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중학생의 행동억제 성향과 신경증 경향, 주의조절이 불안 증상발달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학생의 행동억제 성향과 신경증 경향, 주의조절이 불안 증상발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Inhibition Behavoior and Neuroticism, Attention Control and Anxiety
Authors
이현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any researches have mainly focused on environmental factors, parental raising attitudes and the relations with the quality of affection as the factors that affected a symptom of anxiety so far. However,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ecedent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development of a symptom of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that the factors of temperament such as behavior inhibition and neuroticism in terms of the occurrence of anxiety could become the risk factors. In order to do so, the study looked closely into whether behavior inhibition and neuroticism acted as risk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anxiety and whether attention control could become their protection factor. In addition, it examined whether the trend of behavior inhibition directly affected the symptom of anxiety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t the same time, it attempted to verify whether neuroticism and attention control affected directly anxiety. For this study, 405 students was selected from the 1st-, 2nd- and 3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of 4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Daegu and the study composed the questionnaire using the scales of Retrospective Self-Report Inhibition, attention control, neuroticism and anxiety(RCMAS) and collected relevant data. Based on collected data, the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of measurement variables, established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each of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and performed a path analysis and examined their direct & indirect effects and Muti analysis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Amos 7.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xam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of their behavior inhibition, neuroticism, attention control and anxiety,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measurement variables. anxie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ehavior inhibition and neuroticism, but it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ttention control. Besides, behavior inhibition trend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ttention control; however, i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neuroticism. Meanwhil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neuroticism and attention control. 2.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inhibition, attention control, neuroticism and anxiety, there was a direct effect between behavior inhibition and anxiety and the model representing the indirect effect of neuroticism and attention control was supported in the development of behavior inhibition into anxiety. When looking at them based on these results,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was a high probability of showing the symptom of anxiety in case of high behavior inhibition. In addition, in case that neuroticism mediates between behavior inhibition and anxiety, it has been noted that it would be more probable to be developed into anxiety. Meanwhile, as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of attention control in the development of behavior inhibition into anxiety, Therefore, in case that low attention control was high in the development of behavior inhibition into anxiety. 3.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ttention control on behavior inhibition, neuroticism and anxiety by the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after setting a moderating model of attention control, moderating model of attention control having statistical significance has been found that moderating effect of attention control was detected and the significant path coefficients were detected. therefore, it has been found that attention control played a role in reducing the negative effects of behavior inhibition. it has been shown that it was less probable to be developed into the symptom of anxiety.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the factors of temperament such as behavior inhibition or neuroticism had crucial impacts on the development of anxiety. Besides, in case that both behavior inhibition and neuroticism were high, it has been noted that it was more probable to be developed into anxiety. However, in case that the ability to do attention control excellently, the negative impacts were reduced so that it was less probable to be developed into anxiety.;지금까지 불안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주로 환경적인 요인이나, 부모의 양육태도, 애착의 질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이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불안의 발생에 있어, 행동억제, 신경증 경향 같은 기질적인 요인이 취약성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Lonigan, Phillips 2001, 2004) 불안증상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불안 증상의 발달에 있어, 행동억제와 신경증 경향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고, 주의조절이 이에 대해 보호 요인이 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행동억제 성향이 불안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고, 동시에 신경증 경향과 주의조절을 매개로 하여 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주의조절의 조절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증하고자 주의조절의 조절효과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대구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4곳에 다니는 중학생 1, 2, 3학년 40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행동억제 척도, 주의조절 척도, 신경증 경향 척도, 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질문지를 구성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측정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선행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각 측정변수들간의 인과적 관계를 설정하고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한 후 직간접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행동억제, 신경증 경향, 불안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다집단 분석을 통해 주의조절의 고·저에 따른 모형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행동억제 성향, 신경증 경향, 주의조절, 불안의 측정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측정 변수들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즉, 불안은 행동억제, 신경증 경향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주의조절과는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행동억제 성향은 주의조절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고 신경증 경향과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신경증 경향과 주의조절간에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행동억제 성향, 주의조절, 신경증 경향과 불안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동억제 성향과 불안 사이에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행동억제가 불안으로 발달하는데 있어, 신경증 경향의 간접효과, 신경증 경향과 주의조절의 간접효과를 나타내는 모형이 지지되었다. 또한 행동억제와 불안 사이의 직접효과보다 신경증 경향을 매개하는 간접효과가 더 유의미하게 나왔던 점을 고려할 때, 신경증 경향이 행동억제가 불안으로 발달하는데 더 큰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추론해볼 수 있다. 한편, 행동억제와 불안사이에 주의조절의 간접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높은 행동억제 성향은 낮은 주의조절 경향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다시 불안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셋째, 주의조절의 수준에 따라 행동억제, 신경증 경향, 불안 경로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의조절의 고·저에 따라 집단을 나누고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행동억제가 불안으로 발달하는 경로와 신경증으로 발달하는 경로에서 주의조절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행동억제의 부정적인 영향을 주의조절이 경감시켜주는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행동억제가 불안으로 발달하는데 있어, 주의조절이 높은 경우 불안증상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낮아짐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할 때, 불안발달에 있어, 행동억제나 신경증 경향 같은 기질적인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행동억제와 신경증 경향이 모두 높은 경우 불안증상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하지만 주의조절이 높을 경우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력이 감소되어 불안 증상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