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3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8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er factors influencing self-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University students need to develop self-leadership to be effective and affiliated persons. They try to find out who they are, to search what to do, and to build relationship with various people. They have to accomplish their developmental task to be mature citizens. It is a worldwide movement of universities to develop leadership for their students, but this movement is just a starting point. It is needed that the basic research activating the self-leadership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is to control behavior and thought to realize the object that people put in their mind. Manz(1998) put forth ten tendencies of behavior and thought to be a self-leader and named them self-leadership strategies. He specified the unified manner of behavior and thought to be self-leader in the point that all the people had individual difference in behaving and thinking.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development for university students was highly stressed, there was only minimal research relating to the self-leadership development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So it was useful to explore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self-leadership. The learner factors addressed in this study were gender, grade, major, the definition of leadership, the perception of one's leadership level, the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leadership course, the prior leadership education experience, learning style, and locus of control.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ould be factors of learner making difference in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 and cognitive-focused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Second, there would be factors of learner influencing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 and cognitive-focused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To examine the hypotheses, a questionnaire was made and distributed to 1,000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attending leadership lectures at their respective schools.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Learning Style Inventory, Locus of Control Inventory, an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eta correlation,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self leadership, learner factors like gender, grade, definition of leadership, the perception of one's leadership level, the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course, learning style, and locus of control turned out to make difference. Regarding behavior-focused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learner factors like gender, grade, definition of leadership, the perception of one's leadership level, the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course, learning style, and locus of control made difference. Regarding cognitive-focused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learner factors like grade, definition of leadership, the perception of one's leadership level, the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course, learning style, and locus of control turned out to make difference. Second, learner factors influencing self-leadership turned out to be locus of control, the perception of one's leadership level, gender, the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leadership course, the definition of leadership, learning style, and locus of control, with perception of one's leadership level the most explaining factor. Regarding the behavior-focused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locus of control, the perception of one's leadership level, gender, the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leadership course, learning style, the definition of leadership, and major were the impacting factors, with perception of one's leadership level the most explaining one. Regarding cognitive-focused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locus of control, the perception of one's leadership level, the definition of leadership, the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leadership course, gender, major, and learning style were the impacting factors, with perception of one's leadership level the most explaining one. The implications of my research on self-leadership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women did better in self-leadership than men, but women did not think their level of self-leadership ability was high. As a result, women require education to enhance confidence in their leadership ability. Second, grade made differences in cognitive-focused strategies, not in behavioral strategies. So it would be useful to provide activities and roles matching the needs of each grade. Third, students majoring natural science·engineering scored better than students majoring in liberal arts or social sciences, even though they had fewer opportunities to develop self-leadership strategies. So it would be useful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majoring natural science·engineering, and arts·music·physical education to develop their self-leadership strategies. It is also helpful to provide various activities to practice cognitive-focused self-leadership strategies to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s. Fourth, students who define leadership as self-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made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strategies. Also positive thinking and optimism turned out to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factors enhancing self-leadership strategies. So it would be useful to learn the leadership of twenty-first century, and learn about positive and optimistic thinking. Fifth, there were not many students who had prior leadership education experience. Further, prior leadership education experience turned out not to affect self-leadership. These results justified that if university students had an excellent self-leadership development experience in school, they could be an effective self-leader. As a result, the universities should open practical self-leadership development classes to as many as possible. Sixth, learning style turned out to be useful factors influencing self-leadership. Self-leadership strategies were related to the Abstract Conceptualization of Kolb's learning style. Divergers who are wanting in Abstract Conceptualization got the lowest score of self-leadership in all the learning styles. Relating to grade and major, most freshmen and students majoring in liberal arts turned out to be divergers, and there must be actions to help divergers develop their self-leadership strategies. Seventh, internal locus of control turned out to affect all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So it is basic and necessary for students to have an internal locus of control, before starting self-leadership development. There are some recommendations of the researcher about the principles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development. First, self-leadership strategies development is related to logical thinking. So it would be good to provide university students opportunities to think logically. Second, self-leadership strategies development is also related to positive and optimistic thinking. It would be useful to provide university students opportunities to enhanc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optimism. Third, reviewing leadership theories is critical to self-leadership development. It would be useful to provide university students to learn recent leadership theories, in the point that leadership theories were founded by the need of modern society. Fourth, there must be special basic self-leadership strategies development program for the freshmen. Freshmen turned out to be the worst self-leader. The lesson freshmen needed is positive thinking, autonomous management of school affairs, and amicable relationships. Further studies focused on learners, facilitators, and university administrators are recommended to activate self-leadership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These basic studies will further assist university students to become more effective, affiliated, and leadership-competent.;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을 추출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셀프 리더십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생 시기는 자신의 정체성과 개성을 찾고, 진로를 설계하며,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는 시기이며,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연결하는 시기이다. 대학생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성숙한 시민으로서 담당해야 할 역할을 완수하기 위하여 스스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셀프 리더십의 개발이 절실하다. 국․내외의 대학들은 대학생들의 리더십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리더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착수한 지 불과 2년에서 3년밖에 되지 않았고, 내용과 방법적인 면에서 통일되고 일관성 있게 구성하여 전달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므로, 앞으로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개발을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셀프 리더십을 개념화 한 만츠(Manz, 1998)는 사람마다 행동하고 생각하는 방법에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셀프 리더십을 갖추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을 지정하여 이를 셀프 리더십 전략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셀프 리더십을 행동적 전략과 인지적 전략으로 구분하였으며, 셀프 리더십을 발휘한다는 것은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과 인지적 전략을 잘 활용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셀프 리더십 전략은 학습을 통하여 개발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근거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차이를 유발하는 학습자 변인은 무엇인가' 둘째, 대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셀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성, 학년, 전공, 리더십에 대한 인식, 리더십 교육 경험의 유무, 학습양식의 유형, 그리고 통제 소재와 같은 학습자 변인을 독립변수로 정하였다. 학습자 변인 가운데 대학생들의 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리더십을 무엇으로 정의하는가와 자신의 리더십 수준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그리고 리더십 교육이 리더십 개발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세 문항을 제작하였다. 또한 그들의 학습양식의 유형과 통제 소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양식의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콜브(Kolb, 1984)가 개발한 학습양식의 유형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콜브(Kolb, 1984)는, 사람들이 학습 과정에서 중점을 두는 단계에 따라 학습양식의 유형을 적응자, 수렴자, 융합자, 분산자로 분류한 바 있으며, 사람들의 행동양식에 대하여 학습양식의 유형이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크기 때문에, 학습양식의 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학습양식의 유형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대학생들의 통제 소재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도구는 로터(Rotter)의 것을 근거로 하였다. 로터는 사람들이 삶을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는가의 여부에 따라 내적 통제 소재와 외적 통제 소재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며, 사람들의 통제 소재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제 소재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로터가 개발한 통제 소재 검사 도구를 유귀옥(1997)이 15문항으로 압축하여 사용한 통제 소재 검사 도구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로서 대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을 발휘하는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만츠(Manz, 1998)가 개발한 셀프 리더십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만츠는 셀프 리더십이 행동적 전략과 인지적 전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시하였다. 그는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에는 일을 하기 전에 관찰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자기관찰', 필요한 단서들을 잘 활용하는 '단서전략', 일을 방향성 있게 진행하기 위한 '목표설정', 목표한 바를 완수했을 때 원하는 행동이나 물건을 제공하여 계속 동기 부여하는 '자기보상', 그리고 목표한 행동의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습'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만츠는 셀프 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에는 즐겁게 할 수 있는 활동을 찾는 '자연보상의 분별', 일을 즐겁게 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발견하는 '환경조성', 즐겁게 일하도록 동기 부여하는 '자연보상을 주는 활동을 일에 도입하기', 일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일의 좋은 면에 초점 맞추기' 그리고 칭찬이나 상과 같은 외적인 보상보다 일 자체의 보람과 만족에 초점을 맞추는 '내적 보상에 집중하기'가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츠(Manz, 1998)가 제시한 열 개의 셀프 리더십 행동적 전략과 인지적 전략 학습내용으로 구성하고, 대학생들의 셀프 리더십 발휘 수준을 파악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셀프 리더십 개발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하는 점을 탐색하기 위하여 만츠(Manz, 1998)의 셀프 리더십 측정도구의 모든 문항을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시내 종합대학교 가운데 리더십 관련 교육을 실시하는 11개 학교 중에서 2단계 군집 표집의 방법으로 표집하였는데, 1단계로 6개 학교를 추출하고, 2단계로 각 학교에서 1개에서 2개의 수업을 선정하였다. 그 후, 선정된 학교에서 리더십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배부된 1,000부의 설문지 가운데 900부가 회수되었으나,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855부였다. 본 연구에서는 855부의 설문지를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ANOVA, 상관분석,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학습자 변인에 따라 셀프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여학생들과 2학년 및 3학년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을 잘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십을 셀프 리더십으로 정의한 학생들, 자신의 리더십 수준이 높다고 인식한 학생들, 리더십 교육 효과가 있다고 인식한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을 잘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렴자 및 융합자의 학습양식의 유형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과 내적 통제 소재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도 셀프 리더십을 잘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학습자 변인에 따라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을 활용하는데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들과 2학년 및 3학년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셀프 리더십을 리더십으로 정의한 학생들, 자신의 리더십 수준이 높다고 인식한 학생들, 리더십 교육 효과가 있다고 인식한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렴자 및 융합자의 학습양식의 유형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과 내적 통제 소재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학습자 변인에 따른 셀프 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을 활용하는데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2학년 학생들과 셀프 리더십을 리더십으로 정의한 학생들이 인지적 전략을 잘 활용하였고, 자신의 리더십 수준이 높다고 인식한 학생들과 리더십 교육 효과가 있다고 인식한 학생들과 적응자 학습양식의 유형을 가진 학생들, 그리고 내적 통제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이셀프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을 분석한 결과, 셀프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은 자신의 리더십 수준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리더십 수준을 높다고 인식하는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을 가장 잘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내적통제 소재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을 잘 발휘하였다. 그리고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리더십 교육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는 학생들이 없다고 인식하는 학생들에 비하여, 이공 계열이 인문 계열에 비하여 셀프 리더십을 발휘하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분산자 학습양식을 가진 학생들이 적응자 학습양식의 유형을 가진 학생들에 비하여, 그리고 리더십을 상황이론에 근거하여 리더십을 정의한 대학생들이 특성이론에 근거하여 정의한 대학생들에 비하여 셀프 리더십을 잘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을 활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을 분석한 결과, 자신의 리더십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학생들과 여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을 가장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적 통제 집단이 외적 통제 집단에 비하여, 리더십 교육 효과가 있다고 인식한 학생들이 없다고 인식한 학생들에 비하여, 이공 계열이 인문 계열에 비하여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분산자 학습양식의 유형을 가진 학생들이 적응자 학습양식의 유형을 가진 학생들에 비하여, 그리고 리더십을 상황이론에 근거하여 정의한 대학생들이 특성이론에 근거하여 정의한 대학생들에 비하여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을 활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은 자신의 리더십 수준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리더십 수준을 높게 인식한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을 가장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적통제 소재를 가진 학생들이 외적통제 소재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 비하여, 리더십 교육 효과가 있다고 인식한 학생들이 없다고 인식한 학생들에 비하여, 리더십을 서번트 리더십과 셀프 리더십으로 정의한 학생들이 특성이론으로 정의한 학생들에 비하여, 셀프 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검증 결과에서는 여학생과 남학생이 셀프 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을 활용하는 데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셀프 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을 조금 더 잘 실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반면, 분산자는 적응자에 비하여, 사회․교육 계열이 인문 계열에 비하여, 리더십을 상황이론에 근거하여 정의한 대학생들이 특성이론에 근거하여 정의한 대학생들에 비하여 셀프 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학습자 변인에 따라 대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을 개발하는데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하여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을 더 잘 활용한다. 따라서 여학생에게는 리더로서 갖는 자신감을 회복하게 하고, 남학생에게는 셀프 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을 익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셀프 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을 잘 활용하지만, 학년에 따른 행동적 전략의 활용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모든 학년이 통합적으로 함께 리더십을 개발하되, 학년에 따른 인지적 특성의 차이를 고려한 셀프 리더십 전략 개발 내용과 방법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비교적 셀프 리더십 개발의 기회가 적었던 이공 계열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을 잘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공계열 학생들의 잠재된 셀프 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하여 그들에게 더 많은 셀프 리더십 개발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셀프 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의 활용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교육 계열 학생들에게 일을 즐겁게 하면서도 보람과 만족을 느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넷째, 셀프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으로 리더십을 정의한 학생들은 리더십을 다르게 정의한 학생들에 비하여 셀프 리더십을 잘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십의 개념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대학생들에게 현대 사회가 요청하고 있는 새로운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신의 리더십 수준과 현재 받고 있는 리더십 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의 모든 전략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대학생들에게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에 대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다섯째, 셀프 리더십은 콜브(Kolb, 1984)의 경험학습 모형 가운데 추상적 개념화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양식의 유형 가운데 추상적 개념화에 초점을 맞춘 수렴자 및 융합자 학습양식의 유형을 가진 학생들이 자기관찰 전략을 잘 활용하는 반면, 추상적 개념화에 중점을 두지 않은 분산자 학습양식의 유형을 가진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의 모든 전략을 가장 활용하지 못하였다. 분산자 학습양식의 유형을 가진 대학생들은 주로 1학년과 인문 계열 학생들로 나타났는데, 이들을 대상으로 추상적인 사고를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대학생들이 삶을 통제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는가의 여부는 셀프 리더십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내적통제 성향의 학생들이 셀프 리더십의 모든 전략의 활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셀프 리더십 전략 개발의 기초로서 대학생들에게 내적통제의 성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학생들에게 셀프 리더십을 개발하는데 있어 학습자 변인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고찰하면서 셀프 리더십 개발에 관한 기본 방향을 세웠는데, 그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에게 셀프 리더십 개발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체계화하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셀프 리더십을 개발하면서 리더십의 개념의 발전 동향을 살피고 현대사회가 요청하는 리더십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셀프 리더십을 잘 발휘하지 못하는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우선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셀프 리더십을 개발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들에게 셀프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면, 그들은 학업에서 최선을 다하고, 진로를 잘 설계할 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성숙한 직업인과 세계 시민으로서 능력을 발휘할 것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셀프 리더십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는 후속연구는 성인학습이론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학습 설계에 영향을 주는 학습자, 교수자, 그리고 교육기관의 관점에서 제시할 수 있다. 학습자를 둘러싼 다양한 변인과, 교수자의 교육에 관하여 가지고 있는 철학, 그리고 교육기관의 운영 계획 등 폭넓은 관점에서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개발을 연구한다면, 대학생들을 효율적이고, 원만하며, 셀프 리더십을 갖춘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셀프 리더십 = 7 1. 리더십 이론의 발전과정 = 7 2. 셀프 리더십 이론 = 14 3. 셀프 리더십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 28 B. 대학생과 셀프 리더십 개발 = 37 1. 대학생을 위한 리더십 교육의 필요성 = 37 2. 우리나라 대학의 리더십 교육 현황 = 43 3.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 48 Ⅲ. 연구 방법 = 64 A. 연구 대상 = 64 B. 연구 절차 = 64 C. 조사 도구 = 65 1. 조사 도구 = 65 2. 조사 도구의 작성절차 = 68 D. 연구 가설 = 73 Ⅳ. 연구 결과 = 77 A. 연구 대상의 특성 = 77 B. 조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 80 1. 학습양식의 유형 검사 도구 = 80 2. 통제 소재 검사 도구 = 82 3. 셀프 리더십 측정도구 = 82 C. 대학생의 학습자 변인에 따른 셀프 리더십의 차이검증 = 88 1. 대학생의 학습자 변인에 따른 셀프 리더십의 차이검증 = 88 2. 대학생의 학습자 변인에 따른 셀프 리더십 행동적 전략의 차이검증 = 92 3. 대학생의 학습자 변인에 따른 셀프 리더십 인지적 전략의 차이검증 = 119 D.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분석 = 147 1.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분석 = 148 2.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행동적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분석 = 151 3.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인지적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분석 = 159 Ⅴ. 결론 및 논의 = 169 A. 요약 = 169 1. 대학생의 학습자 변인에 따른 셀프 리더십의 차이검증 = 169 2. 대학생의 학습자 변인에 따른 셀프 리더십 행동적 전략의 차이검증 = 170 3. 대학생의 학습자 변인에 따른 셀프 리더십 인지적 전략의 차이검증 = 171 4.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 분석173 B. 결론 및 논의 = 177 C. 제언 = 182 1. 학습자 변인을 고려한 대학생 셀프 리더십 개발에 관한 제언 = 182 2. 대학생 셀프 리더십 개발의 기본 방향 = 185 3. 셀프 리더십의 전략을 학습내용으로 구체화하는 방안 = 186 D.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 = 189 참고문헌 = 192 부록 = 205 부록 1 설문지 = 205 부록 2 개인 변인 분포도 = 215 ABSTRACT = 2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456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70-
dc.title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n Inquiry into Learner Factors Influencing the Self-Leadership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dc.creator.othernameKim, Min Jung-
dc.format.pagexiv, 22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