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3 Download: 0

이지연의 "Three Movements for Violin, Cello and Piano"(1995) 1,2악장 분석

Title
이지연의 "Three Movements for Violin, Cello and Piano"(1995) 1,2악장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Ji-yun Lee's First and Second Movement "Three Movements for Violin, Cello and Piano"(1995)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Keywords
Three MovementsViolinCelloPiano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세기초 Arnold Schoenberg(1874-1951)에 의해 12음 기법이 창안된 이후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오늘날에 와서는 그 사용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게 발전된 모습을 띄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Three Movements for Violin, Cello and Piano"(1995)는 이러한 12음 기법 사용에 기초한 작품으로서 전체 3악장을 지배하는 12음열이 여기서는 순수하게 기본 음열대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 제1악장에서는 하나의 음열을 사용함에 있어 pitch(음도)들의 중복과 생략 및 음열외의 음의 첨가를 볼 수 있다. 또한 trichords(3음)와 tetrachords(4음) 화음의 구성원리가 되기도 하는 dyads(2음)가 중요시된다. 이러한 12음 기법의 활용을 통하여 3가지의 리듬원형 R1, R2, R3과 3가지의 Dynamics 유형인 D1, D2, D3이 발전·변형된다. 제2악장에서는 각기 Variations에 따라 trichord의 구조를 갖는 segment(분절들)를 사용하였으며, 선율선과 박자 구성에 있어 Arch style(아치 양식)을 주된 작곡원리로 사용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작품은 12음 음열의 활용을 통해 각기 세분화된 형식속에서도 Rhythm 및 Dynamics을 통해 구조적인 일관성을 유지하며 각 Section(부분)들의 대조적인 발전 및 확대를 보여준다.;Since the invention of the twelve-tone technique by Arnold Schoenberg(1874-1991)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has seen its usage florish and become the backbone of many musical technique and developments. The ''Three Movements for Violin, Cello and Piano"(1995) reserched in this thesis is a work that uses the twelve-tone technique but that usual manner. In the first movement, we can see the overlaps and omission of the pitch and the addtion of sound outside the tone row. In addition, we regard "dyads" as important, which can be a priciple of construction of tricords and tetrachord accord. Through this twelve-tone technique, R1, R2, R3(the protorype of rhythm) D1, D2, D3(three pattern of dynamics) are developed and modified. In the second movement, we see the usage of a segment which has a trichord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s and the usage of Arch style as a main of priciple composition in the melody line the beat section. As seen from the result stated above, with the utilization of the twelve-tone technique, this work shows the structure consistency and the comparative development and expansion through the rhythm and dynamics even in the precisely patter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