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VOICI, VOILA ` 의 기능작용 연구

Title
VOICI, VOILA ` 의 기능작용 연구
Other Titles
Etude sur le fonctionnement de "voici" et de "voila `"
Authors
朴秀惠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Keywords
VoiciVoila기능작용불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언어활동의 산물인 발화체내에는 화자의 발화를 반영하고, 발화의 상황들을 고려해야 해석이 가능한 요소들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직시소라고 한다. 발화행위이론을 통해 중요성이 부각된 직시소 체계는 일반적으로 인칭, 공간 위치화, 시간 위치화 범주로 분류한다. voici, voila`는 발화체들을 화자의 발화상황, 즉 발화행위의 공간-시간 좌표들에 연결하는 언어 단위들이다. 따라서 그것들이 지시하는 공간과 시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화자의 발화상황을 참조해야 한다. 그런데 현대 불어에서 voici, voila`는 어떠한 품사 부류에도 배열되지 못하고, 제시사라는 용어로 분류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많은 학자들은 'moi-ici -maintenant'을 중심으로 인칭, 공간, 시간 직시소들의 연구에 전념했고, 발화행위 이론과 관련해 제시사 voici, voila`를 직시소의 위상으로 연구한 경우는 몇몇 특정 학자들에게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게다가 voici, voila` 각각의 고유 기능작용을 연구한 경우 또한 부족하다고 할 수 있었다. 이런 이유로 본 논문은 제시사 voici, voila`를 발화행위이론과 관련해 직시소로서의 위상으로 부각시키고, voici, voila` 각각의 기능과 의미작용이 어떠한지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voici, voila`의 직시소로서의 속성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직시소가 어원적으로 가리킴을 의미했다는 사실과 voici, voila`가 발화상황속에서 한 대상을 제시하는 제시사로, 이 경우 제스춰가 필요하다는 점을 관련지을 수 있었다. 한편 voici, voila는 사행을 과거로 위치시키는 시간적 가치를 지닌다. 이 때 voici, voila`는 현재의 종결점을 지시하고 과거로 방향짓는 시간 직시소로, 화자의 발화 순간인 현재를 나타낸다고 파악할 수 있었다. voici, voila`는 제시사 가운데서 공간 안에서 어떤 대상을 제시하는 가치와 한편으로 시간적 가치를 지닌다고 간주되는 il y a와의 비교가 가능하다고 생각되었다. voici, voila`와 il y a의 비교를 통해서, il y a는 한 대상의 존재 문제를 상정하는 제시사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voici, voila`는 한 대상이 발화상황속에 현존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시사로, 그 자체에 발화의 공간-시간 좌표들을 함축한다는 사실에서 그것들의 직시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직시적 특성으로 인해 voici, voila`는 장소보어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며, 항상 한정사와 결합된 명사가 뒤따르고 부정문이 가능하지 않다는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시간적 가치로 작용하는 il y a는 voici, voila`와 마찬가지로 직시소로 기능하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il y a에서는 avoir 동사의 현재 시제 a만이 발화의 현재를 참조하게 하는 직시소라는 점과 지표점이 과거나 미래로 변해서 avoir 동사의 시제나 서법이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은 시제와 서법의 변화가 없고 항상 전체적인 발화상황을 함축하는 voici, voila`가 il y a보다 더 직시적인 기능을 지님을 보여줄 수 있게 하였다. 다음으로 voici, voila`사이의 기능작용의 비교를 시도해 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의 토대로 voici, voila`가 어원적으로 동사 voir의 명령법 단수의 옛 형태인 voi와 장소 부사 ici, la`의 결합이라는 사실에 주목했다. 둘의 공통적인 요소 voir를 통해서는 voici, voila`가 동사와 몇몇 통사 구조를 공유함을 드러낼 수 있었다. 그리고 동사의 명령법은 발화상황인 현재에서 발화행위의 중심인물들인 화자와 상대화자사이에서 이루어지는데, 화자가 명령하거나 요구하는 것을 상대화자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는 행위이다. 명령법의 발화상황과의 관련성을 통해서는 voici, voila`의 직시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voici, voila`의 기능작용의 차이는 부사 ici, la`의 차이에서 유래한다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ici, la`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voici, voila`의 기능작용을 설명해 보고자 하였다. ici, la`의 가깝고 멈에 의한 물리적 거리의 대립적 정의는 오늘날 voici, voila`의 모든 용법들을 설명해 줄 수 없는 것이 사실이었다. 'Je suisla`', 'Me voila`'와 같은 표현들이 흔히 통용되기 때문이다. 물리적 장소의 차이만으로는 설명이 불충분하므로 그것들은 화자의 심리적인 거리의 차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이것 또한 voici, voila`의 기능을 충분히 드러낼 수 없다고 할 수 있었다. 한편 대립하는 두 요소가 어떤 문맥에서 대립이 중화될 때, 그 자리에 사용되어 더 넓은 영역을 포괄할 수 있는 요소를 무표로 보는 표지 개념을 도입해 거리의 가까움에 대해 ici, voici를 유표로, la`, voila`를 대립이 중화된 무표로 보았지만, 이 개념은 voici, voila`의 고유한 의미작용에 대한 설명으로는 불충분해 보였다. 그래서 그 의미작용의 설명에 타당해 보이는 직시와 조응의 개념을 도입해 보았다. 이때 직시와 조응은 인지적 차원에서 접근한 것으로, 화자는 물론 상대화자의 인식 영역에 근거한 개념화이다. 그것에 따르면 직시 표현인 ici는 새로운 지시대상을, 조응 표현인 la`는 이미 두드러진 상황 구조를 도입하는 기능을 한다. 인지적 관점에서 ici의 직시적 의미작용을 통해서 voici는 화자가 상대화자의 인식속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 정보를 새로운 초점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주된 기능을 가진다고 간주할 수 있었다. 따라서 voici는 화자가 상대화자에게 새로움을 알리고, 그러한 가치로부터 부차적으로는 한 대상을 특별히 강조해 지시함으로해서 상대화자의 시선을 집중시키고자하는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었다. 한편 voila`에는 인지적 관점에서 la`의 조응적 가치가 작용해, 새로운 정보로 상대화자의 인식속에 자리잡기 보다는 앞선 두드러진 상황 구조와의 연속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었다. 그래서 그것은 이미 상대화자에게 지각된 초점으로, 공유된 정보로 자리매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voila`의 조응적 가치로부터 앞선 상황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나 감탄을 나타내는 기능과 선행하는 발화나 상황에 대해서 총괄적으로 요약하거나 결론을 내리는 voila`의 고유기능을 끌어낼 수 있었다.;La pre´sente e'tude vise a` examiner les pre´sentatifs "voici" et "voila`" comme de´ictiques et a` e'lucider leurs fonctionnements respectifs. "Voici" et "voila´" sont des unite´s linguistiques qui relient les e´nonce´s A la situation d'e'nonciation du locuteur, a` savoir aux coordonne´es spatio-temporelles de l'acte d'e´nonciation. Pour arriver a` leurs re´fe´rents, c'est-a`-dire a` l'espace et au temps du locuteur, il faut prendre en consideration la situation e'nonciative. Dans un premier temps, nous avons mis en relief "voici" et "voila`" en tant que de'ictiques. Le terme 'de´ictique' provient d'un mot grec signifiant 'montrer' ou 'indiquer'. "Voici" et "voila`" sont des pre´sentatifs qui exigent le geste pour de´signer un objet dans la situation e'nonciative. De ce fait, nous avons constate' la valeur de´ictique des pre´sentatifs "voici" et "voila`". Ils ont d'ailleurs une fonction temporelle qui situe les proce`s dans le passe´. Dans cette fonction aussi, le point de repe`re que de´signent "voici" et "voila`" est invariablement le moment de la parole, le pre´sent du locuteur. Nous avons ensuite compark "voici" et "voilh" avec un autre pre´sentatif, "il y a". "Il y a" atteste l'existence ou la non-existence d'un phe´nome`ne tandis que "voici" et "voila`" admettent l'existence comme un fait acquis. Par conskquent, ils n'acceptent pas la negation et impliquent les coordonnkes spatio-temporelles. Dans un deuxie`me temps, nous avons essaye´ d'e'lucider et de comparer les particularite´s de fonctionnement de "voici" et de "voila`". Etymologiquement, la deuxie`me personne de l'impe´ratif de voir combine'e avec les adverbes ici et la` s'est fige´e sous sa forme ancienne voi et l'amalgame est devenu "voici" et" voila`". De ce fait, nous avons distingue' deux parties pour le fondement de 1'e´tude. En premier lieu, nous avons pu montrer quelques constructions syntaxiques communes entre le verbe voir d'une part, "voici" et "voila`" d'autre part. Nous avons ensuite e'tabli le rapport entre la situation e´nonciative de 1'impe´ratif et la de´icticite´ de "voici" et de "voila`". En second lieu, nous avons e´lucide´ le fonctionnement se´mantico-re´fe´rentie1 de"voici" et de "voila`" en analysant ici et la´ selon quatre positions. Leurs de´finitions du distance physique ou psychologique en traits oppose´s de 'proximite´/e´loignement' ne pouvaient pas expliquer des e´nonce´s comme "Je suis la`." et "Me voila`." et ensuite la notion de 'marque´/non marque´' n'a pas suffi pour expliquer leurs diffe´rences se´mantiques quand leurs emplois oppose´s ne pouvaient plus se maintenir. Ensuite nous avons choisi l'approche cognitive pour la deixis d'ici et l'anaphore de la` Selon l'approche cognitive, le de´ictique introduit un re´fe´rent nouveau, alors que l'anaphore introduit un re´fe´rent de´ja` donne´, manifeste ou accessible. De fait, en utilisant "voici", le locuteur donne a` l'interlocuteur des informations nouvelles et situe la nouvelle focalisation dans l'esprit de l'interlocuteur. Il manifeste ainsi l'effet de l'annonce et montre aussi secondairement 1'intention insistante du locuteur. En revanche "voila!" manifeste la connexion avec la situation saillante pre'ce'dente. Il situe donc la focalisation de'ja` manifeste et des informations partage'es avec lui dans l'esprit de l'interlocuteur. Cette dernie`re position nous permet de mieux expliquer le fonctionnement de "voici" et de "voila!". A travers de nombreux emplois de "voila!", nous avons donc divise' les emplois spe'ciaux de "voila`" en deux cate'gories. D'une part, la fonction introductrice d'exclamation et d'autre part la fonction introductrice de conclusion avec cette valeur anaphorique qui met en relation la continuite' de type situationnel de'ja` saillant pour le locuteur et l' interlocuteur. Par cette e'tude, derrie`re l'apparence simple d'un couple de mots, nous avons eu un apercu du fonctionnement complexe du langage humai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