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선영-
dc.creator박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2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8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체형에 민감하고, 의복구매에 있어 가장 실질적이고 중요한 소비층인 20, 30, 40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BMI지수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신체이미지와 신체만족도를 알아보며, 그에 따른 착용 의복스타일을 분석하여 의복의 보다 적극적인 기능을 강조하고, 이들 성인여성을 타겟으로 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BMI수준에 따른 연구대상의 분포와 착용 의복스타일을 알아본다. 둘째, 연령대별 BMI수준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착용 의복스타일을 알아본다. 셋째, 성인여성의 신체이미지 왜곡정도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착용 의복스타일을 알아본다. 넷째, 성인여성의 전반적인 신체만족도를 알아보고 특정부위의 만족정도에 따른 착용 의복스타일을 알아본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20, 30, 40대 성인여성 30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표본추출은 연령대를 고려하여 임의추출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을 이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χ^(2) -test, 피어슨 적률 상관분석, ANOVA,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인 비만수준에 따른 연구대상의 분포에 있어서는, 결혼여부, 교육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BMI수준에 따른 세부적인 의복품목별 스타일에서는, 전체실루엣, 쟈켓, 치마, 바지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연령대별 BMI수준을 보면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비만해짐을 알 수 있었고, 모든 연령대에 있어서 스스로를 실제체형보다 더 뚱뚱하게 인지하는 신체이미지 왜곡이 있었다. 특이할 만한 사항은 다를 연령대에 비해 30대의 경우, 스스로를 실제체형보다 더 마르게 인지하는 사람이 많았다. 연령대별 BMI수준에 따른 세부적인 의복품목별 스타일에서는 실루엣, 쟈켓, 치마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신체에 대한 주관적 이미지와 이상적 이미지를 살펴본 결과, 연구대상의 68.1%가 주관적인 현재 체형보다 더 마른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주관적 신체이미지 수준에 따른 세부적인 의복품목별 스타일에서는 실루엣, 쟈켓, 치마, 바지, 원피스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의 신체이미지 왜곡정도를 살펴본 결과, 59.8%의 여성이 신체이미지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었고, 23.7%의 여성이 실제체형보다 스스로를 더욱 비만하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16.4%의 여성이 스스로를 더욱 마르다고 인지하였다. 신체이미지 왜곡정도에 따른 세부적인 의복품목별 스타일을 살펴본 결과, 실제체형에 비해 주관적인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 선택 경향이 두드러졌다. 다섯째, 성인여성은 전반적인 신체만족도에 있어서, 자신의 신체에 대해 흡족히 만족하고 있지는 않았으며, BMI지수가 높을수록 자신의 신체에 불만족함을 알 수 있다. 신체 부분만족도에 있어서는 배, 엉덩이, 허벅지, 몸무게의 순으로, 주로 하체부위와 체형에 관련된 항목에서 불만족하고 있었다. 그리고, 각 신체부위의 만족정도가 착용 의복선택에 있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This study is to build marketing strategies to emphasize active functions through analysis of clothing style, and to satisfy adult females with a variety of desire, to desire, to find out body images and satisfaction by dividing adult female groups depending on BMI for them in their 20's, 30's, and 40's, a major consuming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it is to find out colthing styles and distribution of the group according to BMI. Second, it is to find out clothing styles and body images according to ages. Third, it is to find out a degree of body images distortion of adult females, and their clothing styles. Forth, it is to find out a general physical satisfaction degree and clothing styles, depending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a specific pa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04 adult females, mainly in their 20's, 30's, and 40's. A standard sampling was chosen by ages. Modified survey based on references and former studies is used, and using SPSS WIN, method such as frequency test, percentage rate, arithmetic mean, χ^(2)-test, Pearson's correlation-analysis, ANOVA, and Scheffe's test are applie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 First, in the distribution of the group which was classified by the level of the fatnes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and the education level. There also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ilhouette, jackets, skirts, and pants according to the style of a detailed colthing category based on BMI level. Second, it is found that the fatness grow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ges based on the BMI level of ages. It is found that there is a distortion for body images so that people have a tendency of considering their body images to be fatter than their real body shapes. Particularly, lots of women in their 30's consider themselves to be thinner compared to other age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ilhouette, jackets, and ski s according to the style of a detailed colthing category based on BMI level of ages. Third, after researching subjective images and ideal images of the body, 68.1% of the group favored thinner images than their present body shape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ilhouett, jacket, skirts, pants, and one-piece according to the style of a detailed clothing category based on subjective body images level. Fo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body images distortion of the group, 59.8% of the group acknowledge body images exactly and 16.4% of the group consider themselves to be thinn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yle of a detailed colthing category depending on the distortion of body image, subjective body image were main factors in choosing clothes than the body shape. Fifth, adult females are barely 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It is found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BMI level. The unsatisfaction degree of the partial body is found in the order of abodement, hip, thigh, and weight. It is also found that there are complaints mainly about the lower parts of the body shape. And satisfaction degree of each body parts has influence on choosing clothes to wea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 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신체이미지 (BODY IMAGE) = 4 B. 비만 = 10 C. 의복 스타일 = 20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4 A. 연구문제 = 24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4 C. 측정도구 및 절차 = 26 D. 분석방법 = 28 Ⅳ. 연구결과 = 29 A. BMI수준에 따른 착용 의복스타일 = 29 B. 연령대별 BMI수준에 따른 신체이미지 = 38 C. 신체이미지와 착용 의복스타일 = 48 D. 신체만족도 = 62 Ⅴ. 결론 및 제언 = 70 A. 연구결과의 요약 = 70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79 참고문헌 = 80 부록 = 88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394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성인여성-
dc.subject신체이미지-
dc.subject의복착용스타일-
dc.subject비만수준-
dc.title성인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의복착용스타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비만수준과 연령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Adult females' body images and clothing styles : mainly in fatness degree and ages-
dc.format.pageviii, 10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