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남도 환상곡』의 分析的 考察

Title
『남도 환상곡』의 分析的 考察
Other Titles
ANALYSIS ON MUSICAL STRUCTURE OF BYONG KI HWANG'S SOUTHERN FANTASY
Authors
이정자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Keywords
남도 환상곡음악SOUTHERN FANTAS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황병기의 가야금 독주곡 중 「남도환상곡」의 구조를 고찰하여 그 음악적 특징을 밝히려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 악장별로 음계, 리듬, 선율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제 4악장 마지막 부분에서 전 악장의 화음에 대해 살펴보았다. 악장별로 단락은 황병기 작곡자의 기준에 따라 제 1악장은 4단락, 제 2악장은 5단락, 제 3악장은 3단락, 제 4악장은 6단락으로 나누었다. 제 1악장부터 남도환상곡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악장은 다스름으로 자유로운 리듬과 선율형태, 화음과 장식음, 셋잇단음, 분산 화음 등으로 환상적인 분위기와 긴장감을 표현하여 전체적인 곡을 암시 해준다. 제 2악장은 중몰이 17장단 이후 진양 4장단이 삽입되어 구성되어진 악장으로써 南 중심으로 선율 진행하는 전반부와 太 중심으로 선율 진행하는 후반부로 나누어진다. 더 자세히 단락별로 나누면 6단락으로 나눠지는데, 太를 본청으로하고 南을 떠는 목으로 하는 요소와 南이 본청이 되어 姑를 떨어주고 應를 꺽는 목으로하는 요소, 이러한 두가지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두 가지의 요소로 남도의 계면 성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제 3악장은 흥겨운 중중몰이 선율로 3단락으로 나눠진다. 선율은 太를 본청으로하여 姑(f#)를 꺾어 주고 南을 흘리거나 농현 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징을 살펴보면 ♩박 단위로 세등분되는 Hemiola리듬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林과 南을 흘리거나 끌어올리는 기법을 사용하여 밝고 꿋꿋한 우조 성음을 나타냈다. 제 4악장은 자진몰이(□=76) 휘몰이(□=138) 무장단(느리게)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통적인 산조 기법과 창작 기법을 한 악장에서 다 보여주고 있다. 자진몰이는 1-12마디로 潢→湳으로 순차상행하고 다시 南으로 순차하행하는 전통 산조 기법의 선율 선을 보여준다. 휘몰이는 제 3단락(13-36마디)과 5단락(37-78마디)으로 □리듬으로 3,2,1 주법, 연퉁김 주법, 오른손 왼손 양손 모두를 사용하는 주법을 이용하여 음정을 점점 끌어올리며 음량도 작아지게 하는 방법으로 감정이 최고조에 달하는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기에 충분한 단락이다. 무장단은 휘몰아치는 진행 중에 비통한 계면조 선율이 들어와 다시 한번 남도적 선법을 느끼게 한다. 본 연구 결과, 황병기 작곡의 「남도환상곡」은 판소리, 산조, 남도의 민요, 시나위와 같이 남도 소리 특유의 선법을 구성하고 있는 3음, 즉 떠는 목, 평으로 내는 목, 꺾는 목의 요소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전통적인 남도 선법을 기반으로 한 작품이며 이와 더불어 가야금의 화려한 창작기법을 조화 있게 구성한 작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This study heads to examin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Kayagum solo 'Southern Fantasy' by Byung Ki Hwang's through the study of a structure of one. Research method is a studying about scale, rhythm, melody for each section, finally searching codes of all sections at the end of the 4th section. Paragraphs of each section's are divided by composer, Byung Ki Hwang, into 4 paragraphs for the 1st section, 5 paragraphs for the 2nd section, 3 paragraphs for the 3rd section and 6 paragraphs for the 4th section. The Southern Fantasy's characteristics are like as below. The 1st section, 'Dasrum', presents the entire music to express a fantastic mood and a exciting by freely rhythms, melodies, codes, ornaments, triplet and broken codes etc. The 2nd section, forming to insert the Jinyang 4 beat after Jungmori 17 beat, separates into the foregroup of processing about "am' and backgroup of processing about 'Tae'. And more precisely divide section to 6 paragraphs. There are two points, one point is formed by mainpart 'Tae' and trembling position of 'Nam', the other is formed by mainpart 'Nam', positions of trembling 'Go' and breaking 'Eung'. As like above two position mean the 'Kyemyeon' vocal sound of Southern part's. The 3rd section, joyful melody 'Jungjungmori', is divided into 3 paragraphs. A melody's structure is made by the main part 'Tae', breaking 'Go' and pulling sound down the "am' or vibrating one. Characteristics are two kinds as below. The lst, Hemiola rhythm what is separated to three divisions by ♩. The 2nd, it is appeared that 'Woojo' vocal sound to use pull down or pull up technique the 'Rim' and 'Nam'. The 4th section showed the traditional 'Sanjo' and modern technique composing of a Jajinmori(♩ =76), Hwimori (♩. =138) and Moojangdan (Largo) in one section. 1-12 tunes, Jajinmori, show melodies of the traditional Sanjo technique of going up from 'Hwnag' to 'Nam' and then going down to the other 'Nam' in order. The 3rd part (13-36 tunes) and the 5th part (37-78 tunes) are Hwimori, □ rhythm. These two parts give a Catastasis feeling to use a raising up tone and volume down with 3,2,l , continuously snap and both hands techniques. Moojangdan feels the Southern melody technique again to insert a grievous Kyemyeonjo melody in speed up play. In conclusion, Byung Ki Hwang's 'the Southern Fantasy' has 3 sounds, trembling, straight and breaking positions of organizing the traditional Southern melody technique as like as a Pansori, a Southern folksongs and a Sinawi. Also this song is composed of various modern technique of Kayag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