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희단-
dc.creator이희단-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4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69-
dc.description.abstract조선 세종대왕 시대에 만들어진 여민락(與民樂)은‘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가사로 하는 음악으로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 여민락은 만(慢)과 영(令)으로 구분하여 전하여 오는데, 그 중에서 『속악원보』권7 방향보(方響譜) 여민락 영(令)과 현행 여민락의 본령(本令)의 태평춘지곡(太平春之曲), 해령(解令)의 서일화지곡(瑞日和之曲)의 대금선율을 비교하였다. 원칙적으로,『속악원보』권7 방향보(方響譜) 여민락 영(令)과 현행 본령 방향보(方響譜)를 제시, 비교해야 하지만 현행 본령 방향보(方響譜)와 현행 본령의 대금보(大今譜)의 선율이 거의 비슷하고 싯가 역시 비슷하며 본인의 전공이 대금임을 고려해 본 논문에서는 현행 본령 방향보(方響譜) 대신 현행 본령 대금보(大今譜)로 대신하였다. 위의 사실은 <참고악보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속악원보』 권7 방향보(方響譜) 여민락 영(令)과 현행 본령의 대금선율은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약간씩 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고, 해령은 본령의 선율을 토대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화하였다. 1. 본령의 간음 『속악원보』권7 방향보(方響譜) 여민락 영(令)과 현행 본령의 대금선율의 차이점은‘간음(間音)’이 나타나고, 선율이 대부분 같거나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속 ·령의 각 부분과 현행 본령 대금의 각 부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첫째부분 : 간음‘太'와‘林’이 나타나며 선율은 4박에서 6박으로 늘었다. 2)둘째부분: 간음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선율도 같다. 3)셋째부분 : 간음 '太’와 ‘林’이 나타났으며, 선율은 4박에서 7박으로 늘었다. 4)넷째부분 : 간음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선율도 같다. 5)다섯째부분 : 간음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선율도 같다. 6)여섯째부분 : 간음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선율은 같지만 박이 줄었다. 7)일곱째부분 : 간음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선율은 같지만 박이 줄었다. 8)여덟째부분 : 간음‘林'이 나타났으며, 선율은 8박에서 9박으로 늘었다. 9)아홉째부분 : 간음‘林'이 나타났으며, 선율은 8박에서 10박으로 늘었다. 10)열째부분 : 간음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선율은 8박에서 6박으로 줄었다. 11)열한째부분 : 간음‘林'이 나타났으며, 선율은 8박에서 9박으로 늘었다. 12)열둘째부분 : 간음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선율도 같다. 13)열셋째부분 : 간음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선율도 같다. 14)열넷째부분 : 간음‘潢’이 나타났으며, 선율은 6박에서 7박으로 늘었다. 15)열다섯째부분 : 간음‘南’과‘林’그리고‘汰’가 나타났으며, 선율은 8박에서 10박으로 늘었다. 16)열여섯째부분 : 간음‘南’이 나타났으며, 선율은 6박에서 7박으로 늘었다. 즉,『속악원보』권7의 방향보(方響譜) 여민락 영과 현행 본령의 대금선율(大今鮮律)과 비교하여 보면 '간음(間音)’이 나타나는 부분은 1, 3, 8, 9, 11, 14, 15, 16째부분이며, 선율이 같은 부분은 2 , 4 , 5 , 12 ,13째 부분이고,선율이 늘어난 부분은 1 , 3 , 8 , 9, 11, 14 , 15 , 16째부분, 선율이 줄어든 부분은 6 , 7 , 10째 부분이다. 2. 연음의 등장 해령의 선율은 현행 본령 대금의 선율과 비교했을 때, 모든 마루에서 늘어났고, 특이한 점은‘연음형식(聯音形式)’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연음의 유형은 모두 5가지이고, 당피리, 편종, 편경의 종지음에 따라 나오는 유형이 달랐다. 1)당피리, 편종, 편경의 종지음이‘南’일때 나오는 연음의 형식은 2, 3, 5, 10, 12, 13, 14. 15째 마루에 나타난다. 2) 당피리, 편종, 편경의 종지음이‘林’일때 나오는 연음의 형식은 8째마루에 나타난다. 3) 당피리, 편종, 편경의 종지음이‘汰’일때 나오는 연음의 형식은 6,7째마루에 나타난다. 4) 당피리, 편종, 편경의 종지음이‘夾’일때 나오는 연음의 형식은 16째마루에 나타난다. 5) 당피리, 편종, 편경의 종지음이‘潢’일때 나오는 연음의 형식은 4째마루에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속·령, 현행 본령, 해령의 대금 선율을 비교한 결과 본령에서는 ‘간음’이 생기고, 해령에서는 새로운 선율의 증가와 독특한 ‘연음형식'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Yeominrak' was composed during King Sejong's rule of Chosun dynasty using 'Yongbieocheonga' as its text. It has been handed down, being divided into 'Man' and 'Yeong'. This study compared the 'Daegum' melodies among 'Banghyangbo Yeominrak Yeong' in 'Sogakwonbo' Volume VII, 'Taepyongchunjigok' of the main 'Yeong' of the current 'Yeominrak' and 'Seoilhwajigok' of Haeryeong. In principle, 'Banghyangbo Yeominrak Yeong' in 'Sogakwonbo' Volume VII should have been compared with 'Banghyangbo' of the main Yeong of the current 'Yeominrak', but since the latter is similar to the current main 'Yeong' in terms of 'Daegum' score melody and 'Sitga', this study sampled 'Daegum' score of the current main 'Yeong' instead of 'Banghyangbo of the current main 'Yeong', in consideration of researcher's major in 'Daegum'. The above facts may well be confirmed from the 'reference scores 4'. 'Banghyangbo Yeominrak Yeong' in 'Sogakwonbo' Volume VII and 'Daegum' melody of the current main 'Yeong' have little varied to be handed down to present, while 'Haeryeong' has much varied based on the melody of the main 'Yeong'. 1. Intermediate Sound of the Main 'Yeong' 'Banghyangbo Yeominrak Yeong' in 'Sogakwonbo' Volume VII differs from 'Daegum' melody of the current main 'Yeong' in terms of 'intermediate sounds' and consistency or expansion of melodies. The differences can be discussed more specifically by part as follows; 1) First part: The intermediate sounds 'Tae' and 'Lim' show up, while the melody is extended from 4 rhythms to 6 ones. 2) Second part: There is no intermediate sound with the same melody. 3) Third part: The intermediate sounds 'Tae' and 'Lim' show up, while the melody is extended from 4 rhythms to 7 ones. 4) Fourth part: There is no intermediate sound with the same melody. 5) Fifth part: There is no intermediate sound with the same melody. 6) Sixth part: There is no intermediate sound with the same melody but the rhythms decreased. 7) Seventh part: There is no intermediate sound with the same melody but the rhythms decreased. 8) Eighth part: The intermediate sound 'Lim' shows up, while the melody is extended from 8 rhythms to 9 ones. 9) Ninth part: The intermediate sound 'Lim' shows up, while the melody is extended from 8 rhythms to 10 ones. 10) Tenth part: There shows no intermediate sound with the melody decreased from 8 to 6 rhythms. 11) Eleventh part: There shows up the intermediate sound 'Lim' with the melody increased from 8 to 9 rhythms. 12) Twelfth part: There shows up no intermediate sound with the same melody. 13) Thirteenth part: There shows up no intermediate sound with the same melody. 14) Fourteenth part: There shows up the intermediate sound 'Hwang' with the melody increased from 6 to 7 rhythms. 15) Fifteenth part: There show up the intermediate sounds 'Nam', 'Lim' and 'Tae' with the melody increased from 8 to 10 rhythms. 16) Sixteenth part: There shows up the intermediate sound 'Nam' with the melody increased from 6 to 7 rhythms. Namely, as a result of comparing 'Banghyangbo Yeominrak Yeong' in 'Sogakwonbo' Volume 7 with 'Daegum' melody of the current main 'Yeong', it was found that the intermediate sounds show up in first, third, eighth, ninth, eleventh, fourteenth, fifteenth and sixteenth parts, the same melodies are maintained in second, fourth, fifth, twelfth and thirteenth parts, and that the melodies are increased in first, third, eighth, ninth, eleventh, fourteenth, fifteenth parts and sixteenth parts, and that the melodies are decreased in sixth, seventh and tenth parts. 2. Emergence of Associated Sou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lody of 'Haeryeong' with 'Daegum' melody of the current main 'Yeong', it was found that all melodies are extended at 'Maru', and that a peculiar 'associated sound form' has appeared. The types of associated sounds are five-fold, being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nalis of 'Dangpiri', 'Pyeonjong' and 'Pyeongkyong'. 1) When the finalis of 'Dangpiri', 'Pyeonjong' and 'Pyeongkyong' is 'Nam', the associated sound form shows up in second, third, fifth, tenth, twelfth, thirteenth, fourteenth and fifteenth 'Marus'. 2) When the finalis of 'Dangpiri', 'Pyeonjong' and 'Pyeongkyong' is 'Lim', the associated sound form shows up in eighth 'Maru'. 3) When the finalis of 'Dangpiri', 'Pyeonjong' and 'Pyeongkyong' is 'Tae', the associated sound form shows up in sixth and seventh 'Marus'. 4) When the finalis of 'Dangpiri', 'Pyeonjong' and 'Pyeongkyong' is 'Hyup', the associated sound form shows up in sixteenth 'Maru'. 5) When the finalis of 'Dangpiri', 'Pyeonjong' and 'Pyeongkyong' is 'Hwang', the associated sound form shows up in fourth Maru.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aegum' melodies among 'Sogakwonbo' Yeong', current main 'Yeong' and 'Haeryeong', it was concluded that the main 'Yeong' shows 'intermediate sounds', while 'Haeryeong' shows increased melodies as well as unique 'associated found for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2 Ⅱ. 본론 = 3 A. 본령과 해령의 악곡구성 = 3 1. 본령 = 3 2. 해령 = 4 B. 본령과 해령의 선율비교 = 5 1. 첫째마루 ∼ 넷째마루 = 5 2. 다섯째마루 ∼ 여덟째마루 = 15 3. 아홉째마루 ∼ 열둘째마루 = 26 4. 열셋째 마루 ∼ 열여섯째마루 = 34 Ⅲ. 결론 = 46 참고문헌 = 51 ABSTRACT = 52 부록 = 56 참고악보 1 속·령, 현행 본령, 해령 = 56 참고악보 2 속악원보 권7 방향보 령초장 = 70 참고악보 3 본령 = 71 참고악보 4 현행 방향보 본령 = 72 참고악보 5 해령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534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80-
dc.title『속악원보』권7의 방향보 여민락 영보(令譜)와 현행 본령(本令)과 해령(解令)의 대금선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aegum Melodies of "Banghyangbo Yeominrak Yeong" in "Sogakwonbo" Volume 7, Current "Main Yeong" and "Haeryeong"-
dc.creator.othernameLee, Hee Dan-
dc.format.pageⅵ,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