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張少榮-
dc.creator張少榮-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8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4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1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407-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많은 훼미니스트들은 전통적인 영성의 개념에 대해 도전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전통적인 영성의 개념이 가부장적이고 이원론적이어서 삶에 대한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방해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가부장적 영성은 무엇보다 여성의 경험을 배제하기 때문에 이런 영성이 지배하는 종교교육의 현장에서는 여성의 균형잡힌 영적 성숙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남성 중심적인 권위하에 이해되고 해석되는 영성을 여성들에게 무조건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은 오히려 여성의 영적 성숙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의 영적 성장을 위해서는 여성의 경험에 대한 바른 이해 그리고 여성의 독특한 영성의 특징을 살려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훼미니스트 사상의 영향으로 종교와 영성에 대한 새로운 질문들이 제기되면서 여성의 영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1980년대에는 여성의 영성에 대한 저작물도 많이 나오게 되었다. 이것은 새로운 형태로 성장하고 있는 신앙의 표시이며 침묵되었던 여성의 영성을 재고찰하고 다시 회복하려는 새로운 종교적 자각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훼미니스트 의식을 바탕으로 재구성되는 영성은 남성중심적인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보던 것에서 벗어나 인류의 해방을 위한 비젼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통전적 관점을 지닌다. 또한 진보적인 변화와 진정한 해방 그리고 영적인 변혁을 추구한다. 이것은 여성들의 영적 성숙을 위한 교육 곧 영성교육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사안들이다. 미국 흑인 여성들은 세계의 여러 여성 그룹 가운데서도 특히 영성교육의 필요성을 집단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조상 대대로 이어져 내려오는 해방적인 영적 유산의 전통을 지반으로 서구의 백인 우월주의적인 가부장적 사회에서 그들의 온전성을 추구한다. 그들의 영성의 특징과 영성교육은 여성 해방적인 영적 성숙의 비젼을 담보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영성교육으로서의 기독교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영성교육의 비젼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로서, 혹인 여성들의 영성을 고찰하고 그들의 영성교육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를 규명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을 한국 교회 여성의 해방을 위한 영성교육에 적용해 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제 1장에서는 본 논문의 목적과 연구 방법을 밝히고자 하였고, 제 2장에서는 흑인 여성의 영성에 대한 이해를 위해 흑인 훼미니스트 사상 그리고 흑인 여성 신학에 흑인 여성들의 영성 발굴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또 그들의 영적 자원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흑인 여성들의 영성의 특징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제 3장에서는 해방, 치유, 연대라는 세 가지 주제를 부각시켜 흑인 여성들의 영성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 4장에서는 본문을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한국 교회 여성들의 영성 문제를 지적하면서 흑인 여성들의 영성교육에 한국 교회 여성들의 영적 성숙을 위한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Feminist critical thought challenges traditional religions and spiritualities for their exclusiveness their rejection and subordinations of women. When traditional patriarchal spirituality excluding women' s real experience controls a religious educational setting, it is difficult to expect a balanced spiritual maturity open to women's wholeness and liberation. Education for spiritual growth of women, most of all, needs to understand both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their distinction, to revive women's spirituality as an integral, holistic and dynamic force in their life and affairs. Black women, who have an identity as a womanist, a black feminist, recognize the need of education for spirituality in their struggle for liberation. They have a liberatory, resistant spiritual inheritance from their lived experiences. With these spiritual resources, they have sought to live well and long despite adversity-the evils caused by racism, sexism, and class exploitation-, pain, hardship, unrelenting poverty, and the ongoing reality of loss. Black Women in contemporary white-supremacist patriarchy are concerned with identifying their pain and constructing maps for balanced, wholistic lif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black women's spirituality and to examine their spiritual education as a holistic, integral religious education. Chapter One presents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thesis. In this part, the author presents that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ion give a serious consideration to holistic or integral perspective. And limits of existing partial religious education are pointed out and also the necessity of spiritual education with holistic approach is declared. Chapter Two is a consideration about black women's spirituality and it ee parts. Many researches about black women's experience and their spirituality have been by black feminists. So the author reviews black feminist thought and black feminist theology. And then the author examines black women's spiritual resources, namely, black women's religious life and teaching, black women's literary tradition, and black women's consciousness reflected in black sacred song tradition. After that the author arranges some characters of black women's spirituality. Chapter Three is an examination about black women's spiritual education and it consists of three parts. They present that black women's spiritual education makes three kinds of theme as main subjects; liberation, healing and solidarity. In the concluding Chapter Four, the author points out korean church women's problems in their spirituality, and shows a preview on black women's spirituality in regard to korean church women. And It will be put an end with telling the limits of this thesis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범위 = 1 B. 연구 방법 및 절차 = 5 Ⅱ. 흑인 여성들의 영성 이해 = 8 A. 흑인 여성들의 목소리 = 9 1. 흑인 훼미니스트 사상의 출현과 동향 = 9 2. 흑인 여성 신학의 형성과 내용 = 15 3. "침묵"에서 "말하기"로의 이동 = 23 B. 흑인 여성들의 영적 자원 = 28 1. 선조 흑인 여성들의 종교적 삶과 가르침 = 30 2. 음악에 담긴 흑인 여성들의 의식 = 35 3. 흑인 여성들의 문학 전통 = 41 C. 흑인 여성들의 영성의 특징 = 44 1. 생존의 영성 = 46 2. 치유적인 영성 = 51 3. 통전적이고 총체적인 영성 = 53 4. 창조적이고 변혁적인 영성 = 55 Ⅲ. 흑인 여성들의 영성교육 = 58 A. 해방을 위한 영성교육 = 60 1. 흑인 여성들의 의식화와 영적 성장 = 60 2. 이야기 결합(Story-linking) 모델의 활용 = 66 B. 치유를 위한 영성교육 = 71 1. 흑인 여성들의 상처 치유와 영적 성장 = 71 2. 이야기의 치유적 차원과 이야기하기(story-telling)의 방법 = 78 C. 연대를 위한 영성교육 = 84 1. 공동체를 통한 영적 성장 = 84 2. 창조적인 우머니스트 의식(ritual)과 예배의 실천 = 87 Ⅳ. 결론: 해방의 영성과 한국 교회 여성의 영성교육 = 92 참고문헌 = 98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465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흑인-
dc.subject여성-
dc.subject영성교육-
dc.title흑인 여성들의 영성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Black Women's Spirituality and Education-
dc.format.pagevi, 10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