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정-
dc.creator송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7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3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7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만 4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또래와의 사회극놀이에서 정신상태 용어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살펴보고, 사회극놀이, 정신상태 용어와 마음이론간의 관련성을 종합적으로 규명해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사회극놀이에서 유아들의 정신상태 용어 사용 양상은 어떠한가? 1-1. 사회극놀이에서 유아들의 욕구상태, 정서상태, 인지상태 용어 사용빈도는 어떠한가? 1-2. 사회극놀이에서 유아들의 정신상태 용어가 표현되는 관점은 어떠한가? 2. 사회극놀이, 정신상태 용어, 마음이론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극놀이 빈도 및 사회극놀이 수준은 정신상태 용어 사용과 관계가 있는가? 2-2. 정신상태 용어 사용은 마음이론과 관계가 있는가? 2-3. 극놀이 빈도 및 사회극놀이 수준은 마음이론과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중류층 주거지역에 위치한 G 어린이집과 S 어린이집 2곳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64명(남여 각각 32명)이다. 유아들의 극놀이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Rubin(1989)이 개발한 「놀이 관찰 척도(POS: Play Observation Scale)」를 번안ㆍ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극놀이 관찰은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놀이 행동을 20초 간격으로 시간표집법(time sampling)을 사용하여 각 유아당 총 80회 실시하였다. 사회극놀이 수준은 Smilansky와 Shefatya(1990)가 개발한 「사회극놀이 수준 평정 척도(SPRC: Sociodramatic Play Rating Scale)」를 예비 연구를 거쳐 번안ㆍ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사회극놀이의 수준 측정은 4명의 유아들(남아 2명, 여아 2명)을 하나의 놀이 집단으로 구성하여 독립된 공간에 따로 마련된 역할놀이 영역에서 30분 동안 총 2회에 걸쳐 사회극놀이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정신상태 용어는 국내ㆍ외 선행 연구들을 참조하여 만든 「정신상태 용어 목록」을 예비 연구를 거쳐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마음이론은 Perner, Leekam과 Wimmer(1987), Wimmer와 Perner(1983)가 고안한 틀린-믿음(false-belief) 를 예비 연구를 거쳐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언어능력은 김영태ㆍ장혜성ㆍ임선숙ㆍ백현정(1995)의 「그림 어휘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마음이론 및 언어능력 검사는 연구자와 유아가 일대일 개별 면접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의 단순 상관 및 부분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정신상태 용어 사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유아들은 전체 발화 빈도 중에서 약 20%를 정신상태 용어로 사용하고 있었다. 정신상태 용어 중에서는 욕구상태 용어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정서상태 용어, 인지상태 용어 순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유아들은 욕구상태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핵심용어보다 양태표현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인지상태 용어는 양태표현보다 인지상태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핵심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욕구상태 용어 중에서는 ‘∼하고 싶다’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할래’, ‘∼하면 좋겠다’, ‘∼할 거야’, ‘필요하다’ 등의 순으로 사용하였다. 정서상태 용어 중에서는 ‘좋다’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싫다’, ‘재미있다’, ‘고맙다’, ‘무섭다’ 등의 순으로 사용하였다. 인지상태 용어 중에서는 ‘알다’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라고 하다’, ‘모르다’, ‘찾다’, ‘생각하다’ 순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정신상태 용어를 ‘자신’의 관점에서 가장 빈번하게 표현하였고, 다음으로 놀이 ‘상대’, ‘사물’, ‘자신과 상대’ 관점 순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사회극놀이는 전반적으로 정신상태 용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유아들은 극놀이에 빈번하게 참여할수록 또래와의 사회극놀이에서 정서상태 용어와 인지상태 용어를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사물 및 역할, 행동 및 상황의 가작 수준이 높고, 자신이 맡은 역할놀이를 오랫동안 지속하며, 또래들과 상호작용을 빈번하게 나누고, 놀이 주제와 연관하여 언어적 의사소통을 높은 수준으로 나눌수록 사회극놀이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의 욕구 및 정서, 인지상태를 표현하는 용어들을 보다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극놀이 참여 빈도가 높은 유아는 정신상태 용어를 ‘자신’과 ‘상대’의 관점에서 빈번하게 표현하였으며, 사회극놀이 수준이 높은 유아는 정신상태 용어를 ‘자신’, ‘상대’, ‘사물’의 관점에서 보다 빈번하게 표현하였다. 셋째, 사회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정신상태 용어는 마음이론과 전반적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위 범주별로는 욕구상태 용어와 인지상태 용어가 마음이론과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정서상태 용어는 마음이론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즉, 유아가 사회극놀이에서 또래에게 바람이나 욕구, 믿음과 지식을 의미하는 욕구상태 용어와 인지상태 용어를 빈번하게 사용할수록 틀린-믿음을 보다 잘 이해하였다. 또한, 유아들이 정신상태 용어를 ‘상대’의 관점에서 빈번하게 표현할수록 틀린-믿음을 보다 잘 이해하였다. 넷째, 사회극놀이 수준은 전반적으로 마음이론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극놀이 참여 빈도는 마음이론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즉, 유아가 사회극놀이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을수록 틀린-믿음을 보다 잘 이해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들은 사회극놀이에서 자신과 타인의 바람이나 의도, 믿음, 감정 등과 같은 외현적 관찰이 불가능한 내면적 정신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들을 또래들에게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용어들은 극놀이 빈도와 사회극놀이 수준과 관련성이 있었다. 그리고 사회극놀이에서 사용하는 정신상태 용어의 사용과 유아의 사회극놀이 수준은 틀린-믿음으로 측정된 마음이론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use of child's mental state terms in sociodramatic play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odramatic play, the use of mental state terms and the theory of mind of 4-year-old children.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required to be considered: 1. What is the use of children's mental state terms in sociodramatic play? 1-1. What is the utterance of desire state terms of children, emotional state terms and cognitive state terms in sociodramatic play? 1-2. What is the subject which children express the mental state terms in sociodramatic play?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ramatic play, mental state terms and the theory of mind? 2-1. Is t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dramatic play, the level of sociodramatic play, and the use of mental state terms? 2-2. Is the use of mental state terms related to the theory of mind? 2-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dramatic play, the level of sociodramatic play, and the theory of mind?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sixty four 4-year-old children(32 boys, 32 girls) who attend two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Do. Play Observation Scale(POS) which was developed by Rubin(1989) is used to measure the frequencyof dramatic play. POS was adapted and modified to be applied in this research. For the observation of dramatic play, the play behavior of children in free play were measured with using time sampling at every 20 seconds for 80 times per a child. The level of sociodramatic play was evaluated by using Sociodramatic Play Rating Scale(Smilansky & Shefatya, 1990). Four children(2 boys, 2 girls) were filmed twice while doing a play together for 30 minutes in a quiet playroom supplied with materials chosen to encouraged sociodramatic play. Utterances of children's mental state terms made in sociodramatic play were analysed by using the list of mental state terms which was derived from the earlier studies and from the preliminary study of sociodramatic play. The theory of mind was assessed by using false-belief tasks that involved unexpected change tasks of place and contents, which were based on the Smarties task(Perner, Leekam, & Wimmer, 1987) and the Maxi task(Wimmer & Perner, 1983). Children's language ability was also assessed by the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Each child was tested individually with the researcher in the same room.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Pearson's bivariate correlations and partial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hile analyzing the utterance of mental state terms in sociodramatic play, children uttered mental state terms about 20% out of the whole utterance. The desire state terms appeared most frequently in sociodramatic play, followed by emotional state terms and cognitive state terms. Also, children expressed the modality expressions which describe the child's desire state more frequently than the desire state core terms, whereas cognitive state core terms are expressed more frequently than modality expressions which describe the child's cognitive state. Children attributed a large proportion of mental state to 'self', followed by in order of 'other', 'material', and 'both'. Secondly, a positive correlation can be found between sociodramatic play and the use of mental state terms. That is to say, the frequency of dramatic pla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use of emotionaland cognitive state terms. Also, the level of sociodramatic pla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utterance of desire, emotional, and cognitive state terms. Children with higher participation in dramatic play who attribute more than other children with lower participation expressed the mental state terms from 'self' and 'other' point of view and children with higher level of sociodramatic play uttered more frequently mental state from the subject of 'self', 'other' and 'material'. Thirdly, an overall significant correlation is shown between utterances of mental state terms in sociodramatic play and the theory of mind. The use of desire and cognitive state term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heory of mind, but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the utterances of emotional state terms and theory of mind. In addition children with larger proportion of mental state to 'other' performed higher score in false-belief tasks. Fourthly, the level of sociodramatic play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theory of mind, whereas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dramatic play and theory of mind. This means that children with higher level of sociodramatic play perform better than children of lower level of sociodramatic play in false-belief tasks. In conclusion, children utter metal state terms which describe desire, attention, belief, and feeling state in sociodramatic play. and utterances of mental state terms are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dramatic play and level of sociodramatic play. The theory of mind is also correlated with the use of mental state terms within sociodramatic play and the level of sociodramatic pl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10 Ⅱ. 이론적 배경 = 11 A. 유아의 어휘 습득과 발달 = 11 B. 사회극놀이에서의 정신상태 용어 = 13 C. 마음이론 = 26 D. 사회극놀이, 정신상태 용어, 마음이론과의 관계 = 3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44 A. 연구 대상 = 44 B. 연구 도구 = 45 C. 연구 절차 = 61 D. 자료 분석 = 72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73 A.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 73 B. 사회극놀이에서 유아의 정신상태 용어의 사용 양상 = 76 C. 사회극놀이, 정신상태 용어, 마음이론과의 관계 = 83 Ⅴ. 논의 및 결론 = 91 A. 논의 = 91 B. 결론 및 제언 = 108 참고문헌 = 114 부록 = 129 ABSTRACT = 1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203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72-
dc.title만 4세 유아의 사회극놀이에서의 정신상태 용어와 마음이론과의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State Terms and Theory of Mind of 4-year-old Children in Sociodramatic Play-
dc.creator.othernameSong, Jung-
dc.format.pageⅸ, 14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