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혜경-
dc.creator이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7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3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71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focused on deeply understanding their voice in the perspective of motherhood experience of women with mental disorders. This study revealed motherhood experience of women with mental disorders under socio-cultural context and meaning to the motherhood experience.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has been arisen research question that is "how is the essence of motherhood experience of women with mental disorders and meaning of it". For that, researcher of this study was applied for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describing motherhood experience with vivid experiencing as well as not separating from the real live field of participants. Phenomenology method that can be expressed meaning of individual experience toward a concept or idea and reflected these itself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has been attempted. Especially, researcher of this study was examined based on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troduced by Giorgi. Participants between age of 30 and 40 of this study has examined diagnosis that are schizophrenia and schizoaffective disorder and use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in Dae-Jean. Because it using criterion sampling methods, women with mental disorders were recruited, who were able to lively communicate with this researcher. The ages of children range from 7 to 15. The data collection was from July of 2006 to feb of 2007. In the beginning , participant were 10 persons but 4 persons dropped out in this study.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transferred from unstructured-deep interview to semi-structured interview. Also participants writing such as letter, essay, telephone interview has been used, in fact it has confirmed real value. The frequency of interview has been conducted until not coming out new data, it has been minimum 3 to 5 times and length of interview has been between 90 and 120 mins. Before the interviews, the interviewer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to this participants and obtained the written informed consents from participants. The study has derived 496 core meanings about motherhood experience that described by interview and made up free-imaginative variation. And It made to narrow down 91 meanings, it has categorized 8 structure factor including 26 sub-categories. According to wholistic context, it and derived and examined meaning of its subordinate themes that are found as the research was following. <The process of marrage and giving a birth(involving with leading)> : Women with mental disorders decided a marriage itself in order to escaped from isolation of family and society. However, marriage to them was adapting decision to match with condition and circumstances in the reality rather than their ideal expectation. As getting social status through marriage and giving birth, they included normal life category and found possibility of stability and eternity. Also, due to pregnancy they has quieted medication for baby's health, it brought up physical and mental difficulties, especially fear of giving birth stressed on psychological stress. <Relapsing and sacrifice of family(drawing confusions)> : Although enjoying pleasure and achievement from giving a birth, it happened to them danger of relapsing after giving birth due to lack of supporting system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of after giving birth situation. Women with mental disorders who has suffering from worse symptom has economic and psychological stress to husband and children and psychological withdraw and guilty regardless of children' adaption. Moreover, evaluation of failure parenting has effected motherhood identity that has been settled down stable. <Tension from roles and burden(Living with suffering and taking it)> : Giving and parenting happened almost at same time to mom, roles that has done and being piled one on another has risks to break up the balance of role plays. Parenting and housing was getting harder and harder, this has decreased efficiency and confidence. Also, the extension of family member brought up various need and caused conflict, therefore, inter - communication problems came up. Especially, extended-family includes supporting as well as conflict. <Sigma and difficulty of communication(Standing against cold wall)> : They has difficulties with communication of other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relationship with social sigma. <Offering and demanding supporting system(an approach run)> : Through formal and informal supporting system, they overcome social stigma with gaining economic, psychological social supporting. <Coping and Adapting(fight alone)> : Women with mental disorders have has difficult life, so they had self-regulation and independence ideal of parenting, more detail, 'raising more different and normal, compared to themselves', 'bring-up oneself'. In fact, they has suffer form multi-role and conflicts, in the same time, they tried to accomplished their parenting role more properly through motherhood and responsibility, that can be explained 'I'm raising kid up despite of being sick'. However social support has been helped, in fact it was thank to adapting of role change according to children growing. Coping the mental illness family and their kid adjust inter-family roles. Moreover, their children charged mom's medication and examination and protected mom. <The recognition of being a motherhood(firm supporting building)> : Most participants has taken a motherhood ideology that indicates 'mother must bring up their children'. Thus they followed parenting according to 'social norm about being a good mother'. This being a mother can help to overcome confusion and difficulty. <Social stability and self-extension(Going out into the world)> : Conducting mothering offered relief and achievement. Also growing and security of children guaranteed social status and permission, Women with mental disorders could find possibility of self-growing and walk into world through social stability and self-extension.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derived motherhood experience of women with mental disorders has not been focused on the mental health filed can be offered a good understanding about its character and need. Especially, as understanding of subjective experience of their mothering through motherhood experience of women with mental disorders in the strong tradition of patriarchism of this society having dual burden, social worker and experts can be increased empathy and sensitivity. Also, the symptom of motherhood experience of women with mental disorders has been establishing negative effect into their children and pathological perspective as well as building positive self-identify , as looking for process of motivation growing and rehabilitation, this study could be helped specific intervention strategy in order to empower through strength perspective.;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을 여성 자신의 관점에서, 그들의 목소리를 통하여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있다. 이에 본 고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 하에서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이 어떻게 나타나고 여성정신장애인 스스로 이러한 모성경험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의 본질과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을 살아있는 경험으로 풍부하게 기술하고, 참여자들의 삶의 장과 분리하지 않은 채로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특히 다양한 질적 연구의 연구 전통 중에서 개념이나 현상에 대한 개인의 경험의 의미를 기술하고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경험의 본질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참여자가 진술한 언어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이를 연구자의 학문적 용어로 전환시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일반적, 구조적으로 통합할 뿐 아니라 개별적 특수성을 상황적 맥락 하에서 보여주는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대전지역의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30~40대의 여성정신장애인으로 정신분열병과 분열정동형 정신장애의 진단을 받았다. 표집방법은 연구 목적에 맞는 기준을 세우고 이를 만족시키는 사례를 포함하는 ‘기준표집(criterion sampling)’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제를 가장 잘 반영하는 대상자로 7세~15세의 자녀를 키우고 있으며, 최근 3년 이상 자녀와 함께 거주하고 있는 여성들을 택하였다. 특히 연구 목적에 동의하고 자신의 경험을 진솔하게 잘 드러낼 수 있는 참여자를 선택하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기능이 안정되고,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이 원활한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6년 7월부터 2007년 2월까지이다. 참여자는 총 10명이나 이중 최종 분석단계에는 6명이 포함되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비구조화된 심층면접으로 시작하여 점차 반구조화된 형태로 전환되었다. 또한 참여자가 직접 기록한 편지나 수필 등을 활용하였으며, 사실 가치를 확보하기 위해 참여자들과 수시로 추가 면담, 전화면담을 하여 결과를 반영하고, 수정, 검토하였다. 면담횟수는 더 이상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아 포화가 될 때까지 최소 3회에서 5회 정도였으며 1회기의 평균 면담시간은 1시간 30분 ~ 2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본 연구에서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에서 기술된 내용을 연구자의 자유로운 상상적 변형을 통한 해석으로 총 496개의 중심의미를 도출시켜, 91개로 요약하였으며, 26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묶은 후 다시 8개의 구성요소로 정리하였다. 전체적 맥락에 따라 구성요소와 하위구성요소들 간의 역동적 관계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경험의 구조가 도출되었다. ?결혼과 출산 과정(이끌려 들어가기): 여성정신장애인은 가족과 사회로부터의 소외된 느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지고 결혼을 선택한다. 그러나 여성정신장애인에게 결혼은 이상적 기대보다 현실적 조건과 상황에 따라 맞추어지는 순응적 선택이었다. 그럼에도 결혼과 임신을 통해 사회적 역할지위를 획득하면서 정상적 삶의 범주로 진입하였고, 안정과 구원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한편, 임신기간 동안 자녀의 건강을 위해 정신과 약물을 중단하면서 급격한 신체적, 심리적 어려움이 발생하며, 특히 출산의 두려움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가중시킨다. ?재발과 가족의 희생(혼란에 빠짐): 출산 과정에서 기쁨과 성취를 경험하기도 하지만, 불충분한 산후관리와 지지체계의 부족으로 산후 재발의 위험이 발생한다. 증상적 악화를 경험하게 되는 여성정신장애인들은 남편과 자녀에게 경제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부가하게 되며, 아동의 적응 여부와 별개로 여성정신장애인 자신은 심리적 위축과 자책감을 갖게 된다. 또한 어머니 역할 수행에 실패했다는 주관적 평가에 의해 결혼을 통해 비교적 안정적으로 형성된 모성 정체성에 혼란을 일으킨다. ?역할긴장과 부담(이고 지고 가기): 출산과 동시에 주어진 어머니 역할은 그간의 역할들과 중첩되면서 치열하게 유지해온 역할 수행의 균형을 깨뜨리는 위험을 안고 있다. 양육과 가사의 이중부담이 가속화되고, 이는 부모역할에의 효능감과 자신감을 저하시킨다. 또한 가족구성원의 확대는 구성원간 욕구를 다양화하고, 갈등을 야기하며 이를 기능적으로 해결해나갈 가족 내의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이 발생한다. 특히 확대가족과의 관계는 지지와 갈등을 동시에 내포하는 것이다. ?낙인과 소통의 어려움(차가운 벽 앞에 서기): 가족구조 내에서의 위험 뿐만 아니라 여성정신장애인들은 사회적 낙인에 대한 두려움과 함께 대인관계의 형성과 유지에 있어 어려움을 겪으면서 주변체계와 원활한 소통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지지체계의 지원 및 요구(도움닫기):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체계를 통해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지원을 얻고 사회적 낙인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 간다. ?대처와 적응(고군분투): 여성정신장애인들은 정신적으로 힘든 삶을 살아왔기 때문에 아이들은 ‘나와 다르게 정상적으로 키우고자’ 하며, ‘스스로 알아서 자라도록’하는 자율과 독립을 강조하는 양육관을 보인다. 실제 많은 여성정신장애인들이 다중역할로 인해 역할갈등을 겪고 있으나, 동시에 ‘아파도 내가 키운다’는 모성애적 책임감을 통해 환자 역할보다 정상화된 사회적 역할로서 어머니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는 증상의 안정과 주변의 지지가 큰 몫을 했지만, 동시에 ‘아동의 성장을 통해 역할변화에 적응해’간 덕분이다. 이러한 적응과정과 함께 가족들은 참여자의 정신질환에 대처하기 위해 ‘가족 내 역할을 조정’한다. 또한 어머니의 정신질환에 대해 자녀들은 때에 따라 약물관리와 진료 일정을 챙기는 등 또 다른 보호자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어머니됨의 인식(버팀목 세우기): 참여자들은 대부분 결혼을 하면 ‘아이는 당연히 낳는다’는 모성이데올로기를 수용하며, ‘좋은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규범’에 따라 바람직한 어머니 상을 추종하고 있다. 이러한 어머니됨의 인식은 부부체계의 위기와 증상의 재발 등 혼란과 역경을 이겨내는 든든한 버팀목이 된다. ?사회적 인정과 자아 확장(세상 속으로 나아가기): 여성정신장애인에게 모성경험의 수행은 생존의 안도감과 성취감을 제공한다. 또한 자녀의 성장과 안전은 사회적 지위와 인정을 보장하며, 참여자들은 더 나은 미래와 희망을 위해 자기 성장의 가능성을 발견하며, 사회적 자아로의 확장을 통해 세상 속으로 나아간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과 그 의미는 그동안 지역사회정신보건 현장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 경험의 특성과 욕구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특히 가부장적 전통이 강한 우리 사회에서 ‘여성’이면서 ‘정신장애’의 이중부담을 안고 있는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을 여성 자신의 주관적 경험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실천 현장 전문가의 공감적 이해와 민감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을 증상의 병리적 측면과 자녀에 대한 부정적 영향 뿐 아니라 긍정적 자기 정체성의 하나로 모성정체성을 형성해가면서, 성장과 재활의 동기로 삼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강점중심의 관점을 통해 여성정신장애인의 역량강화를 도모하는데 보다 구체적인 개입전략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 7 C. 연구의 의의 = 8 Ⅱ. 문헌고찰 = 9 A. 여성정신장애의 이해 = 9 1. 정신장애에 대한 관점 = 9 2. 여성정신장애를 설명하는 관점 = 11 3. 여성정신장애인의 특성 및 욕구 = 13 B.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 경험 = 17 1. 정신장애인과 모성 = 17 가. 모성의 개념과 관련 쟁점 = 17 나. 정신장애인과 모성 = 22 2. 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 24 가. 여성정신장애인의 양육특성과 영향에 관한 연구 = 25 나.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과 의미에 관한 연구 = 2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2 A. 연구방법 = 32 1. 연구 설계의 근거 - 현상학 연구 = 32 2.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 = 35 B.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38 1. 표집방법 및 연구참여자 선정 = 38 2. 연구참여자의 특성 = 40 3. 사전조사 = 43 4. 자료수집 = 44 5. 자료 분석 과정 = 46 6. 연구자의 선이해 = 48 7. 윤리적 고려 = 50 8. 연구 평가 기준 - 질적 연구의 엄격성 = 51 Ⅳ. 연구결과 = 55 A. 여성정신장애인 모성경험의 상황적 구조 = 55 B. 여성정신장애인 모성경험의 일반적 구조 = 135 Ⅴ.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 139 A. 결혼과 임신을 통한 모성경험 = 140 B. 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한 모성경험 = 143 C.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한 모성경험 = 146 Ⅵ. 결론 및 제언 = 150 A. 연구결과의 요약 = 150 B. 연구의 함의 = 153 C.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159 참고문헌 = 161 부록-1 면접지침안^(*) = 175 부록-2 연구 참여 동의서 = 176 부록-3 분석단계참고 - 의미단위화의 예^(*) = 177 부록-4 분석단계참고 - 중심의미 기술의 예 = 178 부록-5 구성요소 도출과정 = 179 ABSTRACT = 2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10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60-
dc.title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otherhood Experience among the Women with Mental Disorders-
dc.creator.othernameLee, Hye Kyung-
dc.format.pageⅹ, 21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