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은정-
dc.creator정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3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30-
dc.description.abstract만다라와 민화는 이상세계와 기원, 희망을 담고 있는 내용의 회화작품이다. 그리고 전래동화 역시 이상세계 또는 내세를 배경으로 한 문학작품으로써 읽는 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전하고 있다. 이는 전래동화와 만다라, 민화에서의 내용상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본 연구를 시작한다. 즉, 전래동화의 이러한 배경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같은 내용상의 의미를 담고 있는 만다라와 민화에서의 시각적인 표현특징(구도 및 구성, 색, 형태)을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형식에 대한 작품의 가능성을 볼 수 있다. 옛날 우리는 할머니의 무릎을 베고, 아랫목에 누워 듣던 옛이야기를 기억할 것이다. 우리는 그 때마다 신기하고 무서운 세상과 환상의 세계를 경험함으로써 우리의 어린 시절 풍부한 상상력을 키워 주었다.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있을 법한 삶의 단편들을 드러내면서 가장 일상적인 생활체계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전래동화가 지니는 생활의 일상성으로서, 전래동화에 담긴 내용들을 통해 당시 서민들의 일상적인 삶을 현재의 우리 것으로 내면화하게 하는 가치를 지닌다. 이처럼 전래동화는 누구나 쉽게 공감하고, 체험하며, 이해할 수 있기에 그 시각적 표현을 접할 수 있는 모든 이들에게는 전통성, 예술성, 창조성을 일깨워 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 조상들이 남겨 준 문화유산인 전래동화는 전통문화로 계승·발전하여 그 시대의 생활양식과 철학 및 민족정서의 사상을 미의식적 조형감각을 활용해 그 가치관을 가지고 적극적인 삶을 살아가는 바람직한 인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것은 전달이라는 행위가 되며, 인류문화의 뿌리가 되는 것이다. 본고의 전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동기 및 목적과 연구 범위 및 방법을 앞서 언급 바 구체적으로 모색코자한다. 본론에서는 만다라와 민화의 문헌연구를 토대로 그 배경과 시각적 표현특징으로 구도 및 구성, 색 형태로 나누어 살펴 볼 것이며, 더 나아가 두 이론의 공통점을 도출 할 것이다. 간략히 만다라와 민화의 특징을 들여다보게 되면, 시대적으로 만다라는 과거 밀교적 성향이 강했으며, 소재기복이라 하여 재앙을 소멸하고 복을 비는 현실이익적인 성향을 반영하였으며, 의례의 현장으로서의 만다라였기에 위엄과 경건함을 표현하기 위한 대칭형의 구도와 사방연속의 구조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현재는 자아 성장을 위한 영성체험, 교육현장, 치료적 영역 및 창의적 작업을 목적으로 하는 등 일상생활 속의 만다라로 활용되면서 전통적인 만다라의 도식화와는 조금은 다른 의미일 지라도 만다라 미술의 기본 구조는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민화의 주제와 내용은 과거 동시대 서민들의 집단적 가치, 감정을 상징하는 수단으로 존재했으나, 현재의 많은 화가들은 본인의 주관적 정신세계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존재하고 있다. 민화의 특수한 발상과 자유분방한 표현은 현대적인 감각에 부합되고 민화적인 구도, 선, 색채의 표현과 그 소재적 원용으로 현대적인 작품의 재해석과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 또한 전래동화의 특징과 가치를 바탕으로 만다라 미술과 한국의 민화에서의 공통적인 구도와 색, 형태를 기본으로 시각표현형식을 연구하여 작품에 접목, 표현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작품제작 및 분석에서는 앞서 언급했었던 전래동화의 내세와 이상세계의 내용적인 측면과 적합한 표현형식으로써 만다라 미술과 민화의 표현특징을 활용하여 제작하였다. <바리공주>는 내세를 배경으로 <심청전>과 함께 유교적 전통윤리관의 내용을 담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으로써 만다라 미술과 민화의 시각적 표현특징과 의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전래동화의 내용에 적합하며, 보다 효과적인 형식으로서 만다라 미술과 한국 민화의 구도 및 구성과 색, 형태를 중심으로 한 표현특징을 모색하였으며, 그 결과 전래동화의 내세와 이상세계의 내용에 시각적 표현형식을 대입함으로써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그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Mandala and folk paintings are paintings describing ideal world, wish and hope. Old fairy tales are literature also describing ideal world or life after death giving readers hopes and dreams. This study is started under the premise that old fairy tales, Mandala and old folk paintings have common ground in terms of their content. In other words, new format can be possible by applying visual characteristics(composition, organization, colors and forms) of Mandala and folk paintings with contextual significance of old fairy tales to describe it more effectively. This also can be interpreted that modern-day people are living with functionalism and dry sentiment. Old fairytales are started from old stories that our grandmothers would tell us when we were little. By giving us the experience of a fantasy world of wonders and horrors that we couldn't experience, they nurtured for our young imagination The stories always reveal pieces of ordinary life for us to sense what the most ordinary lifestyle is. This is the ordinariness of life in old Korean fairytales; ordinary lifestyle of ordinary people at that time becomes part of our lives in modern days. Therefore anybody can empathize,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m, which can be useful for children to learn traditions, artistic sense and creativity in visual expression. Old fairytales, cultural legacy from our ancestors, can be succeeded and developed to traditional culture in which desirable people can live with positive attitude expressing lifestyle, philosophy and national sentiment in aesthtic sense of forms. This is an act of delivery, which is the root of human culture.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Introduction summarizes the motive, goal,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The body of this paper covers listerature study on the background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Mandala and folk paintings focusing on composition, organization, colors and forms; and further draws common points of the two theories. Therefore in characteristics of the time in Korean Mandala and folk paintings, Korean Mandala had a strong sense of esoteric Buddhism in the past; it reflected the idea of destroying misfortune and wishing good fortune. It was more for ceremonial purpose; however, now it became more associated with our daily lives for spiritual experience for self growth, education, healing or creative activities. Themes and contents of folk paintings only existed to symbolize collective values and sentiment of the people of the time; however, many painters these days consider the theme and content as the means to express their subjective world of mind and individuality. Unique ideas and liberating expressions in folk paintings fit to modern sensitivity; the composition, use of lines and colors and subject matters can be reinterpreted in modern terms. I too, studied the expression types common in Korean Mandala and folk paintings and combined and expressed them based on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old Korean fairytales to reinterpret them in modern terms. Lastly in production and analysis of pieces, In production and analysis of the work, characteristics of Mandala and folk paintings were used as an appropriate format for the content describing life after death and ideal world in old fairy tales as mentioned earlier. <Princess Bari>, as well as <Shimcheong>,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stories which contains traditional Confucian ethic in a set of life after death; and the analysis should focus on visual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s of Mandala art and folk paintings.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explains visual characteristics of Mandala art and Korean folk paintings focusing on composition, organization, colors and forms, as an appropriate and more effective way for the content of old fairy tales; and examines its possibility on my work by applying visual presentation to describe life after death and ideal world in old fairy ta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배경과 목적 = 1 B. 연구 범위와 방법 = 4 Ⅱ. 본론 = 6 A. 만다라와 민화의 시각적 표현특징의 이해 = 6 1. 만다라의 표현 특징 = 6 a. 구도 및 구성 = 8 b. 색 = 11 c. 형태 = 12 2. 민화의 표현특징 = 15 a. 구도 및 구성 = 16 b. 색 = 18 c. 형태 = 20 3. 만다라와 민화의 시각적 표현특징의 공통점 = 21 B. 전래동화의 이해 = 22 1. 전래동화의 정의 = 22 2. 전래동화의 성격 = 24 a. 특징 = 24 b. 가치 = 27 Ⅲ. 표현 사례 = 28 Ⅳ. 작품 제작 및 분석 = 38 A. 제작 의도 및 방법 = 38 B. 작품 분석 = 40 Ⅴ. 결론 = 55 참고문헌 = 56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397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45-
dc.title만다라와 한국 민화에서의 표현특징을 활용한 전래동화의 시각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Visual Presentation of Old Fairy Tales using Characteristics of Mandala and Korean Folk Paintings-
dc.creator.othernameChung, Eun jung-
dc.format.pagexi,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