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성병환자의 건강통제위 성격특성과 자가간호 행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성병환자의 건강통제위 성격특성과 자가간호 행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SELF-CARE BEHAVIOR OF VENEREAL-DISEASE PATIENTS
Authors
윤양소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성병환자건강통제위성격특성자가간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회가 복잡해지고 만성질환의 증가와 더불어 건강유지와 질병예방을 위한 인간행위는 날로 중요시되고 있다. 통제위성격 특성은 인간의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려는 사회학습이론으로부터 발전된 개념으로 이러한 개인의 통제위 성향은 인간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성병환자가 지각하는 건강통제위성격 각 성향과 자가간호행위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통제위성격 각 성향이 자가간호행위이행에 어떠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자가간호행위이행도를 높이기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 방법을 모색하고, 간호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1985년 9월 10일부터 9월 30일까지 강원도 영동지역 2개 보건소와 일 비뇨기과의원을 이용하는 성병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Wallston and Wallston이 개발한 총 18문항의 건강통제위척도과 본 연구자가 작성한 총 16문항의 성병환자 자가간호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위수, t-test, A-NOVA, D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상태가 자기자신에 의해 좌우된다고 믿는 내적성향이 높은 성병환자일수록 성병에 대한 자가간호행위 이행도가 높았다( r=0.2536, p=0.003). 2. 건강이 영향력있는 타인에 의해 좌우된다고 믿는, 즉 비건강시 의료인을 방문하고, 가족과 건강전문인에 대한 기대성향이 높은 성병환자일수록 성병에 대한 자가간호행위이행도가 높았다( r=0.2604, p=0.002). 3. 건강이 행운이나 요행에 의해 좌우된다고 믿는 성향을 가진 성병환자는 자가간호행위와 관계가 없었다( r=-0.0052, p=0.478). 4. 성병환자의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로는 가족수 내적성향, 직업, 영향력 있는 타인의존성향 및 우연성향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자가간호행위를 27.12 % 설명하였다. 5. 성병환자의 내적성향과 연령별, 결혼상태별로 본 결과, 20-29세군이 내적성향이 가장 높으므로 이 연령군이 자가간호이행도가 높다고 본다. 결혼상태별로는 미혼자가 내적성향이 높았다. 6. 성병환자의 직업별, 가족수별 자가간호행위와의 관계분석에서 회사원이 자가간호행위 이행도가 높았으며, 가족수가 적을수록 자가간호행위 이행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성병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이행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가족수, 내적성향, 직업, 영향력있는 타인의존성향 및 우연성향임을 알 수 있었으며, 성병환자의 가족수가 적을수록, 내적성향이 높을수록 자가간호행위 이행도가 높았고, 직업별로는 회사원이 높았으며, 우연성향과 자가간호행위 이행도와는 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가족수가 많을 수록, 내적성향과 영향력있는 타인의존성향이 낮을수록 또 농수산업에 종사하는 성병환자에게는 자가간호행위 이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방법을 모색함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 사항을 제언한다. 1. 측정도구의 일반화를 위해 같은 도구로 반복적인 연구 및 표준화가 요구된다. 2. 다발하고 있는 성병환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이들의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수, 직업 및 통제위성향외에도 유력한 특성을 발견하기 위한 계속연구가 요구된다. 3. 자가간호에 대한 간호중재를 매개변수로 하였을때의 관계변화에 대한 연구로 간호중재의 효율화에 대한 기여가 요구된다.;As a society advances in its complexity of Organization paralleled by an upsurge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 the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maintenance of a sound health care system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e concept of Locus of control has developed from Social Learning theory to help better understand the Social phenomona effecting human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par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Self-care Behavior when the clinical Nurse establishs Nursing plan. The investigator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mensio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the degree of Self-care Behavior. The Survey for this Study Conducted among 117 Venereal disease patients who visited a G-U clinic and two Health center located Kang won province, from September 10, to September 30, 1985 through questionaires. The tools used for this survey were Wallston and Wallston's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s, and this investigator made self-care Behavior Scales.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of SPSS program collection of data was done by survey pap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lized as follows: 1. Among the Health Locus Control personalities , the lighter H.L.C.-internal. 2. Powerful-others of VD patients , the higher level of Self- care Behavior. 3. The higher HLC-chance of VD pts are no related Self care behavior. 4. Analysis of the changing patterns of performance of VD Self care Variables: Numbers of family, HLC-Internal, Occupation, HLC-powerful others, and HLC-chance varibles. 5. I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1c-Internal and Age. marriage, 20-29 years olds group and unmarriage group are were highest HLC-Internal. 6. I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elf care behavior and occupations, Numbers of families , saralies and smaller family size were higher performance of VD self care. To Summarize the conclusions, the variable influence on self care Behavior is Health Locus of Control, the high internality & powerful-HLC are higher compliant than low its. Therefore, to increase the level of compliance of self care Behavior of VD patients and nursing plan accordingly for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