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團體協約의 規範的 效力에 관한 硏究

Title
團體協約의 規範的 效力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ormative Effect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Authors
장선희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Keywords
단체협약규범효력법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단체협약은 개개 근로계약에 대한 집단적 자치의 우월이라는 면에 그 본질이 있는 것으로 근로자의 집단적 의사를 배경으로 근로자 개인의 개별 교섭에 의한 근로조건 보다 유리한 근로조건을 설정하여 그 근로조건을 근로계약에 획일적으로 관철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조건을 향상시키는 데 그 기능이 있다. 그러나 단체협약의 이러한 본질적 기능은 현실에서 항상 통용되는 것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 개개 근로자에게 불리한 내용이 협정되는 역기능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역기능은 단체협약이 지향하는 집단적 자치의 이념에 상반되므로 단체협약의 근로조건에 대한 규제력의 제한, 즉 단체협약이 근로계약을 규제하는 것은 집단적 자치이념에 따라 당연하지만 일정한 한계를 고려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집단적 규제체제하에서 개인과 집단의 이익을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지가 문제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논문에서는 단체협약의 규범적 효력의 내용과 성격을 살펴보고, 규범적 효력의 한계에 관하여 검토한다.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조법) 제33조 제 1항에서 인정하고 있는 규범적 효력은 개개 근로계약의 내용이 단체협약에서 정해진 기준에 위반하는 경우 우선 그 위반하는 부분은 무효로 되고 그 무효로 된 부분은 자동적으로 단체협약의 기준이 근로계약의 내용으로 되는 효력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규범적 효력을 규정한 노조법 제33조를 확인적 규정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리고 규범적 효력 중 직접적·자동적 효력의 성질에 대하여는 단체협약의 기준이 곧 근로계약의 내용으로 된다는 입장을 취한다. 규범적 효력의 확장적용 대상 근로자가 당해 협약의 근로조건을 상회하는 근로조건을 취득하고 있는 경우 조합 파괴의 목적이 없고 이것이 효력확장 제도의 취지·목적에 반하는 결과를 발생시킬 위험이 없는 한 확장적용되지 않는다고 본다. 또한 효력 화장적용 대상 근로자가 이미 소수조합을 결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체협약의 규범적 효력이 확장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 소수조합이 다수조합이 체결한 단체협약보다 유리한 조건의 단체협약을 체결하고 있는 경우에는 확장적용을 부정한다. 그런데 단체협약에서 근로자에게 불리한 사항을 규정하여도 이에 대해 규범적 효력이 미친다는 것에는 이론이 없다. 그러나 근로조건의 불이익변경의 경우, 즉 단체협약과 개개 근로자의 자유와 권리가 충돌할 때 단체협약의 목적이 궁극적으로 근로자의 근로조건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 비추어 본다면 개개 근로자의 모든 근로조건의 불이익변경에 규범적 효력이 그대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단체협약에 의한 근로조건의 불이익변경에 대하여 근로자 지위의 득실에 관한 사항, 근로자에게 이미 귀속하고 있는 권리 ,근로자의 장래 이익에 관한 사항, 그리고 근로의무의 창설 및 근로계약 내용의 변경 등의 경우로 나누어 이러한 경우 단체협약에 의한 일방적 불이익변경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고, 각각의 경우 구체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들을 자세하게 검토하여 개별적·구체적 판단을 내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규범적 효력의 시간적 한계에 관한 논의인 여후효의 인정 여부는 개개 근로자의 근로조건화된 단체협약은 협약 종료 후에도 그 효력을 그대로 유지하므로 단체협약 종료 후에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개개 근로자의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을 일방적으로 변경할 수 없다고 본다. 이렇듯 단체협약과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충돌하는 경우에 규범적 효력에 일정한 한계가 있지만, 이 경우 문제를 획일적으로 판단해서는 안되고 개별적·구체적으로 판단·해석하여야 하다. 이는 집단적 자치이념에 입각한 단체협약제도의 본질을 흐리지 않기 위해 그 한계가 최소한도로 작용되도록 하여 양자의 적절한 조화를 피하는 해석을 하는 것이 타당한 해석론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The essence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is the superiority of collective autonomy over each employment contract. And the function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i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through settling more profitable working condition with collective intention of employees instead of employees' individual bargaining However, this essential function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can not be realized all the times. In some cases, there may be counter function that make employees have disadvantages. Because this counter function does not match the goal of the collective autonomy which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pursue, we must consider the limit to the power of regulation over the working condition out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even though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regulates the employment contract as a matter of course. Thus we need to think about how we should adjust the benefit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group under the system of collective regulation With recognizing this point, this paper shows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normative effect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and investigates the limit to the normative effect.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 Adjustment Act(TULRAA § 33①) defines the normative effect as following. When each contents of employment: contract are against the standard provided by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first this part which employment contract is against the: standard provide by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is become void and the standard which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provides is automatically exchanged with that opposite part of the employment contract. This paper regards this TULRAA( §33 ①) as a confirmatory provision.. In aspect of the characteristic of direct and automatic effect of the normative effect, this paper insist that the standard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should be the contents of employment contract. In the cases that the employee who is to be applied expansion of normative effect already has better condition than working condition of agreement, the normative effect is not applied as far as there is no purpose of destroying of union and no danger that it could make an opposite result to the purpose of system of effect expansion. Besides, in the case of organizing a minor union already there is a principle that the normative effect of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is expanded, however, the expanding application is denied in the case that the minor union has more profitable condition of agreement that the major's. Though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provide the employee with disadvantageous part there is no different opinion showing that the normative effect is applied to this. But when the right and the freedom of each employees and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collide with each other the goal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is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employee's working condition. Thus the normative effect is not applied to the change of working condition's disadvantage of each employees, but there is a limit to this. So this paper divides some cases about the change of working condition's disadvantage: 1) the case of position of the employee, 2) the case of the right which is possessed by the employee, 3) the case of the future profit of the employee, 4) the case of creating working obligation and changing the contents of the employment contract, and makes each concrete judgment after inspecting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change of disadvantage out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and there are some problems in each cases. Finally there is a question whether we should recognize Nachwirkung(the discussion about the time limit to the normative effect).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which is to be the working condition of each employees maintains its effect. Hence the employer can not change the employment contract nor the rule of employment of each employees. Like this, when the freedom and the right of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are collided with each other there is a limit to the normative effect, however we must analyze and make judgment on problems not uniformly but individually and concretely. Because the resonable analysis is to make the limit least and to make both of them have proper bal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