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한글단어재인에서 청년과 노인의 의미점화효과

Title
한글단어재인에서 청년과 노인의 의미점화효과
Other Titles
the Semantic Priming Effects of Young and Older Adults in Hangul Word Recognition
Authors
김선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lthough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continues to increase and Korea has already become one of the aging societies in the world, there are not enough experimental researches about aging in cognition. It is true that most of the old people experience failing of sensory and perception abilities, but still is there a controversy about another part of cognition, especially language processing of the elderly. Reading is a dynamic cognitive activity which needs not only to perceive visual features of stimulus but to recognize words and understand sentences. This study examined how aging in perception make a change of processing language informations in reading by comparing the semantic priming effects of young and older adults. Young and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e lexical decision task of Hangul words. Prime words, semantically related or unrelated to target words,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priming effects. The duration of prime words(SOA) was manipulated as 25 ms, 50 ms, 100 ms, 200 ms, 400 ms, and 800 ms to identify the time course of priming effects in two age groups. As a result, the lexical decision latency was longer for the olds than young adults. The time when priming has begun was also late by ages(aging effects on processing speed). Most importantly, the maximum level of the semantic priming effects was higher for the olds but this difference between two age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priming effects were calculated by related / unrelated ratio, the highest value was same between young and older adults . If there is a restriction in processing time for the prime words like in the short SOA conditions, the elderly showed smaller context effects than young adults. But there is no age-related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priming effects when the available time is sufficient as much as longer SOA conditions. This result means that although the speed of using informations about the semantic relations is delayed in older adults, the ability to apply informations is kept efficient in the elderly as well as the young.;최근 노인 인구의 급증으로 우리나라도 이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으나, 현실적 필요성에 비해 노화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많은 노인들이 감각 및 지각능력을 비롯하여 인지의 여러 측면에서 감퇴를 경험하는 것은 사실이나, 언어처리의 나이관련변화에 대해서는 갈등적인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읽기는 자극의 시각적 특징에 대한 파악과 함께 단어 재인과 문장 이해 등 여러 수준의 언어정보처리를 필요로 하는 역동적이고 복잡한 인지적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에서 언어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대표적인 현상인 맥락효과, 특히 의미점화효과를 통해 청년과 노인의 맥락정보 활용을 비교함으로써 노화로 인한 지각능력의 감퇴가 읽기 과정에서 언어정보처리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청년과 노인집단이 한글단어의 어휘판단과제에 참가하였으며, 점화효과의 측정을 위해 선행 점화단어를 표적단어와 의미적으로 관련이 있거나 없는 조건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점화효과에서 나이 차이를 시간 경로에 따라 검토하기 위하여 점화단어의 SOA를 25, 50, 100, 200, 400, 800 ms로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전체적인 어휘판단시간이 노인에게서 증가하였으며 점화효과의 발생 시점과 최대치에 이르는 시점에도 나이관련 지연이 있었다. 한편 점화효과의 최대 수준이 수치상으로는 노인에게서 더 컸으나 이 나이 차이는 통계적인 유의미성에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점화효과를 관련조건과 비관련조건의 비로 측정하였을 때 점화효과의 최대치는 노인과 청년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짧은 SOA처럼 점화단어의 처리시간에 제한이 있을 때 노인은 청년보다 적은 맥락효과를 보였으나, 긴 SOA처럼 점화단어의 처리시간이 충분할 때는 노인과 청년의 맥락효과가 다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의미관련성 정보의 사용에서 노인이 청년보다 느린 것은 사실이나, 궁극적인 정보 활용 능력에서는 노인과 청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시사해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