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여대생의 기숙사 생활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여대생의 기숙사 생활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ormitory Life Experi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
Authors
최귀순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여대생기숙사 생활체험현상학기숙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서울에는 각 대학마다 거의 기숙사가 있으며 이곳에는 각 지방에서 유학온 수많은 학생들이 가족과 떨어져 타인으로 구성된 공동체 생활을 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그동안 1년이상 기숙사 보건실에 간호사로 근무하면서 기숙사생들이 여러 가지 갈등과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되는 것을 보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스트레스로 인해 정서적 안녕상태나 정신적 안정감을 갖기 어려워 식욕부진, 소화불량, 변비, 생리불순, 십이지장궤양, 위염, 두통, 불면 등 정신적·정서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신체증상과 우울증, 불안, 고향에 대한 향수, 전공에 대한 적성과 관련된 학교생활 부적응 및 서울지역학생과의 비교에서 오는 열등감등 많은 정서적 곤란함을 겪는 것을 보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국·내외적으로 기숙사의 주체인 이들의 정신적·정서적 측면과 관련되어 쓰여진 논문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들을 위한 기초조사연구의 하나로 기숙사생들의 기숙사 생활경험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겠기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그들의 기숙사 생활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E여자대학교 기숙사에 거주하는 1학년생 8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7년 3월 1일부터 5월 3일까지 비지시적 비구조적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분석 방법은 Merleu-Ponty의 철학에 근거한 Van Menen이 제시한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4단계 연구과정인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조사, 현상학적 반성, 그리고 현상학적 글쓰기의 순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분석은 대상자의 진술 속에서 의미 있는 주제진술을 분류해내어, 그들의 생활세계(life world)에 대한 체험의 구조를 밝히고, 주제적 의미를 발견한 후, 이를 다시 언어적 변형으로 구성하여 본질적 주제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들이 체험한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새로움에 대한 기대와 낯설움", "가족으로부터의 해방감", "가족에 대한 새로운 인식", "공동체생활에서 오는 양가감정", "기댈수 있는 사람의 부재", "홀로서기에서 오는 책임감", "기숙사생활이 가져다 준 자기변화"였다. 이상의 7가지 주제의미를 통해서 볼 때 여대생의 기숙사생활체험에서 가장 본질적인 주제는 <홀로서기>라고 볼 수 있고, 기숙사생들은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동안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홀로서는 과정을 체험하게 된다. 본 체험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간호학적으로 유용한 적용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첫째, 간호실무면에서 볼 때 기숙사 보건실 간호사 및 그 기관의 행정책임자들이 기숙사생들의 생활체험에 관한 본 연구결과 나온 의미를 통해 기숙사생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숙사생들을 돌보는데 참고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고 보여진다. 둘째, 정신간호학적 간호교육측면에서 이들이 겪는 여러 가지 정서적 어려움을 도와줄 수 있는 적합한 상담프로그램, 대인관계훈련 및 자기주장훈련 등을 개발 및 적용한다면 이들에게 지지가 되어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이같은 연구결과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즉 간호연구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는 1학년을 대상으로 1학기동안의 기숙사체험에 대해서 기술되었지만, 앞으로 1년동안 그리고 2년간 계속 살아가는 전반적인 기간 동안 기숙사에서 겪는 삶의 체험에 대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를 한다면, 기숙사생활 체험 속에서 어떤 과정(process)을 볼 수 있고 또한 의미있는 체험의 구조가 발견되리라고 생각된다.;In Seoul there are many universities which provide dormitory housing. The university dormitory is a unique place in that many students from various provinces and countries live together. The researcher has worked as a nurse in a dormitory Infirmary for 15 months. During that time, many physical and emotional disturbances of students were observed. These disturbances consisted of the following: anorexia, indigestion, constipation, dysmenorrhea, duodenal ulcer, gastritis, headache, sleep disturbance, depression, anxiety, homesickness and loneliness as well as others. In trying to understand these phenomena, the researcher was impressed by the lack of research done on this subject from a human-centered viewpoint, either domestically or internationally.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begin the work of describing,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lived experience of dormitory life in a women's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dormitory experi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ight first-year students of a women's university. Data was collected from Mar. 1. 1997 to May. 3. 1997 by non-directive,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interviews were tape-recorded and transcrib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er use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developed by Van Menen, whose methods were based on the ideas of Merleu-Ponty. The main components of Van Menen's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turning to the nature of lived experience, existential investigation,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phenomenological writing.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sorting of meaningful statements according to theme and the translating of abstract ideas into concrete terms, the researcher discovered seven essential themes in the life world. au: The themes are as follows: Initial expectation and new life setting; freedom from. direct family influence; new recognition of family importance, co-exist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about communal life, absence of personal support-network; the responsibility of being independent and personal growth from communal living. The most essential meaning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dormitory experience was "being emotionally independent." While living in the dormitory, students take their first steps toward social, economic, psychological and physical independ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pplicable in at least two areas. First, this study should serve as a good reference for both nurses working in dormitory infirmaries and personnel in charge of managing dormitory affairs. Second, this data may reveal a need to develop proper counseling program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s, and assertiveness training for dormitory students. It is likely that such as these could serve to increase dormitory students life satisfaction in the first-year of studi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is a strong need to further analyze the structure of experience in dormitory life. To discover the changes in students dormitory life experience, further research into the lived experience of second-year dormitory students needs to be d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