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은-
dc.creator이상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9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2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98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니키 드 생 팔(Niki de Saint Phalle, 1930- )의 작품에 나타난 페미니즘(Feminism)적 요소에 관한 연구이다. 페미니즘은 1970년대 등장한 탈 중심 논리인 포스트 모더니즘을 기반으로 그 틀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포스트 모더니즘 사상과 페미니즘 이론의 대두는 남성중심 사회에서 늘 '주변'의 존재로 취급받던 여성들이 정치, 사회, 종교, 예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여성해방', 나아가 '인간해방' 운동을 전개하게 되는 하나의 계기로 작용하게 되었다. 생 팔은 페미니즘 운동이 조직적인 전개 양상을 보이기 이전인 1960년대 초반부터 페미니즘적 특성이 엿보이는 작품을 제작하였다. 생 팔은 남성 중심적 시각에 의해 만들어진 여성 이미지들을 파괴하고, 남성보다는 여성의 시선에 반응하는 이미지들을 창조하는데 주력하였다. 생 팔은 남성들이 기대하는 전통적인 여성상을 전복시키기 위해 아름다움과 성스러움의 상징으로서의 신부, 현숙하고 순종적인 아내, 자애로운 어머니로서의 여성의 모습을 파기하였다. 생 팔의 작품에서 이들 여성 이미지들은 가부장제 사회의 희생자로 그려지고 있다. 또한 생 팔은 남성들의 은밀한 욕망을 투사시키는 여성 이미지에 반기를 들고, 반나의 모습임에도 결코 관능미를 지니지 않은 <나나>조각과 여성의 신체를 많은 사람에게 공개하는 <그녀>와 같은 작품으로 남성중심 문화가 양산해온 잘못된 여성 신화를 깨뜨리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천과 실을 이용하고, 다양한 색채와 장식적인 무늬를 사용하는 등의 여성 고유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기법을 작품에 도입시켜 기법면에 있어서도 페미니스트 미술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1960년대에 제작된 생 팔의 작품에 나타난 이러한 특성들은 1970, 80년대에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준 페미니스트 미술과 생 팔의 예술을 연결시켜 주는 것이었으며, 이로 인해 비평가들은 생 팔을 선구적인 페미니스트 미술가의 위치에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러나, 생 팔은 실상 페미니스트 미술의 잣대로 평가되기 이전에 공식적으로는 누보 레알리즘 그룹의 일원으로 활동한 작가였다. 1960년대 초 당시 산업사회의 리얼리티를 포착하는데 예술적 목표를 두고 출발한 누보 레알리즘(Nouveau Re′alisme)은 물질 문명 사회의 다양한 제료들을 사용하거나 대중적, 상업적 이미지들을 작품에 끌어들이는 방법 등을 통해 현대 사회의 리얼리티를 반영하는 예술을 창조해냈다. 누보 레알리즘 그룹 내에서 활동한 작가들 중에서 유일한 여성이었던 생 팔은 동료 남성 작가들의 전위적 사상과 예술 기법을 공유하면서도 여성으로서의 자의식과 나름의 시각을 작품 속에 꾸준히 표현해내고자 하였다. 생 팔의 작품에서 명백하게 드러나고 있는 페미니즘적 특성은 그의 작품을 누보 레알리즘의 시각에서보다는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해석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생 팔을 선구적 페미니스트로 국한지어 보는 편협한 견해에 대한 의문에서 사실상 본 연구는 출발되었다. 누보 레알리스트로서의 생 팔의 태도와 사상, 표현 기법은 그가 페미니즘 사상을 작품을 통해 구체화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본 논문은 이것에 초점을 맞추어 생 팔에 관한 연구를 행하였다. 생 팔의 작품에 나타난 페미니즘은 누보 레알리즘의 연장선 상에 놓여져 있다는 데에서 그 독특함을 찾아낼 수 있다. 생 팔은 현실의 요소로서의 오브제를 이용하는 누보 레알리즘의 방법을 페미니즘 의식을 드러내기 위한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기존의 예술 전통에 도전하는 누보 레알리즘의 파괴적이고 공격적인 면모를 남성 중심 사회와 가치 체계에 도전하는 페미니즘 의식과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사회 현실을 인식하고 그에 관한 참여적 태도를 취했던 누보 레알리스트로서의 노력을 통해 가부장제 사회 내에서의 여성 문제, 더 나아가 인종 문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해보였다. 뿐만 아니라 생 팔은, 대중적 이미지의 사용과 작품 속에 관람자를 끌어들이는 누보 레알리즘의 방식을 통해 대중을 향한 예술의 창조 가능성을 발견해냈다. 그는 공공의 장소에 놓여져 대중의 삶에 파고드는 거대한 규모의 조각을 만들어냈으며, 더 나아가 행위적 요소가 강한 퍼포먼스나 연극, 보다 대중적인 장르인 영화에까지 관심을 두게 되었다. 이것은 공공벽화, 퍼포먼스, 연극, 영화 등의 다양한 장르를 통해 대중과의 의사 소통을 의도한 페미니스트 작가들의 방법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이렇듯 생 팔의 작품에서 제시된 페미니즘은 누보 레알리즘과 연속성을 지닌 것이었으며, 바로 이점이 생 팔의 작품과 다른 페미니스트 작가들의 작품이 변별될 수 있는 특성일 것이다. 한마디로 생 팔은 누보 레알리스트로서의 태도와 방법을 통해 페미니즘 의식을 구현해낸 독특한 위치에 서있었던 예술가였다고 할 수 있다.;This is the study on Feministic elements found in Niki de Saint Phalle's works. The Feminism has been formed based on Postmodernism which appeared around 1970's as one of the non-main faction theory. As Postmodernism and Feminism being on the rise, they worked as a momentum of movements for Women's liberation, furthermore human liberation as well, at the time of man-centered society when women had been taken as an outskirt. Saint Phalle worked on her pieces indicating some characteristics of Feminism around early 1960's which is earlier than the Feminism has started with its structural forms. She concentrated on reflection of female images from the women's own view point not from man-centered view point. She tried ti destruct the traditional images of women, initialy expected and pictured by most men for example, those of the brides as a symbol of beauty and divinity, and the housewives of grace and obedience. In her pieces, they are taken as victims of patriarch society. In addition, she refused the figures of women sexually oriented by men's appetite and crashed the former female myth based on men's self-centerd society such as in <Nana>, half-nude without any caranl sensualism, and <She> which shows most bare part of women body. On the other hand, she applied techniques using fabrics, threads, various colors and decorative patterns which are regarded as rather women's things. Such features in her 1960's works related with Feminist art which had got vivid in 1970's and 80's enabled her to be placed as a pioneer of Feminist art. Meanwhile, she was actually one of the members of Nouveau Re′alisme Groupe even though she as well appreciated as a Feminist artist. Nouveau Re′alisme mainly featured the modern society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Industrialism with using various materials or pulling the massive, commercial images in her pieces. She, the only female member of Nouveau Re′alisme artist group continously expressed her self-consciousness and her angle for the world she had been looking through as a woman with sharing avant-garde ideas and techniques with male artists of Nouveau Re′alisme. The Feministic characteristics often simply elicits the construction of her works as Feminism rather than as Nouveau Re′alisme. However, this theses started from the doubtness about the idea of taking her as nothing but a pioneer of Feminist art. This theses are focusing on the attitude, philosophy, and techniques of Saint Phalle as a Nouveau Re′alist on her feministic works which had highly affected on putting her ideas into practices. The uniqueness of her feministic works is lying on that it is rather an extension of Nouveau Re′alisme. She adopted the techniques of Nouveau Re′alisme with using various objects to express her feministic thoughts and also its aggressive and defiant atmosphere denying the former traditional art to express her feministic philosophy challenging the man-centered society and ideology. Furthermore, through trying to find out the reality of society and assume the attitude of participating in it as a Nouveau Re′alist, she pleaded against the status of women in patriarch society and racial discrimination at that time. In addition, she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art for masses with using popular images and having the audiences take part in her works. She worked on huge size of sculptures lying on some public places and got interested in Performances which has more active components, and more popular genres such as plays and films. Those had something common with the way of Feminists who had been looking for more active channel of communication with masses such as public mural paintings, performances, plays and films. Likewise, the Feminism indicated on Saint Phalle's works is having links with Nouveau Re′alisme, and this very point is something distinguishes her from other Feminist artist. Conclusively, Niki de Saint Phalle is the one who is lying on the unique stand realizing the Feminism through the attitude and techniques of Nouveau Re′alis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ⅱ Ⅰ. 서론 = 1 Ⅱ. 생 팔의 작품에 나타난 페미니즘적 특성 = 6 A. 여성에의 잘못된 신화 벗기기 = 6 1. 전통적 성역할(sex-role)에 대한 비판 = 6 2. 여성 이미지에 대한 남성적 관점의 파기 = 15 B. 여성성이 드러나는 기법의 수용 = 23 Ⅲ. 누보 레알리즘의 연장선 상에서 본 페미니즘 = 32 A. 오브제의 차용 = 34 B. 공격성의 표출 = 44 C. 사회적 현실의 반영 = 51 D. 대중성의 지향 = 60 Ⅳ. 결론 = 71 참고문헌 = 74 그림목차 = 84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592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페미니즘-
dc.subject니키 드 생 팔-
dc.subject여성성-
dc.subject누보 레알리즘-
dc.title니키 드 생 팔의 작품에 나타난 페미니즘적 요소-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Feministic elements found in Niki de Saint Phalle's works-
dc.format.pageiv, 10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