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曺銀慶-
dc.creator曺銀慶-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5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4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2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육에 관한 학위논문의 연구실태와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최근의 유아교육연구경향을 파악하고,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학위논문에 나타난 연구경향상의 특징을 밝히며, 교육자료정보센터(ERIC)가 수집한 자료에 나타난 유아교육의 연구동향을 참고로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1986년 2월부터 1992년 2월까지 발표된 유아교육관련분야의 학위논문 중, 대학원 과정에 유아교육학과 및 관련학과가 개설된 지 10년 이상이 된 서울지역 5개 대학의 대학원 및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수집한 석사학위논문 525편과 박사학위논문 27편, 그리고 미국의 교육자료정보센터(ERIC)가 수집한 자료 중 1991년 1월부터 12월까지 발간된 자료 408편 등 총 960편을 전제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위논문의 연도별 수량을 보면, 1986년부터 1992년까지 유아교육 관련분야의 학위논문은 552편으로 연평균 79편여가 나오고 있으며, 1980년대 전반기까지의 연구에서 나타났던 학위논문의 양적인 증가세는 더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2. 전체적인 연구내용상의 경향을 보면, 아동발달, 교육과정의 교수영역,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부모교육과 자녀양육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며, 유아교육정책, 유아교육사상 및 교육사, 아동복지 분야의 연구는 저조하였다. 이를 기관별로 살펴보면, 일반대학원에서는 아동발달분야에 연구가 편중(일반대학원 전체 논문의 39.39%)되었고, 교육대학원에서는 아동발달(24.78%), 교육과정의 교수영역(17.7%), 부모교육과 자녀양육(13.99%)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중 하위영역별로 보면 일반대학원에서는 인지발달부분, 교육대학원에서는 자녀양육과 가정환경부분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교육대학원에서는 현장에 바탕을 두고 교육실제에 직접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의 연구가 폭넓게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1980년대 전반기와 1980년대 후반기이후 최근까지의 연구경향에서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① 1980년대 전반기까지의 연구에서 나타났던 논문의 양적인 증가세가 1980년대 후반기 이후에는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② 1980년대 전후반기 모두 아동발달(특히 인지발달부분)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사회·정서발달부분의 연구는 후반기 이후에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③ 1980년대 후반기 이후부터는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분야 중 교육내용 및 교수방법부분의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고, 교육과정 구성 및 분석부분의 연구는 큰 폭의 감소가 있었다. ④ 1980년대 전반기에는 교육과정의 교수영역 중 언어와 음률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연구가 저조하였으나, 후반기 이후에는 사회와 수, 미술영역에서의 연구도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과학영역의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⑤ 1980년대 전반기에 비하여 성역할 및 성교육, 물리적 교육환경 분야의 연구는 감소하였고, 놀이, 매스컴과 교수매체 분야의 연구는 증가하였다. 특히 매스컴과 교수매체분야 중에서 컴퓨터교육에 관한 연구는 6편 모두 1988년 이후에 나왔는데, 이런 점으로 보면, 1988년경부터 유아교육분야에서 컴퓨터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음을 알 수 있다. ⑥ 부모교육과 자녀양육 분야에서는 대부분이 자녀양육과 가정환경에 대한 연구이며, 유아교육현장을 중심으로 한 부모교육과 부모참여에 관한 연구가 저조한 것은 1980년대 전·후반기와 최근까지의 공통된 현상이다. ⑦ 1980년대 전반기에는 연구가 미약하였던 분야인 유치원과 국민학교의 연계성,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탁아 분야의 연구가 후반기 이후에는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었다. 한편, 미국의 교육자료정보센터(ERIC)가 수집한 자료에 나타난 유아교육의 연구경향에서는 교육과정구성과 운영, 탁아, 아동발달, 부모교육과 자녀양육, 아동복지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유아교육사상 및 교육사, 성역할 및 성교육 분야에서는 연구가 저조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인 내용분포를 보면, 모든 연구가 0.99%-15.9%이내에 포함되어 비교적 고른 연구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전체적인 특징으로는, 유아교육에 대한 정책적인 면에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가정 및 기관에서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 및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가정과 유아교육기관 뿐 아니라 정부차원까지의 연계를 가능케 하는 총체적인 유아교육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진 분야 및 연구가 미비하고 개발되어야 할 분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980년대 이후 최근까지 공통적으로 아동발달, 그중에서 특히 인지발달부분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유아교육분야에서 발달이론을 심리적 기초로써 중요시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교육분야에서의 연구는 심리학적인 측면에서의 발달이론에 치중하는 경향을 넘어서서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기초에 고루 바탕을 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한편, 연구가 저조한 분야는 유아교육사상 및 교육사, 유아교육정책, 아동복지, 탁아, 교사교육 및 전문성 등의 분야로 나타났다. ① 유아교육정책에 대한 연구가 저조한 것은 본 연구의 대상이 학위논문에만 한정된 데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유아교육분야의 발전은 정책적인 면에 관심을 갖고 취약점과 문제점을 밝혀내어 개선방향을 모색할 때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② 유아교육사상 및 교육사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약한 점은, 그동안 유아교육관계 연구자료를 분석한 연구들의 결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사항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아교육의 심리적·사회적 기초 뿐만 아니라 철학적 기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③ 아동복지분야의 연구가 저조하게 나타난 것은, 이 분야가 유아교육학, 아동복지학, 가정학, 사회사업학 등 여러 학과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지는 주제인 관계로 유아교육학에서만 다루어지는 여타 주제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연구율이 저조하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④ 한편,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는 유아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인 중의 하나이다. 유아교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려면, 교사가 실제로 하는 일과 왜 그들이 그 일을 해야 하는가를 더 잘 반영하도록 교사교육프로그램의 성격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인지과정, 의사결정방법,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주는 이론과 신념, 교육현장에 있는 실제 교사들의 활동 및 유아교육 실제로부터 나온 실천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의 핵심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⑤ 이 밖에도 교육과정의 교수영역 중 과학영역, 유치원과 국민학교의 연계성, 부모교육과 부모참여 등의 부분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분야에서의 연구들이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4. 학위논문의 연구대상에서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56.25%)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부모(15.18%), 교원(13.39%), 문헌(7.74%), 유아교육기관(4.76%)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일반대학원에서는 아동대상연구의 비중(64.55%)이 교육대학원의 아동대상연구의 비중(48.3%)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고, 교육대학원에서는 부모대상연구의 비중(19.6%) 및 교원대상연구의 비중(16.1%)이 일반대학원에서의 비중(각 10.6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5. 학위논문의 연구방법에서는 질문지법(30.16%)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이 실험연구(27.19%), 면접법(20.94%), 관찰연구(10.16%), 문헌연구(8.13%), 질적연구(2.19%)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일반대학원에서는 실험연구(31.8%)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교육대학원에서는 질문지법(41.85%)을 사용한 조사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by analyzing the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1986 to 1992 in my country and the research resources collected by Educational Resource Information Center(ERIC) in America. For the fulfillment of this object,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t up. 1. How does the trend in number of theses for this term? 2. How does the trend of research contents? 2-1. How does the trend of research contents of theses in general? 2-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contents of theses in graduate school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3.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research contents in thes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f therm of 1980's? 2-4. Which fields have been studied in priority and need to be developed so far? 2-5. How does the research trend of resources collected by Educational Resource Information Center(ERIC). 3. How does the tendendy of study methods in theses? 3-1. How does the trend of research subjects? 3-2. How does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This study need to be analyzed a total of 960 resources; 552 of them from theses in Korea and 408 of them from ERIC.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Seventy nine research papers have been presented a year in average. Numbers of research papers increased in the first half term of 1980's, however, the rate of increase has been slowdown nowadays. 2. In research contents of theses, listing areas have been studied actively; child development, early childhoo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parent education and child rearing. Whereas, educational policy, educational history, and child welfare parts have been studied weakly. Cognitive development part of child development was emphasized in graduate school. Child rearing part and teaching area of curriculum were researched extensively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ccording to resources collected by Educational Resource Information Center(ERIC). There are lots of research products in following area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day care, child welfare, parent education and child rearing and so on. On the other hand, educational history, sex role and sex education were studied less actively than the other areas. However, the researches were distributed evenly on each area. 3. Child development (especially, cognitive development part) was so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the areas which are educational history, educational policy,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ism, day care and child welfare need to be studied more actively so far. 4. First of all, children were made a subject of study in wide. The next were parents, staffs of school. 5. Generall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sed so much in research. The next were Experimental study, interview meth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연구방법 = 5 A. 연구대상 및 범위 = 5 B. 분류기준 = 6 1. 연구내용의 분류기준 = 6 2. 연구방법의 분류기준 = 8 3. 분류기준에 속하는 구체적인 연구내용 = 9 C. 연구절차 = 11 Ⅲ. 자료의 분석 = 13 A. 연도별 수량 = 13 B. 연구내용별 분석 = 14 1. 우리나라 학위논문의 연구내용별 분석 = 14 2. 교육자료정보센터(ERIC)가 수집한 자료의 연구내용별 분석 = 33 C. 연구방법별 분석 = 39 1. 연구대상별 분석 = 39 2. 연구방법별 분석 = 41 Ⅳ. 요약 및 결론 = 43 참고문헌 = 50 부록 Ⅰ. 연구내용별 개요정리 = 53 부록 Ⅱ. 자료의 연구영역별 제목목록 = 157 ABSTRACT = 2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854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교육-
dc.subject학위논문-
dc.subjectChildhood Education-
dc.subject경향분석-
dc.title유아교육에 관한 학위논문의 경향분석(1986~1992)-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Thes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1986-1992)-
dc.format.pageviii, 2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