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1950년대 모더니즘 비평 연구

Title
1950년대 모더니즘 비평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odernism as a literary criticism in 1950's
Authors
김세령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모더니즘비평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a various critical features of modernism in Korean literature and particularly aims at examining the special aspects of modernism in 1950's when they were inflected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 by the contemporary literary atmosphere. So far, the studies on modernism generally have dealt with the criticism on 1950's without the precise concern about its particular features and significances as well as usually limited to the criticism on 1930's. Therefore, my purpose in this thesis is to focus on the acceptance of modernism in 195O's, its change, and development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nd develop my ideas. Chapter 2 summarizes the widely-identified features of modernism in western culture with regard to the various aspects of modernism in Korean literature and examines the background of modernism in 1950's which are the special sociopolitical situation of korea, namely Korean war and the appearance of the new literary generation. Modernism in Korean literature including the various features is similar with modernism in western culture in that it generates from the opposition of the aesthetic modernity against bourgeois modernity. This common feature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change of zeitgeist makes us feel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re-modern society(근대사회) and the modern society(현대사회) and enables as to deny the previous modern viewpoint. The acceptance of modernism in Korean literature reveals the difference between 1930's and 1950's. More concretely, the acceptance of modernism in 1930's concerns mainly about the techniques influenced by the intellectual western modernism, whereas modernism in 1950's accepts a variety of features of modernism, especially the existential aspect and focuses on consciousness towards the fearful situation, not the techniques. The critic group in 1950's contest the established-critics who can not find a way out of difficulty and fail to develop. As well, they support the new group of the critics who have opened up actively their own realm of criticism in poetry and novel and examine their new group very closely. Chapter 3 examines the western critical theory of modernism which is received specifically in our critical discourse of 1950's. Existentialism, experiencing the extremely deadly situation of Korean war, affects very strongly the field of Korean criticism in 1950's. The new generation of the critics try to accept critically the existential literature as the logical means for their literary analysis as well as introduce only the existential literary theory. These features form the basis of the particular aspects of modernism in 1950's, which is regarded usually as modernism as consciousness towards the situation. Therefore, the new generation comes to provoke the existential humanism through literature opposing to the ruined situation. In addition to this, new criticism is introduced because any critical methods hardly deal with the literary text itself. Chapter 4 suggests the critical aspects of modernism in 1950's through the unique aspects such as criticism of the established-critics, the theory of discontinuation of literary tradition, the groping for the modernity in literature, and the recognition of and the search for self-consciousness. More concretely, the critical aspects of modernism in 1950's oppose the established critics very firmly and insist on the theory of discontinuation of literary traditio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established-critics, who maintain the theory of pure literature, do not recognize exactly the change of the situation after a Korean war. Their theory of discontinuation should be evaluated by the fact that they clearly keep in mind the destroyed tradition of literature and want to establish a new literary tradition for the next generation. Also, the study of modernity in literature is noteworthy in that it shows a variety of aspects in poetry. Namely, the study of modernity in poetry recognizes similarly the consciousness towards the fearful situation of war and discloses the various methods of study such as intellect, imagery and metaphor, Dadaism, Surrealism, existence, and the problem of the poetic language. In novel, a number of articles about existentialism and the literature on consciousness are related to the study about the modernity in novel and are shown somewhat continually. The new group of the critics comes to recognize the change of this situation after a Korean war, keep their own self-consciousness, and increase gradually their interest in literature on consciousness. They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 text and focus on the study about Lee Sang because of their difference of viewpoints about literature on consciousness. The criticism of modernism in 1950's accepts activity a variety of features of modernism far from ideology and reveals its unique aspect connected with the tendency of modernism in 1930's. That is, it attacks the theory of pure literature generated by the established-critics and forms a kind of new modernism as consciousness towards the situation rather than modernism as a literary technique. However, their criticism in 1950's is wrapped up in abstraction of consciousness towards the situation and shows their weak-point that they can not produce sufficiently the criticism of the real text because of the lack of techniques. Nevertheless,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criticism of modernism in 1950's puts up modernism as a main stream in the history of criticism, makes the basis of a various theory on modernism and the continuous stream of modernism ever since.;본 연구는 1950년대 모더니즘 비평을 대상으로 모더니즘으로서 인식될 수 있는 보편적인 특성과 함께 당대의 상황 속에 굴절되어진 1950년대 모더니즘의 특수한 양상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지금까지 모더니즘 비평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1930년대에 국한되어졌고, 1950년대의 모더니즘 비평은 개괄적으로 다루어져 그 특성과 의의는 제대로 규명되지 못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서 50년대 모더니즘 비평의 모더니즘 수용과 그 변모, 발전에 초점을 두고 그 논의를 전개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문학에서 수용된 모더니즘의 양상들과 관련하여 모더니즘의 세계사적 흐름을 개괄한 후, 50년대 모더니즘 비평의 배경이 되는 한국의 특수한 시대적 상황과 새로운 세대의 출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다양한 흐름을 포괄하는 모더니즘은 부르주아 모더니티에 대한 미학적 모더니티의 반발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는 근대와 현대를 가르는 획시대적인 시대정신의 변화 속에 기존의 근대적 가치관에 대한 부정이 가능해진 것과 관련된다. 한국문학에서의 모더니즘 수용은 30년대와 50년대에 있어서 차이를 드러낸다. 30년대 모더니즘 수용이 주지적인 영미 모더니즘에 치중하여 기법 차원에 관심을 기울였다면, 1950년대 모더니즘 수용은 실존주의를 중심으로 다양한 모더니즘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기법보다는 상황에 대한 의식의 차원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1950년대의 모더니즘 비평세대는 6.25 이후의 새로운 상황 속에서 더 이상 활로를 모색하지 못하고 부진을 보이는 기성세대에 반발하고, 시와 소설의 영역에서 이미 활동을 하고 있던 새로운 세대를 지원하면서, 자신들의 새로운 세대를 규명해 나간다. Ⅲ장에서는 50년대 비평에서 특수하게 수용된 서구의 모더니즘 이론을 살펴보았다. 전쟁이라는 절대절명의 극한 상황을 체험하면서, 실존주의는 1950년대 한국 비평문단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새로운 세대는 단순히 실존주의 문학이론의 소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존문학을 그들의 문학논리로서 비판적으로 수용하려고 노력한다. 이는 상황에 대한 의식으로서의 모더니즘이라는 50년대 모더니즘 비평의 특성에 바탕이 되었고, 문학을 통한 상황에 대한 저항인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을 주장하게 하였다. 한편 문학작품자체를 중심으로 한 비평적 성과가 부족한 가운데 문학의 방법론과 관련하여 분석비평이 소개된다. Ⅳ장에서는 50년대 모더니즘 비평을 기성세대 비판과 전통단절론, 문학의 현대성 모색, 자의식에 대한 인식과 탐구라는 독특한 특성들을 통해 규명하였다. 50년대 모더니즘 비평은 그 어느 시기보다도 강력하게 기성세대를 비판하면서 전통단절론을 주장한다. 이는 순수문학론을 주창하던 기성 세대들이 戰後 상황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그들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의 전통단절론은 폐허한 문학 전통을 인식하고 새로운 세대에게 새로운 전통을 확립시켜 주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는 점에서 평가되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문학의 '현대성'에 대한 탐구는 시에 있어서는 다양한 모색을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되어진다. 시의 '현대성'에 대한 탐구는 상황에 대한 '의식'을 공통적으로 인식하면서, 지성, 이미지와 메타포, 다다이즘이나 초현실주의, 존재라는 다양한 탐구가 드러나며, 시의 언어에 대한 인식도 보여지고 있다. 소설에 있어서는 실존주의와 의식 문학에 대한 많은 글들이 상황에 대한 '의식'을 부각시키는 소설의 '현대성'과 관련된 논의들이며, 비교적 단일하게 드러나고 있다. 한편 새로운 세대는 戰後 상황을 자각하면서, 상황에 대한 강한 자의식을 가지고 출현하면서, 의식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갔다. 기성 세대와의 의식문학에 대한 인식차이로 인해 실제작품의 특성과 관련된 논의들이 이루어졌고, 이상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어졌다. 1950년대 모더니즘 비평은 전쟁체험을 통해 시대적인 동시성을 가지면서, 이데올로기가 거세된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의 모더니즘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30년대 모더니즘의 흐름을 이으면서도 그와 구별되는 특색을 드러낸다. 기성 세대의 순수문학론에 반발하면서, 기법차원의 모더니즘보다는 상황에 대한 의식으로서의 모더니즘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교의 빈곤 속에서 그들의 비평은 상황에 대한 의식이라는 추상성에 쌓여 주로 관념에 머무른다는 한계를 드러내면서, 실제 작품과 관련된 성과는 부족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50년대 모더니즘 비평은 비평사에 있어서 주도적 흐름으로서 모더니즘을 전면에 내세웠고, 다양한 모더니즘 이론에 대한 기초를 만들면서 이후 모더니즘의 연속적인 흐름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