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민-
dc.creator김성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4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5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2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526-
dc.description.abstract정악곡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대체로 고악보 해독에 의한 분석이나 연주 기법에 관한 것인데 비해 古音盤에 대한 비교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古音盤에 대한 비교작업의 하나로서, 古音盤 <雅樂精粹>와 현행 악보, 「아악부 악보」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하기 위해 古音盤 <雅樂精粹>에서 9곡을 선별하여 최근 음반과 연주시간을 비교하고, <雅樂精粹>와 현행 악보, 「아악부 악보」의 선율과 리듬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A. 古音盤 <雅樂精粹>와 최근 음반의 연주시간과 古音盤 <雅樂精粹>, 현행 악보, 「아악부 악보」의 선율과 리듬 1. 古音盤 <雅樂精粹>의 연주 시간이 긴 곡은 [정대업] 중 독경, 탁정, [보태평] 중 희문, 해령, 취타, [표정만방지곡] 중 상령산이고, 최근 음반의 연주시간이 긴 곡은 [중광지곡] 중 세령산, 보허자, 수제천이다. 이와 같이 [중광지곡] 중 세령산, 보허자, 수제천의 경우는 최근 음반의 연주시간이 古音盤 <雅樂精粹>보다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음반의 연주시간이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이는 곡은 수제천이며 최근 음반에서 남, 太로 길게 뺏어주는 음을 古音盤 <雅樂精粹>보다 약 2.3배 길게 연주하기 때문이다. 2. [정대업] 중 독경은 리듬은 같지만 음이 다른 경우가 많았고, 현행 악보의 浹이 古音盤 <雅樂精粹>에서 汰가 되는데 汰는 음계상에 없는 음으로 잘못된 연주로 보인다. [정대업] 중 탁정은 장식음의 차이가 많았고 독경과 탁정의 현행 악보는 黃, 潢에 る(눅임표)를 사용해서 무나 無로 연주하고 있으며 현행 악보에서는 古音盤 <雅樂精粹>에 없는 メ(흔들어주는 표)를 사용해서 古音盤 <雅樂精粹>에 비해 선율과 리듬이 다양해졌다. 古音盤<雅樂精粹>를 들어보건데, る(눅임표)를 사용하지 않고 黃이나 潢으로 연주하기 때문에 시대순으로 더 앞선 「대악후보」,「俗樂源譜 信」에서도 黃과 潢으로 기록된 것은 る(눅임표)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은 「국악사양성소 악보」 이후에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단, る(눅임표)와 メ(흔들어주는 표)는 대금악보에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해금악보에서 사용되는 기호를 대용하였다. 3. [보태평] 중 희문에서는 현행 악보에 비해 <雅樂精粹>의 박이 약 2배 정도 늘어나는 경우가 10번 나타난다는 것을 제외하면 두 악보간의 차이는 거의 없다. 4. 보허자는 음과 리듬이 다른 경우가 가장 많고, 古音盤 <雅樂精粹>에서 총 5번 나오는 汰 중에서 현행 보다 낮게 연주되는 汰가 1번 나온다. 또한 「아악부 악보」가 다른 두 악보와 음과 리듬이 다른 경우가 나타나는데 이는 3가지 악보의 시대순으로 볼 때 특이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5. 취타는 음은 같지만 리듬이 다른 경우가 가장 많았다. 古音盤 <雅樂精粹>에서 총 55번 나오는 姑 중에서 현행 보다 높게 연주되는 경우는 4번나오는데 초장1각∼초장 2각7박에서 나오는 姑가 모두 이렇게 높게 연주된다. 그리고 총 3번 나오는 潢 중에서 현행 보다 낮게 연주되는 경우가 2번 있으며, 현행 보다 낮게 연주하는 汰, 중이 각각 1번씩 나온다. 「아악부 악보」에서 다른 두 악보와 리듬형태 가 다른 경우가 나타나는데 이는 「아악부 악보」에서 한 박이내의 음길이는 연주자 재량에 따르기 때문이다. 6. 해령은 음은 같지만 리듬이 다른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 「아악부 악보」에서 다른 두 악보와 리듬 형태가 다른 경우가 나오는데 이는 「아악부 악보」에서 한 박이내의 음 길이를 연주자의 재량에 따르는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현행 악보에 비해 古音盤 <雅樂精粹>의 박이 약 2배 정도 늘어나는 것은 의식음악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여진다. 7. 상령산은 음과 리듬이 다른 경우가 가장 많다. 「아악부 악보」가 다른 두 악 보와 리듬 형태가 달라지는 경우가 나타나는데 이는 「아악부 악보」에서 한 박이내의 음 길이는 연주자의 재량에 따르기 때문이며, 「아악부 악보」가 다른 두 악보와 음과 리듬이 다른 경우가 나오는데 3가지 악보의 시대순으로 볼 때 특이한 현상이다. 古音盤 <雅樂精粹>에서는 仲을 현행 악보 보다 2배 짧게 연주한다. 8. 세령산은 음과 리듬이 다른 경우가 가장 많다. 현행 악보와 古音盤 <雅樂精粹>에서 黃이나 潢이 「아악부 악보」에서 憮나 無로 기록된 것이 나타나는데 「아악부 악보」에 る(눅임표)로 기록되지 않았지만 黃, 潢을 눅여서 (る)무, 無로 연주하는 것은 [정대업] 중 독경, 탁정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악부 악보」에서 다른 두 악보와 리듬 형태가 달라지는 경우가 나타나는데 이는 역시 「아악부 악보」에서 한 박 이내의 음 길이는 연주자의 재량에 따르기 때문이며 古音盤 <雅樂精粹>는 반복되는 가락을 조금씩 다르게 연주하고 있다. 9. 수제천은 장식음의 차이가 가장 많다. 古音盤 <아악정수>에서 총 3번 나오는 黃 중에서 현행과 비교해서 낮게 연주되는 경우가 1번 나오고 총 2회 나오는 潢이 모두 현행에 비해 낮게 연주된다. 현행 악보에서 太를 준박으로 연주하는 부분이 古音盤 <雅樂精粹>에서는 太를 1박으로 연주한다.;In the contrast to the study of Jang-ak-kok which was about the analysis and performance method by the translation of a old note, there was a few comparative method about a old disk. So this paper is about one of the old disk and Moderndisc comparisons, aiming at comparative study between old disk, Aogcho˘ngsu and Modern note, 「Aagbu note」. In order to do this work, I selected 10 songs from Aogcho˘ngsu, to compare with the latest music discs and playing time so that the rhyme and rhythm of Aogcho˘ngsu, Modern note and Aagbu note should be compared. A. The comparison between the playing time of Aogcho˘ngsu and that of the Modern discs. The long playing time songs of Aogcho˘ng-su are Toktkyo˘ng of Chbo˘gdaeo˘p, Hu˘imun of Pot'aep-yo˘ng, and Sangyongsan, Sujecho˘n, Haero˘hg, Ch'wita of P'ydjo˘ngmanbangjigok. And those of the latest discs are Seryo˘ngsan and Poho˘ja among Junggwangjigok. Eventually, the playing time of Seryo˘ngsan and Poho˘ja among Chunggwangjigok is longer than that of Aogcho˘ng-su. B. The comparison of the rhyme and rhythm between Aogcho˘ng-su and latest, 「Aagbu note」 1. Chongmyocheryeak : Tok-kyo˘ng of Cho˘ngdaeo˘p, Kt'akcho˘ng Tak-jung of Jo˘ngdaeo˘p and Hu˘imun of Pot'aep-yo˘ng In Tokkyo˘ng of Cho˘ngdaeo˘p, there are a lot of same rhythm but varied note, in Tt'akcho˘ng of Cho˘ngdaeo˘p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 of ornamented note than any -ther. In Hu˘imun of Pot'aep-yo˘ng, there are a lot of same note but varied rhythm. In Dok-kyeong of Cho˘ngdae˘p, Te(汰) of Modern note is changed to Te(汰) of Aagcho˘ngsu. It seems like a false play. And in Modern note of Tokkyo˘ng of Cho˘ngdaeo˘p and Tak-jeong of Cho˘ngdaeo˘p, there used? at Hwang(黃) Hwang(潢) in order to play Mu(舞) Mu(無). In Modern note, there used 五 which isn't in Aagcho˘ngsu so that there are more various rhyme and rhythm than Aagcho˘ngsu. This characteristic is appeared after 「Koeran Traditional musician note」. In Hu˘imun of Pot'aep-yo˘ng, there appeared 10 times of the tune of Aagcho˘ngsu is expanded about dubble of Modern note, However both notes are not different neally. 2. Chamber Music : Poho˘ja, Haeryo˘ng, Ch'wit'a In Poho˘ja, there are a lot of varied note and rhythm, in Haeryo˘ng there are a lot of same note but varied rhythm, there are a lot of varied note and rhythm. Furthermore, in Poho˘ja, Ch'wit'a, and Aagcho˘ngsu, there appeared KO(姑) which should be played higer than Modern note and hwange(潢) Te (汰) Jung(□) which should be played lower. These seem to be false playing. In 「Aagbu note」 of Haeryo˘ng and Ch'wit'a, there appeared different rhythm types compared with other 2 notes, it may be the difference of collection situation. The elasticity of rhythm in Haeryo˘ng is because it is ritual music. 3. Other music : Sangyo˘ngsan of P'yojo˘ngmanjigok and Seryo˘ngsan, Sujecho˘n In Seryo˘ngsan and Sangyo˘ngsan, there are a lot of varied note and rhythm, in Sujecho˘n, there a lot of the difference of ornamented notes. In all 3 songs, there are most of ornamented notes in Modern note, and in Aagcho˘ngsu of Seryo˘ngsan and Sujecho˘n, Hwang黃 and Hwang潢 is played lower than Modern note. It seems like a fase play. In 「Aagbu note」 of Seryo˘ngsan and Sangyo˘ngsan, there appeared different rhythm types than other 2 notes. It seems the difference of collecting notes. In sanyo˘ngsan and Sujecho˘n, the elasticity of rhythm appeared. In Aagcho˘ngsu of Seryo˘ngsan, the repeated rhythm is played somewhat differently. In above 9 songs, the common things of Aagcho˘ngsu, Modem note and 「note」 comparison are follow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범위 및 방법 = 1 Ⅱ. 본론 = 4 A. 古音盤 <雅樂精粹>의 해설과 연주 시간 비교 = 4 B. 古音盤 <雅樂精粹>와 현행 악보, 「아악부 악보」의 선율과 리듬 비교 = 6 1. 종묘제례악 = 7 가. 정대업 중 독경 = 7 나. [정대업] 중 탁정 = 13 다. [보태평] 중 희문 = 16 2. 합악 = 19 가. 장춘불로지곡(보허자) 2장 = 19 나. 서일화지곡 (해령 1장, 2장, ,3장10박) = 27 다. 만파정식지곡(취타) 1장~5장12박 = 34 3. 기타 음악 = 41 가. [표정만방지곡] 중 상령산 1장 = 41 나. [중광지곡] 중 세령산 = 50 다. 수제천 1장 = 60 Ⅲ. 결론 = 67 참고문헌 = 70 부록 = 71 ABSTRACT =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332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고음반-
dc.subject아악정수-
dc.subject현행 음악-
dc.title古音盤 <雅樂精粹>의 음악과 현행 음악의 비교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OMPARISON BETWEEN <Aagchoˇng-su> MUSIC AND MODERN MUSIC-
dc.format.pagex, 11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