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지영-
dc.creator윤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7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2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706-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낙인, 자기은폐, 자기개방과 도움추구에 대한 연구이다. 낙인에는 공공낙인, 자기낙인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공공낙인을 내재화하는 자기낙인이 도움추구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의 가정 하에 도움추구 회피요인인 자기은폐, 자기개방을 공공낙인과 자기낙인 사이의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공공낙인을 내재화하는 정도에 자기은폐와 자기개방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자기낙인이 자기은폐, 자기개방과 도움추구 태도를 매개하는 역할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 동안 도움추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많이 사용된 자기은폐와 자기개방은 도움추구 회피요인이다. 도움추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크게 접근요인과 회피요인이 있는데 도움추구에 대한 회피요인의 설명량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회피요인 중 도움추구에 대해 영향을 주는 정도에 있어서 일관되지 못한 결론들을 보여 왔던 자기은폐와 자기개방을 연구에 활용하여 도움추구 행동에 자기은폐와 자기개방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검증했던 기존의 직접효과 연구에서 더 나아가 자기낙인을 매개변인으로 한 간접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그리고 도움추구 태도가 도움추구 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도움추구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자기낙인이 남녀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남자 344명, 여자 377명, 총 721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매개효과와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은폐와 자기개방은 공공낙인과 자기낙인을 부분매개하였다. 공공낙인을 자기낙인으로 내재화하는 경로에 자기은폐는 정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내었고 자기개방을 부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자기낙인은 자기은폐, 자기개방과 도움추구 태도에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여 그 동안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었던 회피요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할 수 있었다. 즉, 자기은폐는 직접적으로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기보다 자기낙인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도움추구 의도에 영향을 주는 고유한 변인이 자기낙인과 도움추구 태도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 공공낙인은 자기은폐와 자기개방을 통해 자기낙인으로 내재화 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고 자기은폐와 자기개방은 직접적으로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자기낙인이 자기은폐, 자기개방과 도움추구 태도를 완전매개하는 형식으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자기은폐, 자기개방은 도움추구 태도가 아닌 도움추구 의도에 직접 영향을 주었고 자기낙인과 도움추구 태도가 도움추구 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라는 기존 연구의 결과를 재검증하였다. 남녀차이를 본 다집단 분석의 결과 남녀 간 경로계수에 차이가 없어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 stigma associated with seeking counseling an attitudes toward seeking counseling on the link between perceived public stigma and intentionto seek counseling. Fu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 concealment and self disclosure between public stigma and self stigma idividually.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 stigma between self concealment, self disclosure and attitude toward seeking counsel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of data from 721 undergaduates indicated that the link between public stigma and intention to seek counseling was mediated by self stigma and attitudes. Public stigma contributed to the experience of self stigma with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 concealment and self disclosure, which, in turn, influenced help seeking attitudes eventually help seeking inten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 가설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낙인(Stigma) = 6 B. 도움추구에 대한 회피요인 = 10 C. 도움추구 태도 (Help seeking attitude) = 13 D. 도움추구 의도 (Helf seeking intention) = 15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대상 = 16 B. 연구절차 = 17 C. 측정도구 = 17 D. 분석방법 = 23 Ⅳ. 결과 = 24 A. 측정모형 검증 = 26 B.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모형 설정 = 28 C. 남녀 집단 간 모형 검증 = 34 Ⅴ. 논의 = 38 Ⅵ.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 42 참고문헌 = 43 부록 1. 설문지 = 51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42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50-
dc.title낙인, 자기은폐, 자기개방이 도움추구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ediating effects of Stigma, Self-Concealment, Self Disclosure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dc.creator.othernameYoon, Ji Young-
dc.format.pagevii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