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6 Download: 0

가정봉사원의 활동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가정봉사원의 활동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the Home Helper
Authors
이윤경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가정봉사원활동기간봉사원사회복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Home Help Service, the represetative from In-Home Service for the old, is directly served by Home Helper so the quality of their working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Home Help Service System. So that, the Home Helper's role in the Home Help Service System is like the co-worker and managing them is basic thing to make the Home Help Service System more than actively. to make Home Helpers's Activity last longer can be the beginning to settle down the Home Help Service System. In addition to, the acvent of Paid-Home Helper needs a different treatment form the volunteers. So I want to propose some new ways to make Home Helper's working hours prolong by analysing activity characters(existence of volunteers' experience, motivation , type of Home Helper), characters of organization(recognition of task, relation with the aged, relation with colleague home helper, relation with worker, type of worker, character of Home Helper's meeting), characters of education and compensation(satisfaction of education, Especially, satisfaction of re-education, type of compensation and satisfaction of compensation) and character of personality(the general character and social support).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is the Home Helpers for the old In Seoul. And this is searched with Unpaid-Home Helpers, Paid Home Helpers and so on who are working in the Welfare Center for the old in home, Service Organization for the old, other helping group for the old and the General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e divided four parts in Seoul by direction, selected organizations and public district offices each area and practiced it from April 20 , 1988 to May 11. The data for statistics for analysis were 177. The SPSS/WIN PC was used to perform all necessary computations. Descriptive,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When we check the relation between social uphold and period of activity, the one is related with support in family and the other is related with the others somewhat important. 2. We can also know if they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old, they are willing to work longer than before. 3. When the workers focus on working more than the human relationship and they have a good acknowledge for their duty, the working hours prolong. 4. Frequency and participation of meeting with Home Helper have effect on the acting duration and period. 5. The satisfaction for the compensation give a positive effect on the working duration. 6. When we compare the Paid-Home Helpers with the Unpaid-Home Helpers important one's support affects on the Paid-Home Helper higher than the Unpaid-Home Helper and Unpaid-Home Helpers's satisfaction for reward represents higher than Paid-Home Helper. Based on like this results, I want to suggest some ways to lengthen Home Helper's working duration. 1. Making good relationship with the aged through the Home Helper's activity effectively, so we have to prepare some programs beforehand to get along with each other. 2. The satisfaction of reward must be analysed as the important factor on the working period, so we should find something new to develop a various ways for the payment. 3. We have to get a several events to attract Home helper's in their meeting. 4. we can newly know that the support in society influences on the Home helper's activity duration, so we have to try to improve the recognition for then in society. Judging form the above results, we should get more effective ways to manage both Paid-Home Helpers and Unpaid-Home Helpers.;재가노인복지의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가정봉사원 서비스는 가정봉사원에 의해서 직접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어 지며,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은 곧 가정봉사원 제도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정봉사원 서비스에서 가정봉사원의 역할은 준전문가이며 가정봉사원 제도에서의 이들의 관리는 가정봉사원 제도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기본이 된다. 특히 가정봉사원이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가정봉사원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한 기초가 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가정봉사원의 활동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가정봉사원의 활동을 지속시키도록 하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가정봉사원 제도는 대부분이 무급가정봉사원으로 운영되어졌으며, 이들에 대한 관리 또한 자원봉사자와 같이 관리되어 졌다. 하지만 유급가정봉사원의 등장은 가정봉사원 관리에 있어서 변화를 필요로 하며 또한 자원봉사자와는 다른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봉사원의 관리의 궁극적 목적인 이들이 만족스러운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요인을 가정봉사원의 봉사 관련 특성(자원봉사 경험의 유형, 참여동기, 가정봉사원의 형태), 조직관련 특성(조직업무 인식도, 대상노인과의 관계, 동료가정봉사원과의 관계, 담당관리자와의 관계, 담당관리자의 유형, 가정봉사원의 모임특성), 교육 및 보상(교육만족도, 재교육만족도, 보상의 유형과 보상에 대한 만족도), 개인적 특성(일반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도)과 기간 및 활동강도(주당활동시간)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가정봉사원의 활동을 지속시키도록 하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활동하는 가정봉사원을 조사대상으로 한다. 가정봉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재가노인복지센타, 노인복지기관, 노인관련기관, 종합사회복지관에서 무급 가정봉사원 및 유급가정봉사원과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가정도우미를 대상으로 하였다. 서울을 방위상 4개지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마다 기관과 구청을 선정하여 1998년 4월 20일에서 5월11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90부를 배포하여 177부를 회수하여 93.2%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단순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지지와 활동기간 및 활동시간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활동기간에 대해서는 가족의 지지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활동시간에 있어서는 중요한 타자의 지지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결과는 가정봉사원으로 활동하는 초기에는 중요한 타자의 지지에 의해서 활동시간을 많이 활용하지만 활동기간이 늘어날수록 가족의 지지는 이들의 활동을 연장시킬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가족과 중요한 타자의 가정봉사원활동에 대한 지지는 이들이 활동기간과 활동시간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2. 대상노인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활동기간은 연장되어짐을 알 수 있다. 특히 동료가정봉사원과의 관계나 담당관리자와의 관계보다는 대상노인과의 관계가 활동 기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가정봉사원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대상노인과의 관계를 잘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한다. 3. 담당관리자가 인간관계 중심형보다는 과업중심형일 때 활동시간이 연장되며, 또한 업무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활동시간이 연장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본인의 업무에 대해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한 이에 대해 담당관리자가 명확히 제시할 때 활동시간을 연장시킬수 있음을 의미한다. 4. 가정봉사원의 모임의 빈도는 활동기간과 활동시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할수 있다. 또한 가정봉사원의 모임의 참여도가 높을수록 활동시간은 길다는 사실을 볼 때, 가정봉사원의 모임을 가능한 자주할수 있도록 하며 가정봉사원이 모임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5. 보상에 대한 만족도는 활동기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수 있다. 또한 금전적인 보상 뿐 아니라 비금전적인 보상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사실을 볼 때, 금전적 보상외의 비금전적 보상을 이용하여 가정봉사원의 활동기간을 연장시킬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6. 유급가정봉사원과 무급가정봉사원의 각 변수의 차이를 살펴볼 때, 제공하는 서비스에 있어서 유급가정봉사원이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유급의 경우 가정봉사원 활동에 소요하는 시간이 많으므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중요한 타자의 지지도는 유급가정봉사원이 무급가정봉사원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우리사회의 가정봉사원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무급으로 가정봉사활동을 하는 것에 대해 지지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유·무급가정봉사원의 보상에 대한 만족도는 유급에 비해 무급가정봉사원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반드시 금전적인 보상만이 높은 만족도를 갖는 것은 아니므로 무급가정봉사원의 보상에 대해 계속적으로 만족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보상형태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7. 유·무급가정봉사원의 활동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급가정봉사원과 무급가정봉사원에서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는 가족의 지지로 나타난다. 이는 무급가정봉사원의 경우 가족의 지지정도는 활동기간을 지속시킬수 중요한 요인으로서 무급가정봉사원의 관리방안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정봉사원의 활동기간과 활동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가정봉사원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무급가정봉사원과 유급가정봉사원은 활동을 하는 시간에서 차이를 보여 유급봉사원의 경우는 활동하는 시간이 길어 제공되는 서비스에 있어서도 다양하고 심도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노인의 정확한 욕구의 파악을 통해 무급가정봉사원과 유급가정봉사원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현재의 상황은 무급가정봉사원과 유급가정봉사원의 관리가 분리되어 있는 상황이지만, 재가복지가 지역사회복지(community care)이므로 한 지역의 노인복지의 향상을 위해 연계되어 지역이 재가노인의 욕구에 대한 개개인의 정확한 사정을 통해 무급가정봉사원과 유급가정봉사원을 배치할수 있도록 한다. 2. 대상노인과의 관계는 가정봉사원의 활동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지므로 가정봉사원에 대해 대상노인과의 관계를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대인관계기술을 교육한다. 특히 무급가정봉사원의 경우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활동 기간에 영향을 미치므로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기초교육과 재교육을 할 때 전문적인 대인관계기술을 교육함으로써 좀더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활동기간을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3. 보상에 대한 만족도는 활동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어 진다. 그러나 반드시 금전적인 보상이 만족도가 높은 것은 아니며 비금전적인 보상의 경우도 보상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무급가정봉사원의 경우 초기의 활동동기가 이타적인 경우가 유급가정봉사원에 비해 높은 점을 생각해 볼 때, 초기에는 보상에 대한 욕구가 높지 않으나 점차적으로 다양한 욕구가 생기며 이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이를 충족시켜줄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무급가정봉사원의 활동에 대한 보상의 다양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예를 들어 무급가정봉사원의 활동에 대해 노후에 본인이 혜택을 받을수 있도록 활동에 대한 증서제도를 실시하는 것등을 통해 가정봉사원이 더욱더 활발히 활동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4. 가정봉사원이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가정봉사원의 모임빈도는 활동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가정봉사원이 모임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5. 가족의 지지와 중요한 타자의 지지는 활동기간과 활동시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가족의 지지와 중요한 타자의 지지를 높이는 방법으로서 가정봉사원 제도의 홍보를 통해 가정봉사원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높혀야 할 것이다. 현재 가정봉사원제도는 대부분 생활보호대상자를 중심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일반 노인의 경우 서비스의 혜택을 쉽게 받을 수 없도록 되어 있는데, 부양인의 생활수준에 따라 비용을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일반인에게 확대적용을 통해서 사회적인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헌혈증서를 발급하는 것과 같이 가정봉사원의 증서를 발급하여 사회적인 인식도를 높힐수 있을 것이다. 이와같이 사회적인 인식도를 높이는 것은 가족의 지지와 중요한 타자의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모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볼 때, 가정봉사원의 관리는 유급가정봉사원과 무급가정봉사원에 대한 각각의 욕구에 맞는 관리방안이 더욱더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