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일부지역 기혼여성의 긴장성 요실금 빈도 및 양상연구

Title
일부지역 기혼여성의 긴장성 요실금 빈도 및 양상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of Married Women in Chongju
Authors
이미경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일부지역기혼여성긴장성 요실금빈도양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과학의 발달과 함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과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점차높아지고 있으며, 여성의 건강에 대한 견해도 총체적 인간의 안녕으로 보려는 시도가 일고 있다(Rawnsley, 1996). 요실금은 모든 연령의 여성에게 흔한 건강 문제일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장애라기보다는 장기간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다(Lagro-Janssen et al., 1992). 그러나 실금이 비뇨생식기계 질환이라는 이유때문에 문제를 숨기고 혼자 고민하는 여성이 많으며, 실금 유형에 따라 원인과 치료적 중재방법이 다르므로 정확한 사정과 효과적인 중재에 있어서 간호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긴장성 요실금은 모든 여성 요실금 중 75%를 차지하며(Green, 1975), 원인에 따라 사전에 중재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청주지역 일부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긴장성 요실금의 유병률과 일반적 특성 및 실금관련요인에 따른 긴장성 요실금 정도의 차이와 관계를 파악하고, 요실금 대상자의 일상생활 문제를 파악하여 지역주민의 건강생활 지도에 활용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청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기혼 여성 120명을 임의 추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7년 4월 21일부터 5월 3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Hendrickson(1981)의 요실금 측정도구를 이영숙(1994)이 수정보완한 긴장성 요실금 측정도구와 강경자(1996)가 요실금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 특성 6문항, 실금 관련요인 8문항,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8문항, 긴장성 요실금 측정도구 15문항등 총 3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 및 실금관련요인에 따른 긴장성 요실금 정도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및 실금관련요인과 긴장성 요실금 정도와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대상자의 연령범위는 25-72세(평균 40.35세)였다. 연령별 분포는 20-39세(50.0%), 40-49세(46.7%), 60세이상(3.3%)의 순이었다. 출산횟수의 범위는 1-7회(평균 3.38회)였으며, 폐경과 유산을 경험한 대상자는 각각 14.1%, 60.8%였다. 대상자의 70%가 주부였으며, 82.5%가 중졸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었다. 2. 긴장성 요실금 유병률 1) 긴장성 요실금 유병률은 74.2%였으며 대부분의 대상자가 경한 요실금을 가지고 있었다. 2) 요실금 양은 한두 방울이 가장 많았으며(63.9%), 실금빈도는 가끔이 가장 많았고(34.4%), 그 다음으로 하루 1-2회(23.7%)의 빈도가 높았다. 실금기간은 5년이하가 가장 많았으며(63.6%), 평균 실금기간은 4년이었다. 실금정도는 97.8%의 대상자가 경한 실금증상을 보였으며, 2.2%의 대상자가 중정도의 실금증상을 보였고, 중증의 실금증상을 보인 대상자는 없었다. 실금에 대한 치료는 82%의 대상자가 치료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과 긴장성 요실금의 차이 및 관계 분석 연령에 따른 긴장성 요실금 정도는 60세이상에서 가장 심하였으며, 40-59세, 20-39세의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4.10, p=.004). 4. 실금관련요인에 따른 긴장성 요실금의 차이 및 관계 분석 질분만을 한 집단과 제왕절개를 한 집단의 긴장성 요실금의 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2.38, p=.019), 분만횟수가 증가할수록 긴장성 요실금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r=.43, p=.000). 또한 질분만 횟수(r=.44, p=.000)와 소변감염 횟수(r=.26, p=.002)가 증가할수록 요실금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5. 긴장성 요실금 대상자의 일상생활 문제 긴장성 요실금이 있는 대상자는 사회생활의 장애, 음료섭취의 제한, 공동 공간 사용에 있어서의 문제, 냄새로 인한 문제, 의복을 자주 갈아입어야 하는등의 일상생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간호연구 측면 1) 우리나라 전체 여성을 대표할 수 있는 요실금 유병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 실금유형을 정확히 사정하고 분류할 수 있는 도구개발이 필요하다. 3) 실금유형별 관련요인과 촉진요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4) 요실금의 정신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5) 실금에 관한 간호중재법 개발과 표준화된 프로토콜 개발이 필요하다. 2. 간호실무 측면 요실금의 사정과 효과적인 중재에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3. 간호교육 측면 요실금 대상자의 정확한 사정과 분류 및 효과적인 중재를 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SUI) of married women in Chongju,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risk factors of SUI of participations with SUI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1 to May 3, 1997. Subjects were interview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bstetrical characteristics, risk factors, measuring tools of urinary incontinence. For data analysis, SPSS/PC^+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ing. 1. The range of age of the participants was between 25 to 72years(mean : 40.35years), The distribution of age was as following, 20-39(50.0%), 40-59(46.7%), 60-(3.3%). The range of frequency of parity was 1-7times(mean : 3.38times). The rate of subject with menopause and abortion experience were 14.1%, 60.8%. 2. Prevalence of SUI 1) The prevalence of SUI was 74.2%, most of them were mildly incontinent subjects(97.7% ). 2)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severity of SUI was as foll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and severity of SUI was founded(F=4.10, p=.004). 3)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of SUI and severity of SUI was as following. Participants with higher frequency of parity showed severer level of SUI(r= .43, p=.000). Participants with higher of frequency of vaginal delivery also had severer level of SUI(r=.44, p=.000). The severere level of SUI was shown with the group of higher frequency of Urinary Tract Infection(UTI)(r=.26, p=.002). 4) The effects of SUI on married women's liv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effects and severity of disturbance of their social lives were as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articipants with SUI have experienced disturbance of their social lives, limit of fluid intake, inconvenience of public space use, uncontrollable of bad order, too frequent change of their garmen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ress and severity of disturbance of social lives have been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rgency and severity of disturbance of social lives were found. In conclusion further studies which include general population are needed to compare with this study. Research for assessment tools to screen risk factor of urinary incontinence is needed. Research for educational program to Prepare students to intervene patients with urinary incontinence symptoms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