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9 Download: 0

W. A. Mozart, R. Schumann, D. Shostakovich, Z. Kodar´ly의 연구

Title
W. A. Mozart, R. Schumann, D. Shostakovich, Z. Kodar´ly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A. Mozart, R. Schumann, D. Shostakovich, Z. Kodar´ly : Centering on Author's graduate recital repertoire
Authors
명지영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Keywords
W. A. MozartR. SchumannD. ShostakovichZ. Kodar´l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1987년 9월 8일에 있었던 필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의 연주곡목에 대한 분석적 연구이다. 연주곡목은 W.A. Mozart의 Piano Sonata K. 310, R. Schumann의 Kreisleriana Op.16, D. Shostakovich의 Prelude & Fugue Op.87, Z. Koda´ly의 Nine Pieces Op.3이다. W.A. Mosart는 고전주의 Sonata 양식을 완성한 작곡가로서, 그의 Piano Sonata K. 310은 3악장으로 구성되었다. 제 1, 2악장은 전통적인 고전주의 Sonata형식으로 쓰여졌으며, 제 3악장은 Rondo형식으로 쓰여졌다. 제 1, 2악장에 나타나는 제 2주제는 뚜렷한 성격이 없으며 16분 음표나 32분음표로 대신되고 있다. 제 2악장은 turned trill( □ )을 사용하여 곡을 진행시키며, 제 3악장은 단일주제를 기초로 구성되었다. 이 작품에는 Appoggiatura, Alberti-bass, Ⅶ → Ⅰ의 Melodic Sigh, terraced dynamic 등의 고전주의 또는 Mozart의 특징적 기법이 나타난다. R. Schumann은 낭만주의 작곡가로서, 문학사상과 연관되는 성격적 소품의 하나인 Kreisleriana Op.16은 모두 8곡으로 구성되었다. 그 형식은 Rondo나 혹은 3부형식으로서, 이 작품에는 반음계적 선율과 다양한 리듬, 자유로운 형식, 비화성음 등의 낭만주의적인 기법이 나타난다. 제1곡은 주제음형이 동형진행(Sequence)으로 전개되며, 제 2곡은 arch 형태의 선율과 다양한 조성을 쓰고 있다. 제 3곡은 특징적인 □□ 리듬으로 곡이 전개되며, 제 4곡은 Ⅴ화음으로 시작하면서 B^(♭) Major의 Ⅳ, Ⅴ화음의 전위형태를 많이 쓴다. 제 5곡은 당김음(Syncopation)과 교차리듬(Cross rhythm)을 사용하고, 제 6곡은 A부분에서는 순차적인 선율을, B부분에서는 □ 리듬의 선율을 쓰고 있다. 제 7곡은 대위법적 기법이 나타나며, 제 8곡은 계속되는 □ 음형위에 세가지의 선율이 나온다. D. Shostakovich는 20세기 중반의 소련 작곡가로서, 그의 작품은 형식이 단순하며 전통적 조성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그의 Prelude & Fugue Op.37은 그가 대위법과 후가(Fugue)를 모두 능란하게 다룰 수 있음을 증명한 작품이다. No.2의 Prelude는 분산화음의 형태로서, Toccata 風의 고전적 형식으로 구성된다. No.4의 Prelude는 3도 하행하는 선율과 온음계적으로 하행하는 반주가 동형진행(Sequence)으로 곡을 이끌어간다. No.5의 Prelude는 arpeggio 반주와 □♩의 리듬으로 나오는 선율이 나오면서 양손에서 교대로 모방된다. No. 2, 4, 5의 Fugue는 주제·응답·대주제·연결구·Coda로 구성되며, No.4의 Fugue는 주제와 응답은 2개, 대주제는 4개를 사용한다. No. 2, 4, 5의 Fugue는 모두 완전 5도 위에서 응답이 나오며 각기 특징적인 리듬이 쓰여졌다. 그러나 J. S. Bach의 Fugue와 비교할 때, Fugue의 주제와 응답은 그 특색이 약해지고, 연결구는 길이는 연장되었지만 주제와 구분이 모호해졌다. Coda는 광대한 Stretto를 사용했으며 연결구가 확대된 형태와 유사하다. Z. Koda´ly는 헝가리의 작곡가이며 민족음악학자로서, 그는 자유로운 형식과 고전적인 균형, 민속적인 선율과 리듬을 사용하고 있다. 그의 Nine Pieces Op.3은 리듬과 화성의 ostinato를 기초로 하여 9곡으로 구성되었으며, 박자·리듬은 선율에 따라서 자유롭게 쓰여졌고, 민요의 영향을 받은 5음음계(pentatonic scale)가 나타난다. 제1곡은 ostinato위에 선율이 변주되며, 제2곡은 헝가리 Gypsy 風의 선율이 동형진행(Sequeuce)으로 전개된다. 제 3곡은 5음음계(Pentatonic Scale)의 선율을 사용하며, 선법(mode)과 전통화성을 동시에 쓰고 있어서 조성을 모호하게 한다. 제 4곡은 타악기적인 반주와 선법(mode)으로 쓰여진 주선율이 나오며, 제 5곡은 분산화음 반주위에 5음음계(Pentatonic Scale)를 사용했다. 제 6곡은 병행화음이 나오고, 제 7곡은 완전4도의 병행선율이 리듬의 변화를 갖고 전개된다. 제 8곡은 완전5도 병행하는 음형으로 구성되며, 제 9곡은 행진곡 리듬과 대위법적 기법을 쓰고 있다.;This thesis is attempted to study analytically of the repertoire performed by the author at the graduate recital required as a partialfulfilment forthe degree of master of art. The repertoire is consisted of W.A. Mozart Piano Sonata K. 310, R.Schumann Kreisleriana Op.16, D. Shostakovich Prelude & Fugue Op.87, Z.Koda´ly Nine Pieces Op.3. W.A. Mozart is a composer who completed a classical Sonata style. His Piano Sonata K. 310 is comprised of three movements.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are composed in a traditional classical sonata form. The third movement is in Rondo form. In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instead of delineating a sharply defined second theme, resorts to a series of sixteenth or thirty second notes. In the second movement, turned trill is used. The third movement has mono theme. This sonata is characterised by Appoggiatura, Alberti-bass, Ⅶ-I Melodic Sigh and terraced dynamic, which are techniques of Mozart or Classical period. R. SchumannisaRomanticcomposer.Hecomposedcharacter pieces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literature. Kreisleria is comprised of eight extended pieces. They are composed of Rondo or ternary form. It is characterised by chromatic melody, various rhythm, free form and nonharmonic tone, which is a character of Romantic period. No.1 uses sequence of thematic figure, No.2 uses arch melody and nonharmonic tone, No.3 is characterised by the rhythm of □□, No.4 begins with Ⅴ and uses Ⅳ_(6)·Ⅴ_(6) chord of B^(b) Major frequently. No.5 uses syncopation and cross rhythm, No 6 is characterised by □□ No.7 uses the skipped melody and contrapunctal technique. No.8 uses the figure of □ and three varied melody. D. Shostakovich is a Soviet composer in the middle of 20th century. His work is based on a simple form and traditional harmony. His prelude & Fugue Op.87 is a work which he proves his mastery of both counterpoint and Fugue. The Prelude of No.2 is fashioned as e´tudes. The Prelude of No.4 has a descending melody of third interval and sequence of descending diatonically in the accompanyment. The Prelude of No.5 use a melody which is accompanied by arpeggion and rhythm of □♩, which is imitated in both hands. The Fugues of No. 2, 4, 5 have 'real answer'. They use characteristic rhythms and are composed of subject, answer, counter subject and transition. But in the contrast with J.S. Bach, the character of subject and answer becomes disapeared and the transitions extended, bu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ransition from subject. The coda uses stretto and is likely an extension of transition. Z. Koda´ly is a Hungarian composer and ethnologist. His work is characterised by free form, classical balance, folk melody and rhythm. His Nine Pieces Op.3 uses ostinato of rhythm and harmony freely. The pattern of melody and rhythm is under the influence of folk music. In example, the pentatonic scale is used in No. 3, 5. No.1 uses ostinato and various melodies, No.2 has sequence of melody of □, which is deprived from hungarian Gypsy style. No.3 has a melody in pentatonic scale. It is difficult to know the key of No.3, because the mode and traditional harmory is used simultaneously in No.3, No.4 is characterised by percussive rhythm in the accompanyment and the main melody is used in mode. No.5 is accompanied by brocken chord and uses pentatonic scale. No.6 uses parallel motion of harmory. No.7 has melody of perfect 4th interval in parallel motion. The melody is varied by the change of rhythm. No.8 is comprised of parallel motion of figure. No.9 is characterised by march rhythm and contrapunctal techniqu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