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8 Download: 0

가야금 산조 중 세산조시에 대한 연구

Title
가야금 산조 중 세산조시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sanjosi" among "Kayagum Sanjo"s
Authors
정재원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name of "Sesanjosi" just appears in "Nongak" and "Kayagum Sanjo". More specifically, it appears only in "Kimjookpa-ryu Kayagum Sanjo" and "Kangtaehong-ryu Kayagum Sanjo". Both "Kimjookpa-ryu Kayagum Sanjo" and "Kangtaehong-ryu Kayagum Sanjo" share the same genealogy: they are all originated and developed from Kim, Chang-jo, regarded as the first generation of "Kayagum". Based on this fact,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Sesanjosi" movements appeared in two "Sanjo"s. In 1950s when "Sesanjosi" movements of "Kimjookpa-ryu" and "Kangtaehong-ryu" were formed, other "Kayagum Ryu-pa"s created and conducted "Danmori" movements with the 4/4 "Jangdan". Kim, Jook-pa and Kang, Tae-hong also composed Kayagum melodies having "Nongak Sesanjosi" rhythm similar to "Danmori"'s 4/4 at that time, and they named the movements "Sesanjosi" because "Sanjo" adopts its "Jangdan" name as movements' name in "Sanjo". Even though "Sesanjosi" movements' name is originated from "Nongak"'s "Sesanjosi"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esanjosi Jangdan" and other "Kayagum Jangdan"s, the name of "Sesanjosi" just appears in two "Sanjo"s having common genealogy, and thus this paper tries to show how much similar and different both "Sanjo"'s "Sesanjosi" movements a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Movement named according to "Jangdan" name can be classified into "Gyemyunjo", "Pyungjo", "Woojo" and so on. Here, "Jo" includes various concepts like a key, a performance technique and a motif, not only "Sunbup" informed by word of mouth. And among performers, each melody's paragraph is divided by the name of "Jo" informed by word of mouth.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ructures of "Sunbup" by extracting component notes with a criterion of each "Ryu-pa"'s "Jo" name informed by word of mouth and by analyzing each component note's functions and movements.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paper shows that "Kimjookpa-ryu Sesanjosi" movement has three "Jo" names informed by word of mouth and that "Gyemyunjo Kangsanje", "Byunchung Kangsanje" and "Woojo Kangsanje" consist of "g Bonchung Gyemyunjo", "d Bonchung Gyemyunjo" and "g Bonchung Woojo" respectively. "Kangtaehong-ryu Sesanjosi" movement consists of one "Gyemyunjo" which is made up of "g Bonchung Gyemyunjo. As stated above, the "Sesanjosi" movement of "Kimjookpa-ryu" is more diverse than "Kangtaehong-ryu" in change of "Jo" but both share the common "Sunbup" structure of "g Bonchung Gyemyunjo". However, despite similarity to share the common "Sunbup structure", both "Sanjo"s' "Jo" names informed by word of mouth are different: in a case of "Kimjookpa-ryu", "Kangsanje" attached to the end of "Gyemyunjo" expresses musical motifs and performance techniques. That's why "Kimjookpa-ryu"'s "Jo" names informed by word of mouth has more various concepts than "Kangtaehong-ryu"'s. Yet, like "Sunbup", there is no difference in left-hand performance techniques to express movement atmosphere. To find out how similar two "Ryu-pa"s are, this research examines same or similar melodies appeared commonly in both "Ryu-pa"s and finds out that there are 28.2% same or similar melodies in "Kimjookpa-ryu Sesanjosi" movement and 38.7% in "Kangtaehong-ryu Sesanjosi" movement. As a reason of this phenomenon, it is highly possible that Kim, Jook-pa and Kang, Tae-hong interacted with each other directly when they composed "Sesanjosi" movements in 1950s. It is also possible to explain the similarity that both Kim, Jook-pa and Kang, Tae-hong were affected by Kim, Chang-jo, the first generation "Kayagum" performer according to the "Hamdongjeoungwol"'s oral statement that Kim, Chang-jo had played 4/4 "Jangdan" even though it has not transmitted with a form of score. However, it is more reasonable to conclude that both "Sesanjosi" movement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more than similarities because "Kimjookpa-ryu Sesanjosi" and "Kangtaehong-ryu Sesanjosi" movements have 81.8% and 61.3% different types of melodies respectively. Lastly, through the investigation to compare the rythms of two "Sesanjo"s' movements, this paper reveals that there are 31 rhythm-types in "Kimjookpa-ryu", 18 rhythm-types in "Kangtaehong-ryu" and 12 similar rhythm-types in both. The striking feature to show the difference of both "Sesanjo"s' rythms is that a half note appears frequently in "Kimjookpa-ryu" but does not appear in "Kangtaehong-ryu" at all. In addition, a offbeat noe appeared in "Kimjookpa-ryu" appears four times in "Kangtaehong-ryu Kayagum Sanjo". Moreover, the most frequent rhythm, Da-15, in "Kimjookpa-ryu Sesanjosi" is the third frequent rhythm in "Kangtaehong-ryu Sesanjosi", and the most frequent rhythm, Da-9, in "Kangtaehong-ryu" just appears once in "Kimjookpa-ryu". The second frequent rhythm, Da-10, in "Kimjookpa-ryu" also does not appear in "Kangtaehong-ryu" at all; therefore, this paper says that regarding to rhythm-type, both "Sanjo"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rather than share similarities. In sum, "Kimjookpa-ryu" and "Kangtaehong-ryu" who had been affected by Kim, Chang-jo, the first generation "Kayagum" performer, composed "Sesanjosi" movements in 1950s by adding Kayagum melodies to "Nongak Sesanjosi" rhythms. Both "Kimjookpa-ryu" and "Kangtaehong-ryu" have similarities in "Jo" composition, melody formation and rhythm-type. However, regarding to "Jo" composition, "Kimjookpa-ryu" is more diverse than "Kangtaehong-ryu". This paper concludes that both "Sesanjosi"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melodies and rhythms more than similarities because the portion of different parts is much larger than the portion of similar parts in both "Sesanjosi"s.;세산조시란 명칭은 농악과 가야금 산조에서만 나타난다. 그리고 가야금 산조 중에서도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와 강태홍류 가야금 산조에서만 나타난다. 김죽파와 강태홍은 가야금 1세대인 김창조로부터 발전 · 형성된 유파로써 같은 계보를 가진 산조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하여 두 가야금 산조의 세산조시 악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김죽파류와 강태홍류의 세산조시 악장이 형성된 시기인 1950년대에는 다른 가야금 산조 유파에서 2분박 4박자형의 단모리 악장이 활발히 창작 · 연주되어졌던 시기였다. 김죽파와 강태홍 또한 1950년대의 흐름에 맞춰 단모리와 동일한 2분박 4박자 장단을 사용하는 농악의 세산조시 장단에 맞춰 가야금 선율을 창작하였다. 그리고 산조에서는 일반적으로 진양조, 중모리 등 악장의 명칭을 장단 명칭과 동일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악장의 명칭을 세산조시라 붙인 것이다. 세산조시 악장의 명칭이 농악의 세산조시에서 비롯된 것이며 세산조시 악장의 장단이 단모리 장단과 동일하여 다른 가야금 산조와 장단에 있어 차이점이 없지만 세산조시란 명칭이 같은 계보를 가진 두 산조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두 산조의 세산조시 악장을 비교 분석하여 유파 간에 어느 만큼의 유사성을 지니며 고유성이 있는가 살펴보고자 한다. 장단 명칭을 딴 악장은 다시 계면조, 평조, 우조와 같은 조(調)로 나뉘어진다. 여기서의 조(調)에 대한 개념은 구전된 조명으로 선법의 의미 뿐 만 아니라 key, 연주 기법, 악상적인 의미가 포함된 복합적 개념이다. 그리고 연주자 사이에서 선율의 단락은 구전된 조명에 의해 구분되어지고 있다. 유파별 세산조시 악장의 구전된 조명을 기준으로 구성음을 추출하고 구성음의 기능적 측면과 구성음들의 진행관계를 분석해 선법 구조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김죽파류의 세산조시 악장에서는 3개의 구전된 조명이 나타나고 그 구전된 조명인 계면조 강산제는 g본청 계면조, 변청 강산제는 d본청 계면조, 우조 강산제는 g본청 우조로 되어있다. 강태홍류 세산조시 악장에서는 계면조 하나의 구전된 조명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구전된 조명인 계면조는 g본청 계면조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김죽파류의 세산조시 악장이 강태홍류의 세산조시 악장보다 조의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두 산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선법 구조는 g본청 계면조이다. g본청 계면조라는 동일한 선법 구조를 가진 두 산조의 구전된 조명에는 차이가 있는데 김죽파류의 경우 계면조 뒤에 강산제를 붙인 것은 악상 ·연주 기법을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김죽파류의 구전된 조명이 강태홍류의 구전된 조명보다 다양한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선법과 마찬가지로 악장의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왼손 연주 기법에는 두 산조 간에 차이가 없다. 유파간의 유사성을 비교하려면 그 산조의 선율 형태 비교가 가장 직접적인 연구 방법이므로 김죽파류와 강태홍류의 세산조시 악장을 이루는 선율간의 동일 혹은 유사 선율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김죽파류 세산조시 악장에서는 28.2%의 동일 · 유사 선율이 나타나며 강태홍류 세산조시 악장에서는 38.7%의 동일 · 유사 선율이 나타난다. 두 산조의 세산조시 악장에서 유사성이 나타나는 이유로 김죽파와 강태홍이 1950년대에 세산조시 악장을 창작할 당시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아 두 산조의 세산조시 악장에서 동일 · 유사 선율이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악보로 남아 있지는 않지만 김창조가 2분박 4박자형 가락을 연주했다는 함동정월의 구술에 의하면 1950년대에 농악의 세산조시 장단과 명칭을 빌려 김죽파와 강태홍이 창작한 세산조시 악장이라 할지라도 가야금 1세대인 김창조의 영향을 전혀 배제할 수 없으며 동일 · 유사 선율이 두 산조의 세산조시 악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김죽파류 세산조시 악장의 81.8%의 선율과 강태홍류 세산조시 악장의 61.3%의 선율이 다른 형태의 선율로 동일 · 유사 선율이 각각의 세산조시 악장에서 차지하는 비율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두 산조의 세산조시 악장은 유사성은 있으나 독자적으로 창작되어진 악장으로 고유성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두 산조의 세산조시 악장을 이루는 리듬형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김죽파류에서는 31개의 리듬형이 나타나며 강태홍류에서는 18개의 리듬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12개의 동일 리듬형이 나타난다. 김죽파류와 강태홍류의 세산조시 악장에서 나타나는 리듬형에 있어 확연히 드러나는 차이점은 김죽파류에서는 2분음표가 고루 출현하는 것에 비해 강태홍류에서는 전혀 2분음표가 출현하지 않는다. 그리고 김죽파류에서 나타나지 않는 엇박이 강태홍류에서는 4회 나타나고 있다. 두 산조의 세산조시 악장에서 비중이 높은 리듬형을 비교해보면 김죽파류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다-15 리듬형이 강태홍류에서는 세 번째 순위이며 강태홍류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다-9 리듬형이 김죽파류에서는 단 1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김죽파류에서 두 번째로 많이 나오는 다-10 리듬형이 강태홍류에서는 전혀 출현하지 않기 때문에 리듬형에 있어 두 산조의 세산조시 악장은 유사성보다는 고유성이 크다. 김죽파류와 강태홍류 세산조시 악장의 비교 분석한 결과 가야금 산조 1세대인 김창조로부터 형성 · 발전 해온 김죽파류와 강태홍류은 1950년대에 농악의 세산조시 장단에 가야금 선율을 붙여 세산조시 악장을 창작하였다. 그리고 김죽파류와 강태홍류의 세산조시 악장은 같은 계보를 가진 산조로써 조 구성, 선율의 형태, 리듬형에서 유사성을 지녔다. 하지만 조 구성의 경우 김죽파류 세산조시 악장에서 더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두 산조의 세산조시 악장에서 독자적으로 창작 · 발전해온 선율과 리듬형의 비율이 동일 · 유사한 선율과 리듬형의 비중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고유성이 더 강하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