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권금주-
dc.creator권금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7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3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774-
dc.description.abstractWhile abusing aged parents arises severe shocks to our society along with sympathy and criticism, most cases of abusing elders are done by their grown-up children or spouses. Reasons of abusing elders count for personal characters of abused elders and abusing children, relationship and circumstances of family and social structure. In order to understand all of the reasons and explain them complete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rocess of family experiences between abusing children and abused parents. In order to understand abusing elders by grown up children, historic flow of family and dynamic view of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are required to examine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 phenomenon of individual elder abuse ev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actice theory to understand the elder abuse that offending daughter-in-laws particularly experienced, and the process of it.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process of abusing elders by daughters-in-law? ". The study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at Strauss and Corbin (1998) presented.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s of 5 people from the Seoul and Nationwide Elder Abuse Prevention Centers, and 1 people from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hey are at the age of 40th ~ 60th, and all live with their spouses and children. They have lived with the elders for 3 ~ 30 years. While interviews were held with them, 4 out of them were living with the elders while 2 were staying in an institution for the aged, or in a separate home. The ages of the elder people were from later half of 70th to later half of 90th. The elders abused were classified to one father-in-law, one grandmother-in-law and three mothers-in-law. Abusing types are neglect, verbal and emotional abuse, physical abuse and financial abuse. In terms of health status of the elders, three of them were able to walk while other three were hard to walk around.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October 2005 to November 2006 with consents of interviewees. Details of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the Ground Theory,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with data collection simultaneously. Following the data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open coding was applied. At the stage of axial coding, category analysis and process analysis were made based on paradigms. In selective coding, the researcher identified core category, wrote a storyline, derived relationship of categories centering around the core category, and classified types and then established conditional matrix. This Study derived 77 concepts, 35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in open coding. As a result of the category analysis by the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in the process of abusing elders by daughters-in-law were 'oppressive feeling', 'likely to die' and 'collapse of family'. A central phenomenon was 'push away'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correspond to this phenomenon were 'wrong relationship', 'do not satisfy' and 'get tough'.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o control the phenomenon were 'endure', 'run away' and 'control'. The intervening conditions which facilitates action/reaction strategies were a 'supporting lug' and a 'shield'. The consequences were 'wrapped in mystery', 'find out a path toward survival' and 'recovering oneself'. The daughter-in-law's process of abusing elders were understood in five phases; 'latent phase', 'endurance', 'escape', 'offending' and 'adjustment'. During the 'latent phase', daughters-in-law suffered from being abused and mistreated from elders and the family members of their husbands. During that phase, daughters-in-law wanted to rely on their husbands, but they didn't satisfy with their support. They were not strong enough to resist such abuses. So they just endure until they had enough strength and foundation. During the phase of 'endurance', daughters-in-law decided to leave elders alone, but kept basic support of them as the pressure of the elders got harder. At the phase of 'escape', the problem gets more complicated as elders resisted against the changed attitudes of their daughters-in-law or as sisters or brothers of their husbands took part in this problem. In the meanwhile, daughters-in-law tried to escape from this problem and find out themselves by converting their energies to social activities, childbirth or getting their own jobs. At the phase of 'offense', daughters-in-law, who felt the risk of collapsing their children and husbands under continued conflicts and crises, yelled out or fought against the elders, limited them to use of fixtures or spaces, or even committed violations. During the phase of 'adjustment', the offending daughters-in-law suffered from the problem which gets unsolved and more complicated, or put to practice any method which could be helpful both for themselves and the elders, or took actions to isolate the elders from them to overcome their lives. In selective coding, core category appears to be 'taking offensive actions to keep the stronghold'.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ionship among the categories which appeared continuously with core category as center, the elder abuse types of daughters-in-law are largely classified to "face-to-face confrontation type' that elder and daughter-in-law confront each other with equal strength, 'anger type' that daughter-in-law's anger and feeling of being mistreated rise and they suffer from the feeling of being victimized while pressure of elders is continued, 'endurance type' that daughter-in-law tries to endure the pressure of elders as they can control it, and 'hope type' that conflicts with elders are rapidly solved even though elder control is not possible.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study,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argu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with regard to start of elder abuse, the phase of 'escape' when daughter-in-law is reluctant or refuses to take care of elders is the start point of elder abuse. Second, core causes of elder abuse are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relationship' that both elder and daughter-in-law experience in a family. Third, in connection with elder abuse, 'reverse of power' plays a significant role that daughter-in-law gets enough power to resist against and control elders. Forth, elder abuse gets harder by heavy burden of roles and conflict of roles of daughter-in-law in a family. Fifth, mediator of elder abuse is internal and external 'elder support inconsistency' between daughter-in-law and elder. Sixth, in terms of elder abuse prevention, elders favors unofficial supportive network. Seventh, the process of elder abuse is circulative, and gets accelerated to the state when 'elder control is not possible'. Eighth, the researcher pointed out that more systematic approach of 'official intervention' is necessary, and that two stages of intervention are required. Finally, the researcher attached a suggestion that all of the discussions mentioned in this study needs to be followed by continuous researches in social welfare theories, practices and policies.;노부모를 학대하는 것에 사회가 심각한 충격과 공감, 패륜아로 보는 우리나라 문화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노인학대는 성인자녀와 그 배우자들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노인학대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피해노인 및 가해자녀의 개인적 성향, 가족관계 및 상황적 요인, 더 나아가서는 사회구조적 요인까지 복합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요인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통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가해자녀와 피해노인간에 이루어진 가족경험의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가정 내에서 성인자녀에게 일어나는 노인학대를 이해하기 위해서 단편적인 노인학대 발생 현상만이 아닌 가족의 역사적 맥락과 가족성원 간 관계의 역동성 측면을 고려하여 노인학대를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해자녀 중 며느리 가해자를 중심으로 그들이 노인과의 관계에서 경험한 노인학대와 그 과정을 이해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며느리에 의한 노인 학대 과정은 어떠한가? 로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및 전국 노인학대예방센터를 통해 의뢰받은 5명과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의뢰받은 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연령은 40대에서 60대로 모두 배우자와 자녀가 함께 살고 있다. 노인과의 동거기간은 짧게는 3년에서 길게는 30년 이상이었고, 인터뷰 당시 4명이 동거 상태였고 2명은 시설 입소 또는 근처에 분가하여 분리된 지 1년이 채 안된 상태였다. 노인의 나이는 70세 후반에서 90세 후반까지이며 피해노인의 유형은 시아버지인 경우가 1명, 시할머니인 경우가 1명, 시어머니인 경우가 3명이며, 시부모인 경우도 1명이다. 노인에게 행한 학대 행위는 방임, 언어·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그리고 재정적 학대였으며, 노인의 건강상태는 거동이 가능한 노인은 3명이고 그렇지 못한 경우도 3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면담자 동의를 받고 이루어졌으며, 심층면담내용은 녹음한 뒤 그 내용을 녹취하여 근거이론의 절차에 따라 자료수집과 동시에 분석 작업을 진행하였다. Strauss와 Corbin(1998)의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개방코딩을 하였고 축코딩 단계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으며,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 윤곽을 적고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유형을 분류한 후 상황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에서 77개의 개념, 35개의 하위범주, 15개 범주 도출되었으며, 축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 결과 가해며느리의 노인학대 과정의 인과적 조건은 ‘중압감’, ‘죽을 것 같음’, ‘가족이 무너짐’이었고, 중심현상은 ‘밀어내기’였다. 이 현상에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은 ‘잘못된 만남’, ‘성에 안참’, ‘억세짐’이었으며,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버티기’, ‘달아나기’, ‘통제하기’였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은 ‘버팀목’, ‘비빌언덕’이었고, 결과는 ‘미궁에서 헤맴’, ‘상생의 길 찾음’, ‘내 삶 추스림’으로 나타났다. 가해며느리의 노인학대 과정은 ‘잠복기’, ‘버티기’, ‘벗어나기’, ‘반격하기’, ‘조정하기’ 5단계로 파악되었다. ‘잠복기’는 가해며느리가 노인과 시댁식구에게 설움과 구박을 받고, 남편에게 의지하고 싶지만 자신의 기대에 못 미치는 경험을 하면서, 이에 대항하고 벗어날 힘이 없어 참고 견디면서 자신의 입지와 힘을 만들어 가는 단계이다. ‘버티기’는 가해며느리가 어려운 상황이 중첩되는 상황 가운데 점점 노인의 밀려오는 중압감에 견디기가 벅차면서 노인을 놓아버리는 결심을 하게 되나, 그래도 최소한의 기본부양을 유지하는 단계를 말한다. ‘벗어나기’는 가해며느리의 태도에 대해 노인이 저항하거나 시형제들이 개입하면서 문제가 더욱 악화되는 가운데 며느리의 신체화 증상이나 자신이 죽을 것 같은 경험을 하면서 노인과 그 문제에 쏟는 에너지를 사회생활이나, 자녀출산, 생업 등에 열중하여 문제로부터 회피하고 자신의 존재감을 찾는 단계이다. ‘반격하기’는 노인으로 인한 갈등과 긴장이 지속되면서 자 자신의 생명과도 같은 자녀와 남편이 흔들려 가족이 무너질 것 같은 위기감을 느끼면서 노인에게 소리 지르며 대항하고 맞싸우거나, 노인에게 기물과 공간 사용을 제한시키거나, 폭력까지 나타나는 단계를 말한다. ‘조정하기’는 위의 단계들을 경험하면서 가해며느리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점점 미궁 속에서 헤매거나, 자신 및 노인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을 찾아 이를 실행에 옮기거나, 아니면 노인을 자신과 구분하여 자신의 삶는 추스르려 하는 행동을 보이는 단계를 말한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아성 사수 위해 반격하기’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들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가해며느리의 노인학대 유형은 노인과 며느리의 상호간 힘의 대결이 지속되고 있는 ‘상호대결형’, 노인 중압감이 지속되면서 며느리의 분노와 억울함이 상승되어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있는 ‘울분형’, 노인에 대한 지속적인 중압감이 커지고 있지만 노인통제가 가능하기에 이 상황을 견디려는 ‘지탱형’, 노인 통제가 불가능하지만 외부 도움으로 노인과의 갈등이 급격히 낮아지는 ‘희망형’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에서 발견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논의를 주장하였다. 첫째, 노인학대 시작에 대해 가해며느리들은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나, 노인의 돌봄을 축소 또는 거부하는 시점인 ‘밀어내기’가 노인학대 시작으로 볼 수 있음과 둘째, 노인학대 핵심요인을 노인과 며느리가 가족이라는 틀 속에서 경험한 ‘관계의 질’이 영향을 주고 있음을 셋째, 노인학대 발생요인은 가해며느리가 노인에게 대항할만한 힘이 생기고 노인에게 통제가 가능해지는 ‘힘의 역전이’가 중요함을 설명하였다. 넷째, 노인학대 가속요인으로 가해며느리의 ‘역할과중과 역할 갈등’을 강조하였고, 다섯째, 노인학대 매개요인은 가해며느리와 노인의 내·외적 ‘노인부양 불일치’였으며, 여섯째, 노인학대 방지 요인으로 ‘지지체계’를 살펴보면서 비공식적 지지망을 더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일곱 번째 노인학대 과정은 순환되는 과정을 가지면서 점점 ‘노인 통제 조절의 불가능’이 보이는 상황까지 가속될 수 있음과 여덟 번째, 노인학대 결과가 주는 의미를 통해 ‘공적개입의 관점과 필요성’에 대해 체계론적 관점이 더 필요하고 이를 위한 개입을 두 가지 단계로 접근할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통해 사회복지 이론, 실천 및 정책에서의 함의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문제 = 6 C. 연구의 의의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노인학대의 개념 = 9 B. 노인학대 발생 및 과정 관련 이론 = 14 C. 노인학대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 22 Ⅲ. 연구방법 = 34 A. 연구 설계 = 34 B. 연구 참여자 선정 및 윤리적 고려 = 35 C. 연구자 준비 = 36 D. 자료수집 방법 = 36 E. 자료 분석 방법 = 38 F. 연구 결과의 평가 = 43 Ⅳ. 연구결과 = 45 A. 연구참여자의 특성 = 45 B. 개방코딩 = 52 C. 축코딩 = 93 1. 패러다임 모형에 의한 범주분석 = 93 2. 과정분석 = 97 D. 선택코딩 = 106 1. 핵심범주 = 106 2. 이야기 윤곽 전개 = 110 3.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진술 = 114 4. ‘아성 사수 위해 반격하기’의 유형 분석 = 116 E. '아성 사수 위해 반격하기'의 상황모형 = 127 Ⅴ. 논의 = 131 A. ‘아성 사수 위해 반격하기’에 대한 논의 = 131 1. 노인학대의 시작 : 밀어내기 = 131 2. 노인학대의 핵심 요인 : 관계의 질 = 133 3. 노인학대의 발생 요인 : 힘(power)의 역전이 = 136 4. 노인학대의 가속 요인 : 역할 과중과 역할 갈등 = 140 5. 노인학대의 매개 요인 : 노인부양의 불일치 = 141 6. 노인학대의 방지 요인 : 지지 체계 = 143 7. 노인학대 과정의 이해 : 노인 통제 조절의 불가능 = 146 8. 노인학대 결과가 주는 의미: 공적개입의 관점과 필요성 = 147 B. 사회복지학적 함의 = 151 C.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156 참고문헌 = 158 Abstract = 1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695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60-
dc.title노인학대 과정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Process of Abusing Elders : Centering Around the Experiences of Offending Daughter-in-Laws-
dc.creator.othernameKwon, Kum Ju-
dc.format.pageⅶ, 17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