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鄭信愛-
dc.creator鄭信愛-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0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4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1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40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을 구성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이란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통찰력과 컬리의 영성교육의 통찰을 통해 재구성한 영성교육이다. 본 논문은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의 구성을 통해 현대사회의 깨어진 모든 관계성들을 올바른 관계들로 회복시키는 그러한 기독교 교육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하면서 구상된다. 본 논문의 기본 논지는 다음과 같다; 영성을 통해 모든 관계성들이 정의롭게 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영성교육이다. 영성교육은 그러나 체계성과 합리적, 이성적 측면이 부족하다는 한계들이 있기 때문에 보다 나은 영성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한계점들은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한계들을 극복하는 역할을 신앙발달이론이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보완의 작업은 컬리의 영성교육과 함께 진행될 때 더욱 질 수 있는데 컬리의 이론과 신앙발달이론에 의해 보완된 상태의 영성교육의 모습을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이라는 형태로서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은 발달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해 크게 관심하고 있다. 그것은 또한 공동체 지향적이며 해방적인 인식을 갖는다. 통합적이며 전인적인 교육을 목표로 하며 궁극적으로 하나님 나라에 대한 비전을 갖는다. 이러한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을 통해 교육의 중심성으로서의 영성을 회복하고 보다 체계적이며 구조적으로 질서 잡힌 교육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해방 지향적인 성격으로 인해 인식과 실천의 지평을 넓히고 무엇보다 객관적인 인지적 측면과 초월적인 영성적 측면의 근형을 이루는 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다. 제 1장은 서론으로서 현대사회의 문제점들이 현대사회의 깨어진 제반 불의한 관계성들에 기인하고 있음과 이를 회복키 위해서 영성적 통찰력이 필요함을 이유로 영성교육이 중요함을 밝혔다. 제 2장은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을구성하는 과정상에 있어서 규명해야할 논의들을 진행시켰다. 첫째로 영성과 영성교육의 개념을 설명하고 영성교육의 몇몇 모델들과 컬리의 영성교육이론을 소개하였다. 두 번째로 영성교육의 한계들을 살펴보고 영성교육의 재구성될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세 번째로는 영성교육에 대한 신앙발달이론적 대안들에 대해 밝히기 위해서 양자의 결합가능성을 타진했다. 이를 위해 영성과 신앙의 관계와 또한 신앙발달과 영성발달의 관계를 밝힌다. 제 3장은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첫째로 신앙 발달론적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정리하고 그 개념 및 특성들을 설명하였다. 두 번째로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의 모습을 좀 더 자세히 구현하고자 그 구조들을 교육의 목적, 방법론, 교사, 장, 그리고 내용·커리큘럼의 짜임새로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의 함의를 설명하였다. 제 4장은 결론으로서 앞의 내용들을 요약한다. 그리고 본 논문의 한계점과 향후의 연구과제를 몇 가지 제시하고 본 논문을 끝맺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means a union and combination of Fowler's Faith Development Theory and Cully ' s Spiritual Education to overcome limitations of spiritual education. It is proposed as a certain form of Christian education with the goal to perform the works of Christian education more effectively in our modern days. I hope much that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will become a Christian education to restore every broken relation in our modern society righteously. Therefore, in order to construct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this paper focuses on explaining the relations between faith and spirituality, and the connections between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development.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It is concerned about the human as a developmental being. It has community-oriented and liberative understandings. It takes aim at integrative Christian education for the whole and full person. Ultimately, it has the vision of the kingdom of God. Also,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It can restore spirituality as the heart of Christian education. It can make it possible to educate more orderly and systemically in terms of structure. It can enlarge the boundaries of cognitions and practices through its community-oriented and liberative characteristics. Most of all, it can cause one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n education that is in balance between objective cognitive aspects and transcendental spiritual aspects. In the first chapter, I insist that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are caused by all sorts of broken relationships and in order to recover these broken relations, there is a need of spiritual insight. Then I describe that in the part of Christian education,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gives the clue of the solution. In the second chapter, I comment 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First, I explain the meaning of spiritual education, the several models of spiritual education, and Cully's spiritual education theory. Second, I point out some limitations of Spiritual Education and express Faith Development Theory as an alternative insight for spiritual education And I mention the requirement of reorganization of it. Third, I describe the relations and connections between faith and spirituality, of which Fowler's meaning of faith and Cully's meaning of spirituality are alike and the meaning of spirituality is more inclusive than that of faith. Finally, I explain the relations between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development, of which the relations between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development are similar to those between faith and spirituality, but in terms of both theory and practice, the former is more reciprocate than the latter. The third chapter explains something about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First, I describe the possibility, meaning, and features of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Second, I explain the structure of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including the purpose, methods, concept of an educator, context, contents and curriculum of it, in order to clarify the appearance of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more concretely. Finally, I point out the implications of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for Christian education. In The Final chapter, I insist that 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 union of Fowler's Faith Development Theory and Cully's Spiritual Education, is more beneficial than Fowler's Faith Development Theory or Cully's Spiritual Education. Then, I point out need of the research about spiritual development for hereafter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1. 서론 =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4 2. 영성교육과 신앙발달이론 = 6 A. 영성교육의 이해 = 6 (1) 영성의 개념 = 6 (2) 영성교육의 개념 = 10 (3) 영성교육의 모델들 = 13 (4) I. V. 컬리의 영성교육 모델 = 17 B. 영성교육의 재구성 = 23 (1) 영성교육의 한계들과 재구성 = 23 (2) 대안적 통찰로서의 신앙발달이론 = 26 C. 영성교육과 신앙발달이론 = 35 (1) 영성과 신앙의 유사한 특성들 = 35 (2) 영성과 신앙의 관계 = 45 (3) 인간발달, 신앙발달 그리고 영성발달 = 47 (4) 영성발달과 신앙발달의 관계 = 56 3.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 = 59 A.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의 이해 = 59 (1)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의 가능성 = 60 (2)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의 개념 및 특성 = 62 B.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의 구조 = 67 (1) 교육의 목적 = 67 (2) 교육의 방법론 = 70 (3) 교사 = 73 (4) 교육의 장 = 77 (5) 교육의 내용과 커리큘럼 = 80 C.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의 기독교 교육적 함의 = 82 (1) 영성교육의 기독교 교육적 함의 = 83 (2) 신앙발달이론의 기독교 교육적 함의 = 86 (3) 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의 기독교 교육적 함의 = 89 4. 결론 = 94 A. 요약 및 결론 = 94 B. 논문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 = 96 참고문헌 = 98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550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신앙발달론-
dc.subject영성-
dc.subject교육-
dc.title신앙발달론적 영성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aith Development and Spiritual Education-
dc.format.pagevi, 10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