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승민-
dc.creator이승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3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2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32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의 염세적 세계관에 내재된 사회비판의식에 대한 연구이다. 남북전쟁 이후의 미국은 산업과 물질문명의 급진전으로 인해서 이전과는 다른 세계를 맞이하였다. 기존의 농업환경 중심의 고립된 시대의 모습은 국민국가라는 전국적인 모습으로 변모되었고, 과학과 테크놀로지, 산업화로 변화된 미국의 상황은 사회환경과 인간의 가치가 불균형을 이루기 시작하면서 필연적으로 인간 개개인의 사상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에드워드 호퍼는 20세기 초반의 변모된 시대상황에 주목하고, 기존의 예술가들이 보여주는 낙관적 세계와는 다른 비관적인 세계를 작품화하였다. 산업문명이 가져오는 외관상의 긍정적인 면모를 넘어서서 인간 개개인의 가치관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측면을 반영하였던 호퍼의 작업은 긍정적인 세계관의 저변에 깔린 염세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것이자 나아가 염세적인 시각을 통한 사회비판의식을 드러내는 것이다. 관람자들은 이러한 그의 그림을 대면하면서 기존의 낙천적 시각의 작품들이 제시하는 허상에 주목하고 물질문명이 가져오는 부정적인 영향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견지할 수 있게 된다. 호퍼의 회화에서 나타나는 비판의식은 시대와 이를 반영하는 예술가들의 비판의식, 작가자신의 자전적인 환경들이 어우러지면서 부각된다. 호퍼는 이러한 배경으로 형성된 염세적 세계관을 통해서 통렬한 사회적 비판을 시도한다. 그리하여 그는 기존의 낙관적 세계관이 지니는 허상을 타파하고자 한다. 이때 호퍼가 주목한 것은 물질문명이 인간에게 유용함을 가져오지만 이것이 오히려 기존의 인간중심의 세계관을 파괴시키는 현실이었다. 변모된 기계화 사회 속에서 인간은 주변적 존재, 불필요한 존재이고 나아가 제거되어야 할 대상이었던 것이다. 또한 그는 낙천적 세계관을 형성하였던 일련의 신화들에 주목하고 이것이 파괴되는 현실을 제시함으로써 신화의 허구성을 드러내고, 낙관적 세계의 허구성을 피력하였다. 필름 느와르는 허상의 타파에 또 하나의 방법이 된다. 기존의 고전주의적 영화장르로 표현할 수 없었던 미국의 상황이 필름 느와르라는 관람자에게 불편함을 가져다주는 새로운 양태로서 표현되었듯이, 호퍼는 염세적 세계관을 제시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 것이었다. 관계성이 제거된 모호한 그의 작품들은 안정적이고 유기적인 결합을 기대하는 관객으로 하여금 불안한 상황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파괴된 허상은 현실을 직시하는 눈을 뜨게 하는데 이것은 닫힌 공간이라는 문명의 상징을 통해서 강화된다. 자연에 대비되는 인공적 공간 그리고 그 안에 자연을 상징하는 여인의 모티브를 그려 넣음으로써 제시되는 염세적인 세계는 당대 미국의 좌절된 인간 개개인의 심리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상의 방법들을 통해서 고독, 소외, 절망이라는 인간의 근본적인 심리를 그려내면서도 미국적 작가라는 국가적 타이틀을 부여받을 수 있는 호퍼의 평가에 비판적인 입장을 부각시킴으로써 예술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기능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기존의 미국의 미술사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1900년대 초반의 예술에 주목하고 염세적 세계관을 통해서 사회적 비판을 견지했던 호퍼의 작업이 그 중심에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부정적 시각을 통해서 바라본 세계는 단지 증오의 대상이 아닌 현실에 대한 정직한 시각이며, 이를 통해서 본 연구는 삶의 허상이 아닌 진실을 그리고자 하였던 호퍼의 작업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즉 호퍼의 염세적 세계관은 시대에 대한 절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절망을 통해서 현실을 직시하고 비판적 태도를 취한다는 데에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이것은 삶의 진실을 드러내고자 하는 호퍼 자신의 의욕이자 삶에 대한 애착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소외의 작가로 국한되는 호퍼의 평가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This thesis is an study of Edward Hopper's criticism of social reality based on his pessimistic vision of the world. After the Civil War, America faced a new world due to enormous development of industrial and material civilization. The isolated, agriculture-centered society changed into a nation as a whole. This new society which was accelerated by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ialization came to confront the discrepancy between social environments and human value systems. Inevitably, this lead to revolutionary influences on individual philosophies. Edward Hopper noted these new chan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ried to show pessimistic reality that was different from the mainstream of optimistic works of contemporary artists. Hopper presented negative aspects of industrialization affecting individuals, which were seemingly believed to be full of positives. These reflect the pessimistic vision ignored in the prevalent optimistic view of the world. Furthermore, it represented social criticism through pessimistic views. Confronting his works, spectators acknowledge the vanity of optimistic works by other painters and keep a new vision against the side effect of material civilization. Hopper's critical view of the society through his works was shaped by those of other artists and the early days of his life. Hopper tried to severely criticize society through this pessimistic vision and thus break the vanity of optimistic views. He noticed that the benefits from the material civilization were actually the cause of disruption of the human-centered world. According to his views, human beings were threatened as unnecessary outsiders to be removed from this new mechanized world. Hopper also paid attention to a series of myths which were the cornerstone of an optimistic view of the world, and by suggesting destruction of this, he revealed the fiction of myths and optimistic views. Film Noir was another method of breaking vanity. As the circumstances of America, which was hardly expressed by classical film genre, was exposed in the uncomfortable form of Film Noir, Hopper explored this as a new way of expressing his view point. Hopper's ambiguous, free-of-relationships works suggested unstable situations to spectators who expected stable and strong bonds. Together with this, the closed space, the symbolic form of civilization, reinforces the opening of eyes towards reality by the breaking of vanity. A contrasting motif of artificial space and a natural woman inside, are the subjects of the pessimistic world of Edward Hopper that reflected the frustrating individual mental states of early 20th century America. This thesis emphasizes the social function of arts by noting the critical view of Edward Hopper who is considered one of the greatest American artists while his works are mainly focused on the most fundamental mentality of solitude, isolation, and desperation of human beings. By observing overlooked American works of the early 20th century, the author argues that Hopper's works of pessimistic vision are at the center of this stream. This vision is not from hatred about the world, but from the candid attitude towards reality. This thesis discusses the works of Edward Hopper, which are the results of true reality. Hopper's pessimistic view of the world is not just the desperation about his times but the stepping stones for facing reality and expressing his critical attitude. These were eventually Hopper's aspirations and love for life. This thesis hopes to suggest a new assessment of Edward Hopper, who is mainly known just as an artist of iso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호퍼의 염세관의 형성배경 = 7 A. 20세기 초 미국사회의 염세주의 = 7 B. 미국미술의 비판적 경향 = 12 C. 호퍼의 염세적 경향 = 18 Ⅲ. 작품에 나타난 염세관의 양상 = 24 A. 인간소외의 조형화 = 24 B. 미국적 신화의 파괴 = 34 C. 필름 느와르적 부조리의 창출 = 46 D. 닫힌 공간을 통한 좌절감의 가시화 = 55 Ⅳ. 결론 = 65 참고문헌 = 67 도판목록 = 75 도판 = 81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977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에드워드 호퍼-
dc.subjectEdward Hopper-
dc.subject염세적 세계관-
dc.subject현실비판의식-
dc.title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의 염세적 세계관에 내재된 현실비판의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dward Hopper's Critical Awareness of Social Reality Immanent in Pessimistic Vision-
dc.format.pagev,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