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南韓의 冷 暖房度日에 대한 氣候學的 硏究

Title
南韓의 冷 暖房度日에 대한 氣候學的 硏究
Other Titles
(A) climatological study of the cooling and heating degree day in Korea
Authors
趙惠貞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남한냉난방도일기후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limatologically an areal distribution of the cooling and heating degree day. The cooling and heating degree day is used as the means to account for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with indoors cooling and heating, which is calculated by accum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a selected disirable base temperature and outward temperature. The base temperature of the cooling degree day is 24℃, and that of the heating degree day is 18℃.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 the geographical factors are different respectively determining the areal distribution of the cooling and heating degree day. That is,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distribution of the cooling degree day are topography, altitude, and latitude. And the Latitude affects less than topography and altitude. So the value of the cooling degree day is small in the inland mountainous region, but very large in the inland basin. The latitude and the position of inland and coast affect greatly the areal distribution of the heating degree day. The higher latitude, the larger the value of the heating degree day, and the value of the heating degree day at inland is larger than that at coast. But despite of same latitude, the value of the heating degree day at the western coast is larger than that of the eastern coast. Second - the variation degree of the heating degree day is greater than that of the cooling degree day, and the trend of variation is also evident in case of the heating degree day. In 1960s, world temperature shows decreasing trend, and the change of the heating degree day shows this trend, too. The abnormal years of the cooling and heating degree day tend to appear simultaneously through wide region, and are greatly related with upper air circulation. Third - the number of days of the cooling and heating, that is the cooling and heating period, is determined by many geographical factors; for example, latitude, the position of inland and coast, topography, altitude. The cooling period is from the early July to the early September, and the heating period is from the late September to the next first June.;우리나라는 緯度上으로 中緯度帶에 位置하여 季節의 變化가 뚜렷한 溫帶氣候에 속하며, 또한 거대한 Eurasia 大陸과 접하고 있어 大陸의 영향을 크게 받는 大陸性氣候이다. 그러므로 겨울과 여름의 심한 寒暑差로 인해 예로부터 自然的인 冷·暖房이 행해져 왔으나 文明의 發達과 더불어 여러가지 道具와 技術을 利用한 人爲的인 室內冷·暖房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室內冷·暖房에는 많은 에너지가 消費되나, 에너지 賦存資源이 극히 빈약한 우리나라는 많은 量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最大限度의 에너지節約과 合理的인 에너지利用이 절실히 要求되고 있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室內冷·暖房에 消費되는 에너지量을 推定하는데 利用되는 冷房度日과 暖房度日을 산출하여, 그 地域的 分布를 氣候學的으로 分析함으로써 各 地域에 대한 氣候環境을 파악코자 하였다. 冷·暖房度日은 適合한 基準溫度와 外部溫度와의 差를 積算한 값으로 冷房度日에는 24℃, 暖房度日에는 18 ℃를 그 基準溫度로 定하였다. 統計資料는 中央氣象臺에서 發刊한 한국기후표 기후 예년값(1951-1980년)과 기상분실 10년값( 1973-1982년 )을 使用하였으며, 冷·暖房度日의 變化를 살피기 위해 30年 以上의 觀測値를 가지고 있는 12個 地點을 택하여 '51년부터 '84년까지의 기상월보를 使用하여 統計 處理 하였다. 그 分析 結果는 다음과 같다. 冷房度日과 暖房度日의 地域的 分布에 영향을 주는 地理的 因子는 서로 다르다. 冷房度日의 分布는 緯度와 관계없이 地形과 高度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여 山間 內陸地方에서는 아주 적고, 內陸盆地에서는 아주 많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暖房度日의 分布에는 緯度와 水陸分布가 크게 작용하여 南海岸地方에서 북쪽으로 올라 갈수록 暖房度日이 많아지며, 內陸과 海岸地方과의 差가 심하게 나타났다. 또한 同緯度上의 東·西海岸地方間에도 그 差가 뚜렷하였고, 東海岸地方이 西海岸地方에 비해 더 많은 값을 나타내 溫暖함을 알 수 있었다. 冷·暖房度日의 經年變化에서 暖房度日은 冷房度日에 비해 그 變化幅이 크며 傾向性도 뚜렷하였다. 특히 1960年代의 汎世界的인 氣溫 低下 現象이 暖房度日의 經年變化에서도 나타나 그 變化傾向이 같았다. 冷·暖房度日의 特異年은 全國的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서 나타나는 傾向이 있으며, 寒·暖冬年, 署·冷夏年으로 구분되는 特異年은 上層 大氣 大循環과 밀접히 관련되었다. 冷·暖房期間과 冷·暖房日數에는 緯度·水陸分布·地形 ·高度등의 여러 地理的 因子가 複合되어 決定된다. 冷房期間은 中部 山間地方이 7月中旬에 시작하여 8月中旬에 마치고, 南部地方이 7月初에 시작하여 9月初旬에 마친다. 그리고 暖房期間은 中部地方이 9月下旬에 시작하여 6月初旬에 마치고, 南部地方이 10月初에 시작하여 5月中旬에 마친다. 그러므로 中部地方에 비해 南部地方이 약 한달정도, 暖房期間은 짧고 冷房期間은 길게 나타났다. 南韓의 冷·暖房度日의 分布는 地理的 因子에 의한 地域差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計劃 樹立時 氣候의 地域的 特色을 반영한다면 좀 더 效果的으로 그 目標를 達成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