령이 포함된 직접계측항목이 포함되었으며 공통성이 .90이상인 항목으론 신장, 체중, 정강이둘레였고 요인 2에는 두 지수치가 포함되었다. 요인분석결과 공통성이 높은 신장과 체중을 유유아의 체형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항목으로 선정하였다. 2. 유아복 치수규격을 알아보기위해 한국공업규격의 유아복 치수체계를 고찰한 결과 한국공업규격 유아복 치수 K0052-1990은 신장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고 일본 JIS L 4001-1983은 신장과 체중을 기본 신체치수로하여 유아복 치수를 설정하고 있었으며 유아복 제조 업체 3곳의 신체기준치수를 조사하여 본 연구의 직접 계측치와 업체의 호칭별 신체기준치수와 비교한 결과 본 연구의 직접계측치가 업체의 신체기준치수보다 전부위에 걸쳐 우세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현재 유아복 제조 업체의 신체기준치수는 대한소아과학회의 1985년도의 자료를 바탕으로 삼고 있어 유유아의 성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로 생각되어진다. 유아복 업체의 제품치수를 원피스형과 투피스형으로 나누어 직접계측하고 본 연구의 계측치와 비교한 결과 제품치수끼리의 비교에선 업체에 따라 계측부위와 호칭에 따라 편차가 나타났다. 계측치와 제품치와의 비교결과 호칭에 따른 제품치와 계측치의 편차가 다르게 나타나 현재 유아복의 치수는 월령에 따른 유유아의 성장량을 고려하지 않고 유유아의 성장량이 신체부위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에 대한 고려도 없이 일률적인 증가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유아 계측치의 분석결과 유유아 대표항목으로 선정된 신장과 체중에 대해 각각 2.5㎝와 1㎏의 간격으로 나누어 빈도분포를 제시하고 분포의 밀도가 가장 높은 구간 및 주변 구간을 포괄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구간과 유유아의 월령별 성장치를 고려, 이를 근거로 한 새로운 치수규격을 설정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growth aspect and the somatotype of infant by direct measuring method and to inspect the size propriety of the infant wear by investgating the size system of produced infant wear.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356 infants from at birth to 24 months of Seoul area and they were devided into 24 groups according to the month age. We compared the basic body size and the product size with the result by a direct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size system of infant wear.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Analysis on somatotype of infant (1) In general , as the month age goes on , especially from 1st month to 5th or 6th month, the significant growth in body dimension of infant was shown. The stature and the items of length showed a quite rapid grwoth, but the items of girth, breadth, weight showed a slow growth. (2) The comparison of somatotype between sex and month was done.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reveal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found between male infants and female ones, but mean values of most measurement items were superior in male infants to in female ones. (3) Except some meaurement items , most of measurement items appeare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other items. Especially , the stature appeared to be more correlated with the items of length and the weight appeared to be more correlated with the items of girth.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stature and weight shows a high value. (4) According to the method of classifying the somatotype by the index of body soundness, the Rohrer index and the Kaup index was done with the basic items, weight and stature. The Rohrer index was devided into three types: in male somatotype A (thin :1.67-2.08) , somatotype B (average :2.09-2.54), somatotype C (fat :2.55-3.48) and in female somatotype A (thin :1.71-2.05) , somatotype B (average :2.06-2.51), somatotype C (fat :2.53-3.40). The Kaup index was as follows : in male 0.5% was more than 22.0 (fat), 6.4% 21.9-19.1 (healthy), 90.4% 19.0 -15.0 (average) and 2.7% 14.9-13.0 (lean); in female 0.6% was more than 22.0 (fat) , 7.7% 21.9-19.1 (healthy), 85.8% 19.0-15.0 (average), 5.9% 14.9-13.0 (lean). (5) The method of analysis was applie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ith orthogonal rotation. Among 22 itmes, 2 factors were selscted as key factors. Among 23 items including month age , 2 factors also selected as key factors. In common , except 2 index (as like the Kaup and Rohrer index 1, the first factor was clustered with all of direct measuring items including month age and this result indicated the simple somatotype of infant. In this study factor loadings of stature and weight appeared relatively high, it will be more appropriate to use the method of parallerizing with stature and weight rather than with month age in classificating and indicating of size for infant clothing. Consequently as the standard items for the size system of infant clothing , it is advisable to select a both wight and stature. 2. Apparel size standard for infant clothing (1) The K0052-1990 divided the apparel size standard with only stature, on the other hand JIS L 4001-1983 divided it with both stauture and weight. (2) By comparing the body size of 3 companies with the direct measuring value, the direct measuring value was superior to the most of items. (3) The product size of 3 companie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one another, the difference was shown according to the company and measuring items. We also compared the difference of the product size with the difference of the direct measuring value for infant body. As a result of this comparison, the difference of the product size and the direct measuring value was different, So, we could know that the product size system for infant clothing was established without considering the growth rate of infant. (4) In factor analysis, the stature and weight was selected as the standard items of the apparel size for infant, frequency distribution of stature and weight circumference was used for the size standard of infant clothing and this results present the suitable clothing gauges for the inf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