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사영숙-
dc.creator사영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7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4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2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47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Attitude towards the Integration of the Handicapped Early Children in Taej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 1. How is the teacher's attitude towards the integration?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eacher's attitud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s and working condition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eacher's attitude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s (age, academic background, career, marriage, integration experience, completion text related special education)?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eacher's attitude according to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working conditions (children age, class size, having helper, teaching ti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59 kindergartens teachers and children houses located in Taejon. The integration education survey was practiced as a research tool and this study used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and F-test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94.2% of the teachers recognize necessity of the integration.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quality of the teachers for integration education are patience,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and teaching skill. Teachers recognized that integration operation is difficult because of the lack of training experience in the field of integration education and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39.2% the teachers, the subject of the study answered that they have practiced teaching related activity the handicapped children. 86.6% of the teachers showed the willingness necessary for the success of the integration operation. 2. Among the teacher's personal characters, their attitud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integration experience, Teachers having integration experienc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here isn't any difference in the teacher's attitude according to their age,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career, marriage and completion text related special education. But among the sub-categories; teacher's profession and learning expectation, activity expectation, the teacher's attitude is different in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ges of21-25 and 31 years. Teachers that are 31 years are more positive than the 21-25 years in the sub-categories;'teacher's profession','learning expectation'. Teachers in the 21-25 years category more positive than the26-30 years category in the following sub-categories;'activity expectation'.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marriage, integration experience and completion text rela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rried, experienced in integration and completed text, are more positive. 3. There isn't any difference in the teacher's attitude according to the following working conditions (children age, class size, having helper, teaching time).;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유치원에서의 장애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교사들의 관련변인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가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 통합교육의 확산과 정착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는 어떠한가? 2.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는 개인적 특성과 근무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는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는 근무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59명이였으며, 연구도구로는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조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고 집단간 차이를 보인 경우 사후분석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한 교사는 94.2%이며,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로 인내심, 특수교육에 관한 지식, 교수능력 순으로 지적하였다. 통합교육 실시의 가장 어려운점으로 훈련경험과 지식부족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장애 관련 교수활동은 39.2%의 교사가 실시하였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실시를 위한 교사의 실천내용에 노력의 의지를 보인 교사가 86.6%가 되었다. 둘째, 교사의 개인적 특성 중 '통합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차이가 났으며,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결혼여부, 관련과목 이수 여부에 따라서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의 하위요인별로 보았을 때 연령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학업적 기대'와 '행동적 기대'에서 교사의 태도가 차이났으며, 31세 이상의 교사가 21-25세 교사보다 '교사의 전문성'과 '학업적 기대'에서 더 긍정적이었으며, 21-25세 교사가 26-30세 교사보다 '행동적 기대'에서 더 긍정적이었다. 결혼여부, 통합교육 경험여부, 특수교육 관련과목 이수 여부에 따라서는 '학업적 기대'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혼의 교사와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 특수교육 관련과목을 이수한 교사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여건(유아 연령, 유아 수, 보조교사 유무, 일일 교육시간)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는 전체 및 하위요인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장애아 통합교육의 개념 = 5 B. 장애아 통합교육의 효과 = 9 C.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 및 역할과 교사의 태도 = 12 D. 관련연구 = 18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연구 도구 = 27 C. 연구절차 = 28 D. 자료분석 = 29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0 A. 통합교육태도 = 30 B. 개인적 특성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 33 C. 근무여건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 39 Ⅴ. 논의 및 결론 = 43 A. 논의 = 43 B. 결론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49 부록 = 58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387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치원-
dc.subject장애아-
dc.subject통합교육-
dc.title유치원에서의 장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er's Attitude Towards the Handicapped Early Children to be Integrated into the Kindergarten-
dc.format.pageviii, 6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