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엄정애-
dc.creator엄정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2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3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0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ealism of play materials influences young children's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Concretely, it is to find the effect of high versus low realistic play materials, realism of play materials×age interaction vector and realism of play materials×age×sex interaction vector on the frequency of each types of make-believe as well as the overall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To this end, three questions have been set up in this study. 1. The effects of the realism of play materials on the overall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1-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overall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according to the realism of play materials? 1-2. Does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realistic play materials in the frequency of the overall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vary according to age? 1-3. Does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realistic play materials in the frequency of the overall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vary according to age and sex jointly? 2. The effects of the realism of play materials on the types of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2-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ach type of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according to the realism of play materials? 2-2. Does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realistic play materials in the frequency of each type of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vary according to age? 2-3. Does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realistic play materials in the frequency of each type of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vary according to age and sex joint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verall 36 children (18 boys and 18 girls), each 12 children of 3, 4, 5 years old at S. Kindergarten in Seoul. The tools were high realistic play materials/low realistic play materials, Trawick Smith's observational scheme which was about three different types of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and observational sheet. The play materials were selected by McLoyd's criteria and the observational sheet was made on the basis of Smith's scheme and play materials.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same age, sex triads. They participated in play during two twenty-minute sessions, once within a environment equipped with high realistic play materials and once in a setting containing low realistic ones. The frequency of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was recorded for each subject by two observers. The datum were analyzed by three way ANOVA using repeated design and Scheffer´'s test for post hoc comparis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ffects of the realism of play materials on the overall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1-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overall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according to the realism of play materials. The frequency of the overall make-believe in high realistic play material setting was more than in low realistic ones. 1-2.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realistic play materials in the frequency of the overall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varied according to age. There was a wide difference in 3 year olds compared with 4, 5 year olds. But, the difference in 4 year olds compared with 5 year olds didn't vary significantly. 1-3.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realistic play materials in the frequency of the overall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didn't vary according to age and sex jointly. 2. The effects of the realism of play materials on the types of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2-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ype I, type II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according to the realism of play materials. The frequency of type I make-believe was more in high realistic play material setting, while the frequency of type II make-believe was more in low realistic ones. 2-2.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realistic play materials in the frequency of type I, type II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varied according to age. Th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ype I make-believe was higher for 3 year olds than for 4, 5 year old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ype II make-believe was lower for 3 year olds who demonstrated few type II make-believe activity in all two settings than for 4, 5 year olds who demonstrated more this in low realistic play material setting. But, the difference in 4 year olds compared with 5 year olds didn't vary significantly. 2-3.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realistic play materials in the frequency of type I, type II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didn't vary according to age and sex jointly.;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감의 실물성이 유아의 사물에 대한 가작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즉, 실물성이 다른 두 가지 유형의 놀이감 (실물성이 높은 놀이감/실물성이 낮은 놀이감), 놀이감의 실물성과 유아의 연령, 놀이감의 실물성과 유아의 연령·성별간의 상호작용 요소가 사물에 대한 총 가작화 및 유형별 빈도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놀이감의 실물성이 사물에 대한 총 가작화에 미치는 영향 1-1.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라 유아의 사물에 대한 총 가작화 빈도수는 차이가 있는가? 1-2.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른 사물에 대한 총 가작화 빈도수의 차이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다른가? 1-3.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른 사물에 대한 총 가작화 빈도수의 차이는 유아의 연령·성별에 따라 다른가? 2. 놀이감의 실물성이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 2-1.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라 유아의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별 빈도수는 차이가 있는가? 2-2.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른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별 빈도수의 차이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다른가? 2-3.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른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별 빈도수의 차이는 유아의 연령·성별에 따라 다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S유치원의 3, 4, 5세 유아 각 12명씩 총 36명(여아 18명, 남아 18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McLoyd의 기준에 의해 분류된 실물성이 높은 놀이감/실물성이 낮은 놀이감과 Trawick-Smith의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 관찰체계, 그리고 이를 기초로 작성된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 관찰기록표가 사용되었다. 연구대상 유아들은 연령별로 동성 3명씩 한 집단을 이루어 집단별로 놀이감의 실물성이 다른 두 상황 - 실물성이 높은 놀이감이 놓여있는 상황과 실물성이 낮은 놀이감이 놓여있는 상황 - 에서 각각 20분씩 놀이에 참여하였다. 유아의 사물에 대한 가작화 빈도수를 놀이 참여 도중 2명의 관찰자에 의해 모든 연구대상마다 각각 기록되었다. 연구결과 수집된 자료는 반복설계에 의한 삼원변량분석과 사후비교를 위한 Scheffe' 검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놀이감의 실물성이 사물에 대한 총 가작화에 미치는 영향 1-1.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라 유아의 사물에 대한 총 가작화의 빈도수는 차이가 있었다. 사물에 대한 총 가작화는 실물성이 높은 놀이감이 놓여 있는 상황에서 좀 더 많이 나타났다. 1-2.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른 사물에 대한 총 가작화 빈도수의 차이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달랐다. 그 차이는 4, 5세 유아보다 3세 유아의 경우 좀 더 크게 나타났다. 단, 4세와 5세 유아간에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1-3.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른 사물에 대한 총 가작화 빈도수의 차이는 유아의 연령·성별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2. 놀이감의 실물성이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 2-1.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라 유아의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Ⅰ, 유형Ⅱ의 빈도수가 차이가 있었다. 유형Ⅰ은 실물성이 높은 놀이감이 놓여있는 상황에서 좀 더 많이 나타났으며, 유형Ⅱ는 실물성이 낮은 놀이감이 놓여있는 상황에서 좀 더 많이 나타났다. 2-2.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른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Ⅰ, 유형Ⅱ 빈도수의 차이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달랐다. 유형Ⅰ 빈도수의 차이는 4, 5세 유아보다 3세 유아의 경우에 좀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유형Ⅱ의 가작화를 많이 나타낸 4, 5세 유아보다, 놀이감의 실물성이 다른 두 상황 모두에서 유형Ⅱ의 가작화를 거의 나타내지 않은 3세 유아의 경우에 좀 더 적게 나타났다. 단, 4세와 5세 유아간에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2-3. 놀이감의 실물성에 따른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Ⅰ, 유형Ⅱ 빈도수의 차이는 유아의 연령·성별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ⅱ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상징놀이와 가작화 요소 = 8 B. 유아의 사물에 대한 가작화 = 14 C. 놀이감의 실물성과 사물에 대한 가작화 = 22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대상 = 28 B. 연구도구 = 29 C. 연구절차 = 31 D. 연구가설 = 34 E. 자료분석 = 3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7 A. 놀이감의 실물성이 사물에 대한 총 가작화에 미치는 영향 = 37 B. 놀이감의 실물성이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 = 41 Ⅴ. 논의 및 결론 = 51 A. 논의 = 51 B. 결론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59 ABSTRACT = 65 부록 = 69 A. 실물성이 높은 놀이감 및 실물성이 낮은 놀이감 = 70 B. 사물에 대한 가작화 유형 관찰 기록표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255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놀이감-
dc.subject실물성-
dc.subject유아-
dc.subject사물-
dc.subject가작화-
dc.title놀이감의 실물성(Realism)이 유아의 사물에 대한 가작화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 Realism of Play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Make-Believe in Regard to Objects-
dc.format.pageix,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