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吳眞娥-
dc.creator吳眞娥-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5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5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3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506-
dc.description.abstractAccording to increasing the number of children-oriented nuclear family by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their children's illness and hospitalization may be faced with the crisis of family Mother's knowledge and perception concerning the children's illness and hospitalization, in particular, is very important factor to support and recover the children. This study, thus,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coping effort on the hospitalized children and examin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supporting program that strengthens coping effort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For this study, one hundred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treated in pediatrics of university hospitals, one in Taegu and the other in Seoul, are questioned, and among them eight six questionnaires selected for this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for testing the perception of uncertainty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is PPUS(Parents' Perception of Uncertainty Scale) developed by Mishel(1983). The reliability of this study is Cronbach's alpha=.83 and the reliability of the factor analysis considerd with three different factors is resulted in Cronbach's alpha= .88, .80, .57. Method for examining the coping effort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is CHIP(Coping Health Inventory for Parents) developed by Mccubbin and Patterson(1981). The reliability is resulted in Cronbach's alpha= .94.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SPSS/PC program,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 factor analysis for the perception of uncertainty is interpreted by Varimax Rotated Factor Analysis. While ANOVA is used for testing the differentation of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coping effort in accordance with children and mother's general background, Pearson's Correlation is used for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coping effort. The conculusions of this analysis are follows : 1. The perception of uncertainty concerning children's illness and hospitalization is classified with three factors; multi-attributed ambiguity, unpredictability of disease, and reliability of medical staff. Mothers in regard to the children's hospitalization show low level of perception of uncertainty. The coping effort is also studied with three different factors; effort for optimistic thought, effort for maintaining mother's mental rest, and effort for approaching to direct problem solving. The result shows that hospitalized chidren's mothers generally manage very well on the coping effort. 2. The level of perception of uncertainty is very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hospitalized children's diagnosis(p= .0001). Mothers who are graduated from the college level at least and have a religion can predict better the symptom and outcome of the disease than the other, The result shows that housekeepers rely on medical staff and service more than employed mothers. 3. The coping effort is very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hospitalized children's diagnosis(P= .0000),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mother's education(p = .0000) and family income(p= .0002), and mothers, high educated or having high income, show better coping effort than the other. 4. Fo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coping effort, Pearson's Correlation is used. As the result of a coeifficient of correlation is r : -.3322(p = .002), mothers having a low level perception of uncertainty show high coping effort. The result of this study produces that the lower mothers show perception of uncertainty concerning children's hospitalization, the higher coping effort. The major reason of this result is that the mothers not only count on the doctor and medical staff, but also they predict the symptom and condition of diseases, since they can have the affluent information on the diagnosis and condition, and on the plan and execution for treatment of disease. It is mean that the mothers positively endeavor tp solve their problems for their family and the hospitalized children directly, and to calm themselves down in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based on a nursing assessment of the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coping effort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provid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taff and children's parents and the satisfied information so that children's mothers have the positive and optimistic thought, and to develop the supporting program that strengthens coping effort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가족의 기능이 자녀 중심으로 변화하는 가운데 아동의 질병과 입원은 가족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중대한 사건이다. 특히, 아동의 양육을 일차적으로 전담하고 있는 어머니들의 환아 질병과 입원에 대한 인식은 환아의 회복과 가족 기능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환아 어머니의 아동의 입원과 관련하여 불확실성의 지각정도와 대처노력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어머니의 대처노력을 강화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997년 3월 30일부터 4월 16일까지 대구시내 1개 대학병원과 서울시내 1개 대학병원의 소아병동에 입원한 환아의 어머니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먼저, 소아병동에 입원해 있는 환아의 어머니에게 동의를 구하고 난 뒤 설문지를 전달하여 조사된 설문지 100부 중 응답이 불명확한 14부를 제외한 86부를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연구도구는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 측정을 위해 Mishel(1983)이 개발한 PPUS (Parents' Perception of Uncertainty Scale)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있어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 .83로 나타났으며, 요인분석결과 3가지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각각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 .88, .80, .57이었다. 또한 환아 어머니의 대처노력의 측정을 위해 McCubbin과 Patterson(1981)이 개발한 Coping Health Inventory for Parents (CHIP)를 사용하였고, 그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 .94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불확실성의 지각정도 측정도구의 요인분석을 위해 Varimax Rotated Factor Analysis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불확실성의 지각정도 및 대처노력의 대상자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위해 ANOVA,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입원환아 어머니의 아동의 입원과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의 지각정도는 전체적인 모호성, 질병의 예측불가능, 의료진의 신뢰성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조사 결과 환아의 어머니는 환아의 입원과 관련하여 불확실성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M = 2.37 ). 대처노력은 낙관적으로 정의하고자 하는 노력, 어머니 자신의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 직접적인 문제해결에 접근하는 노력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조사 결과 환아 어머니는 대체로 대처노력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 = 3.04 ). 2. 입원환아의 진단명에 따라 어머니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는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F = 5.8489, p = .0001 ),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이상의 고학력일 경우, 그리고 종교를 가지고 있을 경우 질병의 증상과 결과 등에 대한 예측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업주부가 직업을 가진 어머니보다 의료진에의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입원환아 어머니는 아동의 진단명에 따라 대처노력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F = 9.1325, p = .0000 ),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어머니의 학력( F = 23.0035, p = .0000 )과 가족수입( F = 7.3188, p = .0002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데, 어머니가 대졸이상의 고학력일 경우, 가족수입이 많을 경우 대처노력을 더욱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입원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와 대처노력의 상관관계는 r = -.3322 ( p = .002 )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어 어머니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가 낮을수록 대처노력을 더욱 잘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입원환아 어머니가 아동입원에 대해 불확실성의 지각정도가 낮을수록 대처노력을 더욱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가 아동의 진단과 질병의 심각성이나 치료계획과 수행에 관련하여 충분한 정보를 받고 앞으로의 증상과 질병경과에 대해 잘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동의 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의료진을 신뢰할 수 있을 때, 가족과 자신의 안정과 아동의 직접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을 더욱 적극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일선 임상에서 입원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와 대처노력을 사정하여 어머니의 긍정적인 인식을 위해 전 의료진의 충분한 정보제공과 밀접한 상호작용으로 신뢰성 형성의 중요성을 주장함과 아울러 어머니의 대처노력을 강화할 수 있는 지지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바탕이 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 5 3.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 8 1. 아동의 입원 = 8 2. 불확실성의 지각 = 11 3. 대처와 대처노력 = 14 Ⅲ. 연구방법 = 21 1. 연구 대상 및 절차 = 21 2. 연구도구 = 22 3. 자료분석 방법 = 26 4. 연구의 제한점 = 27 Ⅳ. 연구결과 = 28 1. 인구학적 특성 = 28 2.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 및 대처노력 = 30 3. 일반적특성에 따른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 및 대처노력 = 34 4.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와 대처노력의 상관관계 = 41 Ⅴ. 논의 = 43 Ⅵ. 결론 및 제언 = 53 1. 결론 = 53 2. 제언 = 56 참고문헌 = 57 부록 = 64 설문지 = 69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07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동입원-
dc.subject어머니-
dc.subject불확실성-
dc.subject지각정도-
dc.subject대처노력-
dc.title아동입원과 관련된 어머니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와 대처노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Coping Effort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dc.format.pagevii, 7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