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7 Download: 0

雪谷 鄭誧의 詩文學 硏究

Title
雪谷 鄭誧의 詩文學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poetry of Choˇng-po(鄭誧)
Authors
배주연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정포설곡시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its implications of the poetry of Choˇng-Po (鄭誧) who lived in the closing stage of Koryo Dynasty, 1st half of 14th Century. In chapter Ⅱ, for the fundamental inquiry of his literal world, the literal tendency which prevailed in those days, his families, his life, and interrelationship with his friends are going through in the standpoint of theory of writer. For the study of his life, the ancientry and descendant of his families are examined based on the History of Koryo Dynasty, and for the interrelationship with his friends, Choi-Hae (催瀣) and Choi-Moon Do (催文度) who are his preceptors, and Lee-gok (李穀), Hong-Un Park (洪彦博and Shic Moo Woi (式無外) who intercourse with literary men from Yuan Dynasty is inquired. In chapter Ⅲ, his general poetry is discussed. As he experienced exile which strongly affected to his poetry, his poetic characteristics in the period of his exile (硫配) clearly distinguish from the period in government officer. In the period of government officer, his poetry is expressed not only the ideal as a Confucian scholar and the agony as a government officer, but also the natural scenery. In the period of his exile, it contains the emotions of nostalgia, isolation as well as the shame of straitened circumstances from the banishment, and the mind to wait for becoming prosperous age. Besides this, he also revealed his historical awareness with expressing his feeling on the concerns about the nation and country in his poetry. In chapter Ⅳ, his poetric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to three characteristics with based on his works. First one is that he expressed the agony from the life as an intellectual whether to participate in the confused period or not. Second is that he expressed his personal emotions with moderate and implicative style. Third is that his poems are depicted the natural scenery as they really are. In chapter Ⅴ, the meaning of his poetric world and characteristics in history of literature is discussed. Contrast to the precedent exile-literature which are expressed the agony from banishment, he expressed various poetic sentiment felt in exile place. Especially, in the point that he depicts the natural scenery as they really are, the meaning of his poetry in history of literature is conspicuous. He could be the first man who introduced new current with revealing his historical awareness with expressing his feeling on the concerns about the nation and country in his poetry in exile-literature. Referred to his position in the literature of Koryo Dynasty, due to the particular experience such as his exile, his poetic tendency is differed from those of men in power which are educational. Due to his integrity, he was exiled to live isolated life politically in the closing stage of Koryo Dynasty, 1st half of 14th Century, the epoch when the gentry(士大夫) not yet emerged with full scale, the confused period.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he shows different consciousness compared to those of literary men in power. It has special meaning that his literature contains the art of living as a retired man who accepted the nature as a life. This thesis shows various style in 1st half of 14th Century literature through the Choˇng-Po's literature. It will be a specific study on Choˇng-Po, which has not been revealed yet and also could help further study on the literary history of Koryo Dynasty.;본고는 14세기 전반기를 살았던 雪谷 鄭誧의 시세계를 통해 드러나는 문학적 특성과 그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설곡 문학의 조명을 위한 전제로서, 그가 살았던 시기의 시대적 배경과 문단경향을 살펴보고 작가론적 견지에서 가계와 생애, 교유관계 등을 고찰하였다. 설곡 생애의 재구를 위해 서원 정씨의 선대와 후대의 인물들을 『高麗史』등의 자료를 근거로 考究하였다. 또한 설곡의 교유관계는 그가 배움을 받은 스승집단으로서 최해와 최문도를 살펴보고, 서로 모임을 통하여 교유하였던 이곡, 홍언박, 원 문인들과도 활발한 교유를 하였던 式無外 僧 등의 인물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설곡의 전반적인 시세계를 고찰하였다. 설곡의 시세계는 유배라는 특수한 경험을 기준으로 시·공간적 배경을 달리하고 작가의식의 측면에서도 변별된다는 점에서, 仕宦期와 流配期의 두 시기로 나누어 제 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사환기의 설곡시는 내용상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유자적 이상과 환로에서의 갈등을 읊은 시이고, 다른 하나는 순수서경으로서의 자연을 읊은 시이다. 다음으로 유배기의 설곡시는 적소로 내쳐진 유배자로서의 소외감, 고향에 대한 향수, 자신의 궁색한 처지에 대한 자괴감 등으로 인한 번민과, 매화를 통해 好時節을 기다리는 은거자적인 태도를 형상화한다. 또한 이 시기의 설곡은 「蔚州八景詩」를 비롯한 국토와 민족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는 작품을 지어 탁월한 역사인식을 표출하기도 한다. Ⅳ장에서는 설곡시의 전체적 조망을 통해 규견되는 설곡 문학의 특성을 세가지로 정리하였다. 첫 번째 특성은 출처에 대한 양면적 인식을 표출하면서 혼란기를 살았던 지식인으로서 시류에 대한 갈등을 드러낸다는 점이고, 두 번째 특성은 절제된 개인 정감을 함축적으로 형상화하였다는 점이며, 세 번째 특성은 자연을 실재적 공간으로 인식하면서 유배지의 정경을 구체적 지명을 들어 실경화하였다는 점이다. Ⅴ장에서는 앞서 고찰한 설곡의 시세계와 시적 특성 등을 통하여 설곡 문학의 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먼저 설곡의 유배시가 점하고 있는 유배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면, 이전에 남아있는 寡作의 시속에서 유배지는 온통 고통스러운 공간으로 묘사되는 반면, 설곡은 유배지에서 느끼는 다양한 시정을 읊었다. 특히 그의 유배시는 유배지의 승경을 주목하여 八景詩化한 점에서 의의가 두드러진다. 자주성이 위협받았던 시기에 우리 국토와 민족에 대한 역사 인식의 발로에서 새로운 문학의 전통을 유배문학에 도입한 설곡은 유배한시문학의 효시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14세기 전반기를 살았던 설곡이 차지하는 고려문학 속에서의 위상을 살펴보면, 그는 유배라는 특수한 경험으로 인하여 교화적 관풍 위주의 시경향을 가졌던 재조 문인들과는 변별되는 특징적 면모를 지녔다는 점이다. 설곡은 사대부로의 분화가 첨예화되기 이전의 시대인 14세기 전반기를 살았던 인물로 혼란하였던 사회 현실 속에서 강직한 성품으로 인하여 유배되어 정치적으로 소외된 삶을 살았다. 그러므로 비교적 평탄한 생애를 살았던 재조문인들과는 자연인식의 측면에서 차이점을 보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고려조의 많은 재조 문인들이 이상적 공간으로 설정된 자연에의 은일을 동경하였으나 실행하지는 못하였음에 반해, 자연을 직접 생활로 겪으며, 은거자로서의 처세관을 시를 통해 형상화한 설곡의 문학은 이러한 점에서 14세기 전반기 고려 문학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본고에서 시도한 설곡 문학에 대한 문학사적 조명은 고려후기, 특히 14세기 전반기 문학에 있어서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이념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는 재야문인으로서 후에 재야적 사대부로의 단초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고려문학사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설곡 문학에 대한 본 연구는 설곡 개인의 작가론인 동시에 보다 정밀한 고려 후기 문학사의 재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