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0 Download: 0

課業不確實性下에서 豫算 參與와 豫算 强調가 成果에 미치는 影響

Title
課業不確實性下에서 豫算 參與와 豫算 强調가 成果에 미치는 影響
Other Titles
(The) Effects of Budgetary participation and Budget emphasis on performance in rask uncertainty
Authors
李善玉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Keywords
과업불확실성예산참여예산강조경영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effect of budgetary participation and the degree of budget emphasis in superior evaluative style on subordinate attitudes and performance is an important issue in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In 1972, Hopwood found that a high budget emphasis in superiors evaluative styl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bordinate job-related tension, and speculated that such tension would be dysfunctional for managerial performance. By contrast, Otley, in 1978, found that job-related tension was associated with neither a budget-based superior evaluation style nor managerial performance. In attempts to reconcile this conflict, Brownell(1982a) argued and found that high(low) participation matched with high(low) budget emphasis was associated with better subordinate performance, but was not associated with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Hirst(1983), in a further attempt to reconcile Hopwoods and Otleys results, suggested that when budget emphasis is high(low) and task uncertainty is low(high), job-related tension is minimized. Brownell & Hirst, in 1986, attempted an integration of their previous results, suggesting that Brownells findings were specific to setting in which task uncertainty is low. Based on this developing stream of research,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budgetary participation and budget emphasis on job satisfac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task uncertainty.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budgetary participation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high task uncertainty because high task uncertainty affects on the aspiration of participation in budget set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budget emphas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same situation. Budget emphasis, however, was considered to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low task uncertainty since the relation between the efforts of subordinate and outcome of their task is more accurate in that situation. Data were gathered by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wo middle-level managers in each selected department in ten corporations without regard to industry. This method was chosen in order to disperse task uncertainty. Of 2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Korean organizations, 186 were returned for a response rate of 93%. For hypothesis test, this paper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d t-test and used SAS program. There were no high correlations among the independent or dependent variables. Consequently, hypothesis that budgetary particip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high task uncertainty was supported by two methods of test while hypothesis of positive relation between budgetary participa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was supported by only t-test. However,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budget emphasis and job satisfaction or managerial performance in high task uncertainty was not found. Rather, it shows a positive relation. This result can support Hopwoods suggestion(l972) that subordinates are generally subject to consider accounting measure to be objective tool in evaluation. In low task uncertainty, it was found that budget emphasi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paper carry implications that degree of budgetary participation was determined by corporations situation - task uncertainty level - and the effects of budgetary participation may have widespread application and generalizability cross-industry.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it must be born in mind that the selection of various departments is nor able to compare differences of task uncertainty among departments. Further empirical studies which select same departments every corporation will be beneficial.;일반적으로 관리회계에서 예산은 계획의 수단으로, 그리고 통제의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미 결정된 예산을 기업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사용하게 될 경우 신축성이 결여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신축성있는 예산의 설정을 위하여 기업에서는 하위 관리자가 예산 편성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예산 참여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경영통제문제를 회계학의 관점에서 연구할 때 주요 연구대상이 되는 것이 예산의 달성도를 강조하는 정도에 따른 성과의 변화와 과연 예산 참여가 기업의 성과를 증진시키는 데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가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많은 선행연구들이 예산 강조와 예산 참여가 하위 관리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어 이는 다시 성과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제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이들 사이의 직접적인 효과에 대해 일관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모순을 해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는 상황이론적인 분석의 틀을 사용하게 되었다. 즉, 이전에 사용한 연구모형들은 모두 기업의 내부나 외부의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데다가 대부분 단일기업을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빚어지는 기업특성의 효과를 배제하지 못하였다고 여겨 분석의 대상이 되는 기업의 상황을 동일한 조건하에 두고 연구를 수행하여야 비교가능 하고 일관된 결과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이론적인 시각을 연구모형에 도입하여 주어진 상황에서의 예산 참여와 예산 강조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종업원들이 자신들의 노력과 결과가 비례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과업불확실성 상황은 상위 감독자와 하위 관리자 사이의 정보불균형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이에 따라 하위 관리자들의 참여에 대한 열망수준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로 본 연구에서는 상황변수로 과업불확실성의 수준을 선택하였으며 이 수준에 따라 예산 강조와 예산 참여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하였던 변수들 중 그 사용빈도가 높고 어느 정도 일관된 결과를 도출한 직무 만족과 관리성과를 그 대용치로 선택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5곳의 제조 업체와 5곳의 서비스업체에 각 10개 팀을 선정하여 팀당 2부씩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다변량 회귀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SAS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과업불확실성의 수준이 높으면 하위 관리자들의 참여열망도 높아져 예산 참여와 성과사이에 정의 관계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예산강조에 대해서는 예상과 달리 과업불확실성의 수준이 높을 때 예산강조와 성과 사이의 음의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업불확실성의 수준이 낮을 때에는 기대했던 바대로 예산 강조와 성과 사이에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종업원들이 예산이 가장 객관적이고 공평하다는 신뢰를 가지고 있으며 각 팀이 직면하는 과업불확실성의 수준에 따라 기업은 예산 참여의 허용정도를 결정해야한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의 분석 틀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결과의 비교 가능성이라는 장점과 함께 선행연구들이 가졌던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였다는 단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는 본 연구에서 제기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