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9 Download: 0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aily Stress and Adjustment depending on Children's Social Support
Authors
정성인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아동스트레스사회적 지지적응행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during childhoo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about children's stress, children's adjustment behavior. This study also, in case the social support controled,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stress and adjustment during childhoo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50 children of fifth and sixth graders selected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in Seoul. Children completed the daily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measure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Children experienced highly their stress about studies domain(m=2.32), but recognised lowly their stress about home environment domain(m=1.63). In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ll children perceived the highest emotional support. Children perceived the most parent support(m=4.06), and secondly friends(m=3.45). Teacher(m=3.26) was perceived the least social support provider by children. Children was the best adapted in social act of adjustment( m=3.82) . The next one was achieve-motivation(m=3.59), self-concept of adjustment(m=3.36) 2. Children's adjust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father(F=4.42, p<.01) and mother academic(F=7.80, p<.001) career in social act domain. Children's str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sex(t=7.96, p<.01) and father's job(F=2.56, p<.05) in the domains of friends, studies and teach & school. Children's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father's job(F=3.34, p<.01) and home monthly income (F=2.61, p<.05) in the domains of parent support and friends support 3. Children's social support was related negatively to the adjustment. That is, the more children's stress high, child showed lower the adjustment The finding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home environment(Beta=-.169, p<.05) and studies-related stress(Beta=-.143, p<.05)were found important in predicting children's adjustment 4. Children's social support was related negatively to children's daily stress, that is, the more social support high, children showed lower their stress. The finding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family(Beta=-.249,p<.001) and teacher support(Beta=-.203, p<.01) were found important in predicting children's adjustment. Children's social support was related positively to children's adjustment. The more social support high, children showed higher adjustment. Additionally, the finding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family(Beta=.176, p<.001) and teacher support(Beta=.141, p<.001) were found important in predicting children's adjustment 5. In case the social support controled, children's stress have an effect on their adjustment In the high social support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studies-related stress and self concept of adjustment. That is, the finding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studies-related stress was related positively to self concept of adjustment.(Beta=.235, p<.05) Also, in the high social support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friends-related stress and social act of adjustment. The finding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friends-related stress was related positively to social act of adjustment(Beta=.215, p<.05) On basis of the main results, even if children's stress was high, the children who perceived high social support, showed that their adjustment became better. That is, children's social support have on directly effect on children's adjustment In addition, social support was an important moderator variable between children's stress and adjustment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assess children's stress and social support for management with children's adjustment problems. And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sources to develop various social work intervention plans;최근 들어 급속히 변화하는 다양한 사회에서 살고 있는 아동들은 끊임없는 적응의 요구로 일상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더불어 이들에게 나타나는 적응행동상의 문제는 신체적 건강문제보다 발달단계의 특징에 따른 심리적인 부적응 및 환경과의 갈등으로 인해 더욱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아동의 성인의 적응행동 문제와는 달리 가정, 학교 및 사회 등과 같은 여러 환경적인 요소의 영향을 심각하게 받고 있고 동시에 자신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효과적인 대처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아동은 성장해 가면서 타인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얻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게 되고, 이러한 지지는 개인의 정신적 건강 및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아동의 스트레스와 적응행동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에 따른 연구가 매우 요망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일상적 스트레스 및 기준이 이들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행동과의 관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사회적 지지를 통제하였을 경우 일상적 스트레스와 적응행동과의 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해 봄으로 써, 아동이 일상적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어지는 적응행동상의 문제를 갖는 경우, 이들의 심리적, 사회적 적응을 최대한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사회 사업적 접근을 모색하여 이들을 위해 치료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적 자료를 제시함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중인 총 250명의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1998년 4월 15일에서 4월 27일 동안 실시되었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250부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로는 먼저 유안진, 한미현(1994)이 한국아동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총 36문항의 4점 척도로 부모영역, 가정환경영역, 친구영역, 학업 영역, 교사 및 학교영역의 5개 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적지지 척도로는 김명숙(1994)이 개발한 사회적지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총 23문항의 5점 척도로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의 3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적응행동 척도로는 정종식(1988)이 한국 아동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적응행동 척도를 사용하였고 총 46문항의 5점 척도로 자아개념, 성취동기, 사회적 행동의 3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통계기법으로는 빈도 및 백분을 등의 기술통계방법과 t-test, one way ANOVA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지각하는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적용행동의 수준을 알아 본 결과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정도는 평균 2.14(sd=0.39)로 중간 정도의 스트레스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각의 하위영역별 스트레스의 정도를 살펴보면, 학업영역의 스트레스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더불어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은 평균 3.61(sd=0.69)로 중간정도보다 비교적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가족지지를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적응행동의 수준은 평균 3.59(sd=0.49)로 중간정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이 중 사회적 행동이 가장 높은 적응행동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2.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를 아동의 적응행동,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 대한 결과를 보면, 부의 학력(F=4.42, p<.01)과 모의 학력(F=7.80, p<.001)이 적응행동의 하위 영역인 사회적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에서는 여아가 남아(117.96, p<.01) 보다 일상적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직업(F=2.56, p<.05)이 하위직종일수록 아동들은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보면, 부의 직업(F=3.34, p<.01), 가정의 월수입 (F=2.61, p<.05)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3.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른 적응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동이 지각하는 각 영역별 일상적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을수록 적응행동의 각 영역의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적응행동에 대한 각 영역별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가정환경영역(Beta=-.169 p<.05) 및 학업영역(Beta=-.143, p<.05)의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아동의 적응행동의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아동의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아동의 각 영역별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는, 이들이 지각하는 각 영역별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높을수록 일상적 스트레스의 각 영역의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대한 각 영역별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에서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중 가족지지(Beta=-.249, p<.001), 교사지지 (Beta=-.203, p<,001)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수준 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지지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아동의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른 적응행동과의 관계는 아동이 지각하는 각 영역별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적응행동의 각 영역의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적응행동에 대한 각 영역별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에서 가족지지(Beta=.176, p<.001) 및 교사지지(Beta=.141, p<.001)가 아동의 적응행동에 더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아동의 적응행동에 대한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는 아동의 사회적 지지를 통제하였을 경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수준은 적응행동과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 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지지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의 아동일 경우에는 자아개념 및 사회적 행동에서 학업영역의 스트레스(Beta=.235, p<.05) 및 친구영역의 스트레스 (Beta=.260, p<.05)의 수준이 비록 높더라도 아동의 자아개념이나 사회적 행동의 수준은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의 아동일 경우, 일상적 스트레스와 적응행동과의 관계에서 아동의 적응행동의 수준을 좋게 하는데, 아동의 높은 사회적 지지가 영향력을 미친다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들은 아동의 적응행동상의 문제를 다를 때,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사정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며, 또한 아동의 심리적, 사회적 적응을 최대한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사회사업적 접근을 모색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