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에 관한 연구

Title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with a battered wife
Authors
김경호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매맞는 아내여성 중심사회사업개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begins with the criticism of the current social work intervention which uses a family-focused perspective. under the current social work intervention a social worker threats a battered wife with a pathological perspective or ignores a battered wife's welfare So, this study presents the position that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instead of family-focused social work intervention is necessary. In this study woman-centered social work is the practical intervention that is focused on a battered wife's welfare, helps her make a personal changes and is based on the philosophy, values, and goals of feminist social work. Therefore, woman-centered social work in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that the social worker with a feminist perspective employs together a battered wife as an individual. The intervention is structured to assist a battered wife in reframing her thoughts and values and to help her realize her own welfa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for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is reviewed.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helps s battered wife to challenge the discrimination and supression of the patriarchy, and to overcome the helplessness that was leaned during the persistent battering situations. Second, the stages and techniques of a woman-centered social work to a battered wife are concretely presen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Third, through the case study of application of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to a battered wife,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is tested in terms of quality study. According to these purpos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theories about wife battering are examined, and then feminist theory is reviewed. Feminist theory suggests that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is needed. second, the mental state of a battered wife under patriarchy is examined, the necessity for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is reviewed, and the feminist social work that forms the keynote of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is examined. Third, the stages of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are based on 'women: direct practice' written by Bricker-Jenkins and Lockett(1994) and ' Incorporating gender content in direct practical curricular' written by Richey(1987). The stages are reconstructed by engagement/relationship building, exploration/assessment, action/ongoing work(personal-political transformation), and evaluation The stages of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are as follows; In the engagement/relationship building stage it is important that the attentiveness, the emotional responsity, summarizing, and changing the sexist behaviors of a social worker are considered. In the exploration/assessment stage it is important to attend to a woman's language usage, explore multidimensional factors, identify the strengths and resources of a woman, engage in a power analysis of a woman's situation, and select after determine the target goals toward the equality of sexes. In the action/ongoing work stage it is important to involve a woman as a partner in social work intervention, enhance a woman's self-esteem, identify and mobilize a woman's resources, develope the sisterhood, and vary a woman's coping skills. In the evaluation stage it is important to examine not only the degree of her progress but also the attainment of goals and her empowerment Fourth, the specific intervention techniques are examined, encouraging her to talk about herself, conciousness-raising on women's rights, assertiveness-training, the practical use of folk stories,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separation process from the violent husband, and divorce as an alternative. Fifty, the case that this researcher has worked together with a battered wife is reconstructed and presented as a case study by applying the stages and techniques that are presen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in social work practice.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with a battered wife, the client in this case study has gotten out of the battering situations, has become independent through employment, and has expanded support systems through interactions with her family of origin and other battered wives. These results prove that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helping a battered wife to get out of the battering situations. Second, because the common ideas to battered wives have been deep-rooted in a battered wife, it is very important that social workers have the perspectives and attitudes of feminism. Third, the stages of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and the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separation process from the violent husband should be understood as circular models, so it is necessary that social workers have sensitivity and flexibility before the intervention. Fourth, the various feelings such as guilt, anger, and grief with a battered wife in short-term intervention cannot be dealt with, so it is likely that a battered wife cannot improve her own self-esteem and personal capacity sufficiently, In consequence, long-term intervention is needed. Fifth, in order to fulfill the values, propositions, and goals of feminist social work, it is noted that individual intervention presented by this study coincides with group intervention, too. In social work, a woman-centered social work has been discussed only ideologically so far. Therefore, this study hat the significance of embodying a woman-centered social work intervention with a battered wife in stages and techniques.;본 연구는 매맞는 아내에 대한 개입 시 매맞는 아내를 병리적인 관점에서 보고 아내 구타로 가장 고통받고 있는 매맞는 아내의 복지를 경시하는 가족 유지 관점 하의 사회사업 개입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시작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 유지 관점이 아닌 매맞는 아내의 복지에 입각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한 후, 문헌 연구를 통해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을 재구성, 구체화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이란, 페미니스트 사회사업의 기본 철학, 가치, 목표에 근거하여 매맞는 아내의 복지에 초점을 두고 여성 개인의 변화를 꾀하는 구체적인 개입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은 페미니스트 관점 하에서 사회사업가가 매맞는 아내 개인과 작업하는 과정에 초점을 둔다. 구체적인 개입은 매맞는 아내의 사고와 가치를 재구조화하는 것과 관련되며, 대안적인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매맞는 아내가 자신의 진정한 복지를 실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맞는 아내가 가부장제 하에서 여성으로서 받는 차별과 억압에 도전하고, 지속적인 폭력 상황에서 학습한 무기력을 극복할 수 있게 돕는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의 필요성을 고찰한다. 둘째, 문헌 연구를 통해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 단계와 개입 기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셋째,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 단계와 개입 기법이 실제 사례에 적용 가능함을 입증한다. 이러한 목적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룬다. 첫째, 아내 구타에 관한 기존의 이론을 살펴 본 후,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가부장제 이론을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가부장제 하에서의 매맞는 아내의 심리적 특성을 살펴 보고,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의 필요성을 고찰한 후,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의 근간이 되는 페미니스트 사회사업에 관해 살펴 본다. 셋째,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의 단계를 Bricker-Jenkins와 Lockett(1994)의 '여성에 대한 사회사업 실천'과 Rickey(1987)의 '사회사업 실천에서의 성(gender)과 관련된 내용들'을 기초로, 계약/관계 구축, 탐색/사정, 행동/작업 진행(개인적-정치적 변화), 평가의 순서로 재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여성 중심적 사업 개입의 단계를 살펴보면, 계약/관계 구축 단계에서는 경청과 정서적 반응성, 요약, 사회사업가의 성차별적 행동들을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탐색/사정 단계에서는 주의를 기울여 여성의 언어를 듣고, 여성의 다차원적 요소들을 탐색하는 것, 여성의 강점과 자원을 확인하는 것, 여성이 처한 상황의 권력을 분석하는 것, 성평등주의를 지향하는 표적 목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행동/작업 진행 단계에서는 여성을 개입의 파트너로 포함시키는 것, 여성의 존중감을 지지하는 것, 자원을 확인하고 동원하는 것, 여성들간의 자매애를 발전시키는 것, 여성의 대처 양식을 다양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가단계에서는 여성의 발전 및 목표 달성 정도를 검토하고, 여성 내담자의 힘을 북돋워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구체적인 개입 기법으로 여성 자신에 초점을 두어 이야기하게 하기, 여성의 권리에 대한 의식화와 자기 주장, 옛날 이야기의 활용, 하나의 대안으로서의 이혼, 구타 남편과의 분리 과정에 따른 감정 다루기에 대해 고찰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 단계와 기법을 활용하여 본 연구자가 개입했던 매맞는 아내의 사례를 재구성, 사례 연구를 제시한다. 사례 연구 결과,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이 갖는 사회사업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 결과, 본 사례 연구의 내담자는 이혼을 통해 구타 상황을 벗어났고, 자신의 자원을 활용하여 취업을 했으며, 친정 식구 및 매맞는 아내들과의 교류를 통해 지지 체계도 확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이 매맞는 아내가 구타 상황을 벗어날 수 있게 돕는 데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둘째, 매맞는 아내에 대한 일반의 통념이 매맞는 아내에게 깊이 뿌리박혀 있으므로,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 시 개입하는 사회사업가의 관점과 자세가 매우 중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 단계와 구타 남편과의 분리과정에 따른 5단계 정서적 반응 모두 순환적 모형으로 이해되어야 하므로, 사회사업가의 민감하고도 융통성 있는 개입이 요구된다. 넷째, 단기 개입 시 매맞는 아내의 죄책감, 분노, 슬픔 등의 다양한 감정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해, 궁극적으로 자아 존중감 및 개인적인 능력의 향상을 가져오는 데는 미흡한 것으로 보이므로, 장기 개입이 요구된다. 다섯째, 페미니스트 사회사업의 가치와 전제, 목표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본 사례연구에서 제시한 개인에 대한 개입과 집단적인 개입을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그 동안 사회사업 분야 내에서 이념적으로만 이야기되어져 왔을 뿐인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의 단계와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 중심적 사회사업 개입 과정 및 개입 기법을 구체화한 것으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