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경원-
dc.creator윤경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4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1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403-
dc.description.abstractVale´ry est un poe´te qui tente de parvenir a 1'e´tat du moi pur en essayant de se connaitre par la conscience lucide. Ses poe´mes repre´sentent les divers aspects qui se dirigent vers la connaissance de soi a travers la lumie´re et le moi poe´tique. Cette Ctude vise a` montrer l'aspect de la conscience personnelle du poe´te. Pour cela, nous allons examiner le processus de la lumie´re et du moi poe´tique. Au cours de ce travail, nous croyons que la lumie´re se transforme en moi poe´tique pour montrer ses caracte´res paradoxaux. Nous avons pu remarquer qu'elle Cvolue de l'aube, vers la nuit et puis vers midi. Nous avons pu mettre en lumie´re le fait que le confit entre l'e^tre et le connaitre du moi poe´tique Ctait celui du poe´te et que le poe´te n'y parvient pas bien qu'il se soit efforce´ de re´soudre le proble´me. A partir de ce point de vue, cette Ctude examine en trois grandes parties la face du moi poe´tique en rapport avec la lumie´re dans trois poe´mes qui manifestent bien les trois Ctats: La Jeune Parque, Fragments Du Narcisse et Le Cimetie´re Marin. Dans la premikre partie, nous observons le moi poe´tique dans la lumie´re de l'aube. La`, le rnoi poe´tique qui surgit de la "profonde absence" retrouve sa conscience a` partir des sentiments de "surprise'' et d' "attente". La conscience sert de tremplin au moi poe`tique pour s'avancer vers le monde exte`rieur qui est forme´ par l'action simultane´e de 'la pense´e critique' et de la 'pense´e cdnstructive'. Le moi poe´tique , en criant "Myste´rieuse MOI", est bru^le´ du de´sir de vivre dans le monde exte´rieur repre´sente´ par son esprit. Mais son esprit ne se contente pas du monde exte´rieur et essaye de le de´passer. La conscience veut re´soudre le conflit entre la vie et l'esprit gra^ce a^ la lumie´re de 1'aube. Le moi poe´tique qui re^ve "Harmonieuse MOI" substitue "puissants paradis", autrement dit le monde de l'enfance que son imagination cre´ative attire, au monde exte´rieur. Mais c'est le monde de l'absence qui n'existe pas actuellement. Ici, nous pouvons savoir que l'aspect de la conscience de soi e´voluera vers une intention de re´soudre le conflit entre l'e^tre et le connaftre. Dans la deuxie´me partie, nous observons le moi poe´tique qui se transforme en lumie´re de la nuit et son double. La`, le rnoi poe´tique qui e´chappe au monde exte´rieur tombe dans le 'jeu du miroir' pour se de´couvrir comple´tement dans le monde inte´rieur. Sa conscience intellectuelle n'y de´couvre pas d'autre chose que le ne´ant et se transforme alors en conscience sensible, situe´e a` l'extre^me de la conscience. Cela se produit comme si le rnoi pensant trouvait le moi pense´ et si le rnoi poe´tique connaissait la division du moi. Maintenant l'acte de connaissance de soi ne se re´ve´le pas par l'extre^me de la pense´e mais par la domination du dualisme en soi. Pour cela, le rnoi poe´tique choisit comme maniitre l'amour de soi-me^me. Concre´tement, il essaye de jouer a` 'voir' et a` 's'entendre parler'. Mais il ne peut pas surmonter la limite inhe´rente a chaque action. Ici, nous pouvons voir que l'aspect de la conscience de soi est de´veloppe´ pour vaincre le dualisme du moi mais que le poe´te n'y parvient pas. Dans la troisiitme partie, nous observons le moi poe´tique dans la lumie´re du midi. LA, le moi poe´tique re´tablit l'unite´ du soi en regardant le soleil qui symbolise la perfection divine et en pe´ne´trant l'e´tat du soleil. C'est-a` -dire que son imagination transcendante lui fait atteindre I'e´tat de l'e^tre absolu. Soudain, son imagination transcendante lui fait atteindre l'e´tat de 1'e^tre absolu. Soudain, il ressent que la lumie´re du midi masque la mort derrie´re son e´tetnite´. Malgre´ le danger de sa mort, il re^ve de la "puretk du Non-e^tre". Son ivresse ne dure pas longtemps parce qu'il en est de´tache´ par le geste de l'homme qui existe et qui pense. Il doit tout de suite participer au monde de la dure´e et de la relativite´. En fin de compte, il accepte la vie, "tente de vivre" et abandonne l'acte de la connaissance de soi-me^me qui entrai^nerait sa mort. Ici, nous pouvons savoir que l'aspect de la conscience de soi aboutit a l'acceptation de la vie a la place de la connaissance de soi. Pour conclure, nous observons que le poe´te, qui n'a pas pu rktablir 1'unite´ du moi, revient a son travail de poe´te. Il choisit le travail cre´atif, la poe´sie, qui lui permet d'atteindre la transparence de l'e^tre sans se de´rober aux conditions dans lesquelles il vit. Il peut accomplir l'unite´ du moi a` travers le moi poe´tique dans ses oeuvres.;본 논문은 발레리의 시작품에 나타난 빛과 시적 자아를 통해 시인의 자아의식의 양상을 드러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문의 분석 과정에서 필자는 빛이 및 자신의 대립되는 두 특성을 시적 자아를 통해 구체화시켜 나타냈으며, 시적 자아의 정신 활동이 진전되어 감에 따라 새벽/밤/정오의 빛의 순서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시적 자아의 인식(le connaitre)과 존재(1'etre) 사이의 갈등이 시인 자신의 내적인 갈등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젊은 파르크 La Jeune Parque (1917): 새벽>, <나르시스 단장들 Fragments Du Narcisse (1926): 밤>, <해변의 묘지 Le Cimetitre Marin (1920): 정오>를 중심으로 빛과 시적 자아의 모습을 크게 세 개의 국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 번째 국면에서는 새벽의 빛속에 드러나는 시적 자아의 모습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깊은 부재"에서 빠져나온 시적 자아는 '놀람'과 '기다림'의 감정을 바탕으로 의식을 회복시켰다. 이는 시적 자아가 외적 세계를 향하여 나가기 위한 발판이 되었다. 외적 세계는 시적 자아의 '비판적인 사고'와 '구성적인 사고'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는 자신을 "신비로운 나"라고 외치며 자신과 내적인 일치의 도면 위에 구성된 외적 세계에서의 삶의 욕구에 사로잡혔다. 한편 그의 정신은 외적 세계에 만족하지 못하고 그 세계를 넘어서려 했다. 그는 삶과 정신 사이에 유발된 갈등을 해결하려 했다. 즉, 그는 "조화로운 나"를 꿈꾸며 외적 세계를 발레리의 창조적 상상력이 만들어낸 "힘찬 낙원(puissants paradis)"으로, 다시 말하면 유년 시절의 세계로 교차시켰다. 하지만 그 세계는 현실적으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세계였다. 이로써 우리는 자아의식의 양상이 내적인 갈등을 해결하려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암시를 받았다. 두 번째 국면에서는 밤의 빛으로 변용된 시적 자아와 그 분신의 모습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발레리는 자신을 완벽하게 인식하기 위해 '거울의 유희'에 빠져들었다. 의식은 그 속에서 무 이외에 다른 어떤 것도 발견하지 못했으며, 의식의 극단에서 감성적 의식으로 변모되었다. 이는 발레리의 시작품에서 인식하는 자아가 존재하는 자아를 발견하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시적 자아가 자아의 분열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시적 자아의 자기 인식 행위는 사념의 극단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분열된 자아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시적 자아는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의 방법을 선택하였다. 그 구체적인 행위는 '바라보기'와 '스스로 말하는 것을 듣기'로 표출되었다. 하지만 그는 각각의 행위에 내재되어 있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발레리의 자아의식의 양상은 자아의 이원성을 극복하려 했으나 실패하게 되었다. 세 번째 국면에서는 정오의 빛속에 드러나는 시적 자아의 모습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시적 자아는 신적인 완벽의 상징인 정오의 태양을 바라봄으로써 태양과 같은 상태가 되어 자아의 단일성을 회복시켰다. 즉, 발레리의 초월적 상상력이 시적 자아를 무한한 절대존재자와 교감하게 했다. 하지만 시적 자아는 정오의 빛이 영원성 뒤에 죽음을 감추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는 육체의 소멸에도 불구하고 "비존재의 순수성"을 꿈꿨다. 그의 꿈은 한 순간의 도취에 지나지 않았다. 이는 존재하고 생각하는 인간의 행동이 절대와 부동의 토대로부터 시적 자아를 끌어냈기 때문이었다. 그는 지속과 상대성의 세계에 참여해야 했다. 결국, 시적 자아는 삶을 수락했고 "살려고 애썼으며' 존재를 죽이는 결과를 가져오는 자기 인식 행위를 포기했다. 발레리의 자아의식의 양성은 자신을 완벽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그 대안으로 삶을 수락하는 방향으로 귀결하였다. 결론에서는 발레리가 자아의 단일성을 회복하지 못하고 시인의 작업으로 돌아오게 됨을 고찰하였다. 발레리는 삶의 조건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존재의 투명성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적인 창조 작업을 선택했다. 그는 시작품속에 드러나는 여러 시적 자아를 통해 자아의 단일성을 회복시킬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새벽의 빛과 자아 = 7 A. 깨어나는 자아 = 9 B. "신비 로운 나" (Myste´rieuse MOI) = 17 C. "조화로운 나" (Harmonieuse MOI) = 23 Ⅲ. 밤의 빛과 자아 = 31 A. 자아의 분열 = 31 B. 자아 결합의 시도 = 38 1. 시각적 결합 : 바라보기 = 40 2. 청각적 결합 : 스스로 말하는 것을 듣기 = 48 Ⅳ. 정오의 빛과 자아 = 56 A. 자아의 단일성 회복 = 56 B. "비존재의 순수성 속에서" (Dans la purete´ du Non-e´tre) = 64 C. 삶의 수락 = 71 Ⅴ. 결론 = 81 참고문헌 = 87 Re´sume´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537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P. Valery-
dc.subject자아-
dc.subject-
dc.subject-
dc.titleP. Valery의 시에 나타난 빛과 자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tude de la lumiere et de moi chez Valery-
dc.format.pagevi, 9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