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1 Download: 0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생식기 암환자의 자가 간호행위, 삶의 질의 관계

Title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생식기 암환자의 자가 간호행위, 삶의 질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among female patients under the chemotherapy.
Authors
도영숙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생식기 암환자로 항암화학요법을 2회 이상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 간호행위 와 삶의 질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를 기초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시도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N 암센터에서 입원 또는 외래에서 최초 암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을 2회 이상 시행하거나, 재발된 암 치료를 위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 내막암 환자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07년 4월부터 5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Dodd(1984)가 항암화학요법 치료기간 중의 자가 간호행위를 기록한 항암화학요법 일지를 번역하여 만든 김숙경(2004)의 도구를 재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삶의 질 측정도구는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EORTC) Quality-of-Life Questionnaire (EORTC-QLQ, 1995))를 윤영호(2004)가 번안한 암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로 전반적인 건강상태, 기능영역, 증상영역항목으로 구성된 30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로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 및 질병 특성에 따른 자가 간호 행위, 삶의 질의 차이는 t-test, ANOVA를 사용한 후 Duncan방법으로 사후 검증하였으며, 자가 간호행위, 삶의 질의 관련성은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자가 간호행위, 삶의 질에 대한 분석 결과 자가 간호행위는 3.34로 비교적 높은 정도를 나타냈고, 하부 영역별 자가 간호행위를 분석한 결과 탈모(3.98),피로완화(3.42), 감염예방(3.42)등의 순이었으며, 대상자의 삶의 질은 각 영역별로 전반적인 건강상태(48.75), 기능영역(73.86), 증상영역(28.09)으로 중정도 이상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 간호행위는 결혼 상태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나 연령, 학력, 종교 직업, 가족 월 평균 수입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삶의 질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자가 간호행위는 질병관련 특성 중 항암제와 진단명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은 재발유무와 총 항암화학요법 횟수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4.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자가 간호행위, 삶의 질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항암화학요법 환자의 자가 간호행위는 결혼상태, 항암제의 종류, 진단명에 따라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삶의 질은 재발유무, 총 항암화학요법 횟수와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와 달리 자가 간호행위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는 규명하지 못하였지만, 반복연구를 통해 자가 간호행위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가 간호행위 측정을 위한 표준화된 도구의 개발과 자가 간호행위와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양질의 간호중재를 고안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under the chemotherapy. The subjects were 100 patients of ovary cancer, cervix cancer, endometrial cancer who are treated under chemotherapy on in-patients dept. or out-patients dept. of N Cancer Center in Kyoung-gi province. Data collected from April to May, 2007 by mean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tool of research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chemotherapy self-care behavior tool by Cho Young Soo(2002) with Kim Suk Kyoung(2004).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EORTC QLQ-C30 that has been developed by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rch and Treatment of Cancer Center.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eviation, mean score, Pearson SPSS 14.0 program including percentage, mean, Cronbach's Alpha.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as follows; 1. The mean of self-care behavior was 3.34 and the mean Global health of quality of life was 48.75 and the mean Functional Scale of quality of life was 73.86 and the mean Symptom Scale of quality of life was 28.09.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care behavior and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marring. according to usual character of meaningful differences are not found out in quality of life.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care behavior and character related to disease. self-care behavior is a difference in chemotherapy type, diagnosi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quality of life and recurrence, the frequency of chemotherapy. 4. On this study,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do not revealed that self-care behavior may be a important factor that can improve quality of life. despite, to improve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female cancer patient treated chemotherapy should be provided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promote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