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희숙-
dc.creator최희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3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41-
dc.description.abstractReligions in North Korea are similar to those of socialism countries. The social system of North Korea (hereinafter,'the North Korean system') is socialism, which influences religions in North Korea, and any factor that can damage the system of North Korea must be restricted and oppressed. The religion policies of North Korea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s of the systemic features of North Korea. The North Korean system is under totalitarianism and theocracy. Totalitarianism is widely adapted by socialism countries, and theocracy is the peculiar feature of North Korea. Totalitarianism and theocracy that recognize the nation as the only absolute power can't be side by side with religions. It's because the characters of religions which regard governmental powers as relative ones rather than the absolute one. The interpretations of Marx and Lenin about the functions and features of religions became the anti religion attitudes of communism. Socialism countries tried to keep totalitarianism by oppressing religions because of their anti religion viewpoints. However, those countries experienced economical straggling due to their conservatism and absolutism to exclude outside influences, and had to open their doors to outsides at end. Different to other socialism nations, the political power groups of North Korea are in a dilemma because they regard capitalism cultures and free ideologies as threats to the North Korean system. Because religions are very familiar with capitalism, they feel conflicts between opening doors and religion policies. Therefore, the future religion policies of North Korea are noticeable due to the unprecedented opening policy, 'Shinuiju economical special zone'. The religious viewpoints of North Korea have both the universalism of communist religions and the peculiarity of 'Juche Ideology'. The religion policies of North Korea were projected on the axis of separating religions and politics in socialism (approving the freedom of religions and struggling against religions), propaganda against religions, and unified frontier with religions. The freedom of religions clearly defined in the constitution of North Korea is not the freedom of propagation, but that of faith, and was selectively permitt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decisions of the political power of North Korea due to the feature of North Korea laws and human rights based on social classes. As a result, religionists who cooperated with socialism could manage their religions, but others' constitutional rights were deprived and oppressed. The political power of North Korea maintained restraining policies during the first religion policies (1945-1953), and religionists and their organizations were restricted and damaged to shrink religions. In the second stage (1953-1971), religions confronted crises due to the stubborn policies of the political power of North Korea, and they have to adapt to socialism to exist. In the adaptive processes, they developed a peculiar form of socialism religions (faith through home worship), different from those of capitalism. During the third stage(1972-1987), religions in North Korea, which had declined after the Korean war, became activated due to the political turns of the political power of North Korea. During the fourth stage (1988-the present), there have been significant developments due to the authorizing religions by the political power of North Korea. Considering quantitative or quantitativ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authorization, the authorization can be called as new religion policies. Because religions before the authorization had adapted to socialism, changes in this period can be called as 'the development of socialism religion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socialism, the existence of North Korea religionists created a peculiar socialism religion form, faith in home worship. Home worships are the result of North Korean system in which politics determine the external forms of religions regardless of the kinds of religions. In spite of various restrictions on religious activities, North Korean religionists were permitted to have the freedom of religions and religious activities as a consideration for their cooperation with the social situations and requests of North Korea. Religions in North Korea have to do political activities as well. Using religions by politics is a general aspect of socialism countries. Political religious activities mainly done by central religious organizations and home worships are the current status of religions In North Korea. Because religions took important roles in foreign interchanges and opening policies after the 1970s, there have been basic changes in the positions of religions in North Korea, and hostile social atmospheres towards religions were loosened. As religionists in North Korea were escaping socialism religion forms little by little through frequent contacts with western societies and South Korea, universal religion forms became added on socialism religions. A meaningful change in current religion situations in North Korea can be the announcement of 'Shinuiju Special Administrative Zone' at September 2002. Expecting future changes in the religion policies of North Korea based on the religion policies of socialism nations is from previous cases in socialism nations. Because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religion situations in North Korea in spite of limited opening policies since 1988, the religion policies of North Korea are expected to be in positive directions represented by the exceptional opening policy, 'Shinuiju Special Administrative Zone'. Because of the closure and conservatism of North Korea, outside requests for changes rather than inside requests are expected to influence North Korea societies more and more, and the case may be the same to religions. Because religions in North Korea are weaker than those in other socialism nations, the characters of those religions may be determined by outside stimuli rather than their own autogenesis. In this aspect, capitalism cultures and free ideologies accompanying opening policies will be the most important outside stimuli to the changes of religions in North Korea. The best policy that the political power of North Korea can select under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system crisis is at best introducing capitalism through opening policies. Therefore, mo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religions in North Korea are not politics but economic factors. Because opening doors without guaranteeing the freedom of religions can't induce credibility and supports from outside, it is expected that North Korea will more and more improve religion policies than just authorization, by applying opening policies to religions also. However, it must be 'Controlled opening policies for religions' which limits the freedom of religions and religious activities not to damage the absoluteness of the socialism system. The controlled opening policies for religions is limiting opened religions not to damage the absoluteness of the North Korean system though opening doors to religions in North Korea. Different to the hope of introducing capitalism under the control of North Korean system, opening policies can't be limited to capitalism economic areas because all capitalism viewpoints and cultures accompany those flows. Regardless of the attitudes of the political power of North Korea in the dilemma of opening, religions in North Korea will be changed to those of capitalism escaping from socialism features and adapting to capitalism. As a result, even under the controlled opening policies for religions, religions in North Korea will recover their autonomy in a long term and strengthen their capacity by loosening their subordination to the national power.;북한의 종교정책은 북한체제의 성격에 기초하여 이해해야 한다. 북한체제는 전체주의체제와 신정체제적 성격을 띠고 있다. 전체주의는 사회주의국가의 보편적 성격이며 신정체제는 북한체제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국가권력만이 절대적 가치로 인정되는 전체주의체제와 신정체제는 종교와 친화력이 없다. 사회적 동원력을 지닌 절대적 가치체계로서 국가권력의 절대성을 상대화하는 종교의 속성 때문이다. 종교의 기능과 속성에 대한 마르크스와 레닌의 대응과 종교해석은 공산주의의 반종교관으로 정립되었다. 사회주의국가들은 반종교관에 입각한 종교탄압정책으로 전체주의를 유지하려 하였다. 그러나 외부의 영향을 배제하려는 전체주의의 체제보수성과 절대성으로 인해 사회주의국가들은 경제적 낙후라는 병리현상을 경험했고 결국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해야 했다. 다른 사회주의국가들과는 달리 북한정권은 개방정책에 부수되는 자본주의문화와 자유주의사상의 유입을 체제 위협요소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개방과 관련하여 소위 북한식 딜레마에 빠져 있다 자본주의문화와 가장 친화력이 있는 것이 종교라는 점에서 북한정권은 무엇보다도 개방과 종교정책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다. 따라서 '신의주 특별행정구'라는 파격적인 개방정책으로 향후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양상이 주목된다. 북한의 종교관은 공산주의 종교관이라는 보편성과 주체사상의 종교관이라는 특수성을 띄고 있다. 북한의 종교정책은 사회주의적 정교분리(종교의 자유 인정과 반종교투쟁의 이중성), 반종교선전, 종교와의 통일전선 등을 축으로 전개되었다. 북한헌법에 명시된 종교의 자유는 선교의 자유가 배제된 신앙의 자유로서, 계급성을 기본으로 하는 북한의 인권과 법의 특성상 종교의 자유는 북한정권의 정치적 판단에 따라 선별적으로 허용되었다 그 결과 사회주의에 협력하고 적응하는 종교인들은 신앙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헌법상의 종교의 자유는 박탈되어 제재와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북한의 종교정책은 북한정권과 종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시기별로 특징 있게 전개되었다. 북한 종교인들은 북한정권의 강온 양면적 종교정책과 종교에 대한 모순된 태도에 주체적으로 대응하면서 종교에 적대적인 사회분위기에 적응하는 방식으로 신앙을 유지하였다. 종교정책의 제1단계(1945-1953)에서 북한정권은 견제정책을 실시하였고 종교인과 종교단체는 제재와 피해를 당하면서 종교는 위축되었다. 제2단계(1953-1971)는 북한정권의 강경정책으로 종교는 위기를 맞았고 종교인들은 생존을 위해 사회주의에 적응해야만 했다. 적응 과정에서 종교인들은 자본주의적 종교와 구별되는 사회주의적 신앙양태(가정예배를 통한 신앙생활)라는 사회주의 종교의 독특한 존재양식을 발전시켰다. 제3단계(1972-1987)는 북한정권의 유화정책으로 6·25전쟁이래 쇠퇴의 길을 걸어왔던 북한 종교가 활력을 되찾기 시작하면서 사실상 북한 종교의 사회주의화가 이루어졌다. 제4단계(1988-현재)는 북한정권의 공인정책으로 종교현실의 획기적인 발전이 있었다. 종교정책 면에서 이전 시기와의 질적·양적 차이를 고려하여 공인정책은 신(新)종교정책으로 부를 수 있다. 이전 시기 북한의 종교는 이미 사회주의에 적응해 있는 상태이므로 이 시기 종교현실의 변화는 '사회주의형 종교의 심화 발전'이라고 부를 수 있다. 사회주의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북한 종교인들의 존재양식은 가정예배처소에서의 신앙생활이라는 독특한 사회주의적 신앙형태로 나타났다. 가정예배는 정치가 종교의 외형적 존재양식을 결정하는 북한체제의 특성이 만들어 낸 결과로 종파를 불문하고 발견되는 신앙방식이다. 종교활동의 많은 제한에도 불구하고 북한 종교인들은 북한사회의 상황과 요구에 협력한 대가로 대체로 신앙의 자유와 종교활동을 허용 받았다. 북한의 종교는 정치적 활동을 병행해야 한다. 정치의 종교이용은 사회주의국가에서 발견되는 공통적 현상이다. 중앙종교조직이 중심이 되는 정치적 성격의 종교활동과 일반 종교인들의 신앙생활이라는 양상이 현재 북한 종교의 실상이다. 1970년대 이후 대외교류와 개방정책에서 종교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자 종교가 북한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근본적인 변화가 왔고 종교에 대한 적대적인 분위기도 완화되었다. 북한 종교인들은 서구사회와 남한과의 번번한 접촉과 교류를 통해 그 동안의 사회주의적 신앙양태에서 점차 벗어나기 시작하면서 사회주의 종교에 보편주의적 종교의 신앙방식을 접목하여 나갔다. 북한 종교현실의 의미있는 또 한번의 변화를 2002년 9월 '신의주 특별행정구' 선포로 예상할 수 있다. 향후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를 개혁개방과 관련하여 전망한 것은 사회주의국가들의 경험이 선례가 되었다. 사회주의국가들의 종교정책 변화에 가장 근 변수로 작용한 것이 개혁개방정책이었다. 북한 역시 1988년 이후 제한적인 개방정책에도 불구하고 종교현실의 상당한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신의주 특별행정구로 대표되는 파격적인 개방정책에 따른 종교정책의 변화가능성이 긍정적으로 기대된다. 북한사회의 체제폐쇄성과 보수성으로 인해 내부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변화보다는 외부로부터의 변화요구가 더욱 직접적으로 북한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며 종교정책도 마찬가지다. 북한의 종교는 다른 사회주의국가들보다 취약한 상태이므로 북한 종교의 자생력보다는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해 성격이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점에서 개혁개방정책과 개방에 부수되는 자본주의문화와 자유주의사상의 유입은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에 가장 큰 외부적 자극으로 작용한다. 경제난과 체제의 존립위기에서 북한정권이 선택할 수 있는 최선책은 결국 개방을 통한 자본주의 경제원리의 도입이므로 향후 북한 종교정책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정치보다는 경제이다.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는 개방은 외부로부터의 신뢰 및 지원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종교에 대해서도 개방정책을 실시하여 종래의 공인정책보다 개선된 종교정책을 실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종교개방의 정도에 있어서는 종교의 자유와 종교활동 확대의 폭을 사회주의체제의 절대성을 침범하지 못하는 범위로 제한하는 "통제형 종교개방정책"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통제형 개방정책은 종교에 대한 개방은 하되 개방화된 종교(자본주의적 성격의 종교)가 북한체제의 절대성을 침범하지 못하도록 통제하는 정책이다. 북한체제의 통제 하에 자본주의를 도입하겠다는 희망과는 달리 경제개방정책은 자본주의적 경제요소의 도입에 국한되지 않으며 자본주의적 가치관과 문화가 개방에 수반된다. 개방의 딜레마에 있는 북한정권이 어떤 태도를 보이든 간에 북한 종교는 자본주의로의 변화에 적응함으로써 사회주의적 종교의 특성에서 벗어나 점차 자본주의적 종교로 변해갈 것이다. 그 결과 "통제형 종교개방정책"이라고 해도 장기적으로 북한 종교는 정권과의 관계에서 점차 자율성을 회복하여 국가권력에의 종속의 정도를 완화하고 자체역량을 강화시켜 갈 것으로 전망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4 Ⅱ. 북한체제의 특성과 종교 = 6 A. 전체주의체제와 종교 = 7 B. 신정체제와 종교 = 10 C. 개방과 종교정책 갈등 = 11 Ⅲ. 북한의 종교관과 종교정책 = 14 A. 공산주의 종교관 = 14 B. 북한의 종교관 = 15 C. 북한의 종교정책 = 19 Ⅳ. 북한 종교정책의 전개 과정 = 26 A. 제1단계(1945-1953) : 견제정책과 종교의 위축 = 32 B. 제2단계(1953-1971) : 강경정책과 종교의 위기 = 52 C. 제3단계(1972-1987) : 유화정책과 종교의 사회주의화 = 63 D. 제4단계(1988-현재) : 공인정책과 사회주의형 종교의 발전 = 76 Ⅴ. 북한의 종교실상 = 97 A. 기독교 = 99 B. 천주교 = 104 C. 천도교 = 107 D. 불교 = 110 E. 단군교 = 112 Ⅵ.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 전망 = 116 A. 개혁개방과 사회주의국가들의 종교정책 변화 = 117 B.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 전망 : 통제형 종교개방정책 = 126 Ⅶ. 결론 = 131 참고문헌 = 140 Abstract = 1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443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북한-
dc.subject종교정책-
dc.subject변화-
dc.subject전망-
dc.title북한 종교정책의 변화 전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1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