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Even의 의미 분석

Title
Even의 의미 분석
Other Titles
Semantic Analysis of Even
Authors
崔素賢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Even의미 분석Semantic Analysis영어영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ven은 그 자체로는 해석하기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even이 초점을 결속하는 작용사(focus-sensitive operator)의 역할을 수행하여 even이 포함된 문장(even-sentence)과 초점에 의해 의미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즉 even이 구체적으로 의미하는 바는 even을 생략했을 때에 생성되는 문장의 의미에 따라 다르고 even이 사용된 문장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기준도 그 문장이 발화된 상황에 의존한다. Even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된다. 하나는 의미론적인 관점으로 even을 연구하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화용론적인 관점으로 연구하는 입장이다. 의미론적인 관점은 진리 조건적 의미론 (truth-conditional semantics)을 전제로 하는데 이 관점 또한 두 가지 접근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Even을 양화사로 해석하는 접근법과 합성성(compositionality)에 입각한 형식 의미론의 공식을 통해 even이 포함된 문장의 의미 표상(semantic representation)을 도출하려는 접근법이 그것이다. 그러나 even을 의미론적으로 고찰하는 관점에는 취약점이 다수 발견된다. 그 원인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even은 even을 생략했을 때의 문장의 의미나 화자와 청자가 공유하는 배경 지식에 따라 의미의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even의 절대적인 의미를 구하기가 어렵고 의미론만으로는 even이 지니고 있는 '놀라움'(surprise)의 의미를 제대로 포착할 수 없는데에 있다. 배경 지식에 의해 변하는 even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두 번째 연구 관점인 화용론을 도입할 수 밖에 없다. 대다수의 연구는 화용론을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것은 even이 포함된 문장의 적절성(felicity)의 여부를 판정내리는 것에 중점을 둔다. 그러나 필자는 의미론적 관점과 화용론적 관점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even의 의미를 분석하지 않고 두 관점을 상호 보완적으로 적용한 이론을 제시한다. 초점을 결속하는 작용사인 even을 해석하기 위해 먼저 초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Ⅱ장에서 일반적으로 초점과 배경을 각각 신정보(new information)와 구정보(old information)의 개념으로 정의하고 강세에 의한 초점의 자질 부여, 문맥에 의해 결정되는 문장의 강세, 그리고 초점의 투사 등 초점의 성격에 관하여 정리를 한 이후에 even과 초점의 관계를 규명하려고 한다. 이때 even과 초점의 관계가 임의적인 관계가 아니라 규칙적이고 항시적인 관계임을 보이기 위해 둘 사이의 피상적인 관찰뿐만 아니라 even과 초점이 맺고 있는 필연적인 통사적 관계까지 성분통어(c-command)의 관계로 규명한다. Ⅲ장과 Ⅳ장에서는 Even을 접근하는 두 방향을 각각 다루고 있다. Ⅲ장은 even이 진리값의 결정에 관여하여 의미론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론적 관점에 관한 내용으로, 먼저 Lycan(1991)과 Berckmans(1993)등 even을 양화사(quantifier)로 해석하려는 학자들의 이론을 중심으로 우선 분석하고 그 후에 형식 의미론의 체계를 토대로 하는 Krifka(1991)의 구조적 의미(structured meanings) 이론에 의해 even을 분석한다. Even을 구조적 의미 이론으로 분석한 경우 even을 양화사라고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Krifka(1991)가 제시한 even의 의미에 양화사를 도입한 것으로 보아 even에 양화사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간주했음을 알 수 있다. Ⅳ장은 even이 진리값에 관한 한 전혀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단지 화용론적인 의미 변화를 초래한다는 화용론적인 관점에 대한 기술이다. 먼저 even이 포함된 문장에서 even이 실제로 의미 변화를 야기하는지를 예문의 추론(inference)을 통하여 확인한 후 even이 부가하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하기 위해 even을 고정 함축(conventional implicature)으로 간주한 Bennett(1982)과 Francescotti(1995)의 이론을 위주로 적절성의 조건 을 구체화시킨다. Even의 사용의 적절성 여부는 상대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의미론만을 빌어서 완전히 해석하기란 불가능하고 Even의 상대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화용론을 차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Ⅴ장에서는 Ⅲ장에서 양화사적 의미와 결부시켜 채택한 구조적 의미 이론과 Ⅳ장의 함축 이론(Implicature Account)을 결합하여 even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두 관점을 결합시키기에 앞서 Fauconnier(1975)의 화용론적 가능성 등급(pragmatic probability scale)에 대해 설명하는데, even을 등급의 극단(end-of-scale)으로 보는 Fauconnier(1975)의 이론을 수정하여 even을 등급의 최저점에 인접한 것으로 간주한다. 본 논문은 결론적으로 even의 의미를 Krifka (1991)의 even에 대한 의미 공식에 Francescotti(1995)가 주장한 even이 포함된 문장의 적절성 판단 기준을 조건으로 첨가한 것으로 제안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ven semantically and pragmatically so as to derive from the analysis the meaning of even. Even functions as a focus-sensitive operator, which must c-command its focus, and thereby enabling even to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its focus. The anaysis of euen will be difficult due to the fact that even will be affected by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Moreover, the precise meaning of euen depends heavily on the meaning of the sentence in which even acts as an operator and the criteria for assessing the felicity of even-sentences lie in the context in which the even-sentence has been uttered. There have been two directions to take in studying even. One is the semantic point of view and the other is the pragmatic point of view. The former, based on truth-conditional semantics, tries to interpret even as a quantifier. Lycan (1991) claims that euen plays the role of a universal quantifier. Berckmans (1993) consents to the quantifier approach by concluding that euen acts as either a universal quantifier or an existential quantifier. Even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most-quantifier or a many-quantifier. Though each account is refuted, the quantifier approach itself will be maintained and elaborated. Krifka (1991) explains euen with the use of meaning postulates. Even though Krifka (1991) does not mention it explicitly, his meaning postulate of euen implies that he also falls in line with the quantifier approach. Krifka's (1991) meaning postulate of euen will later be modified to include Francescotti‘s (1995) felicity conditions of even-sentences. The wholly semantic point of view in analyzing the meaning of euen cannot capture the element of 'surprise' and the diverse meaning euen portrays in various contexts. In order to attain a full interpretation of euen, the introduction of the pragmatic point of view is essential. Most researches on euen are based on this latter point of view. It does not approve of the idea that euen affects the truth-conditions of sentences, but focuses on the felicity of even-sentences. Karttunen and Peters (1979), Bennett (1982), and Francescotti (1995) develop their theories on the basis of this viewpoint. Especially Bennett (1982) and Francescotti (1995) assert that euen makes a difference only in the conventional implicature of the sentence. It is meaningless to abandon one for the other because the two viewpoints are complementary. After giving an account of Fauconnier's (1975) pragmatic probability scale, a theory combining Krifka's (1991) formal meaning postulate and Francescotti's (1995) conditions on felicity will be proposed. Probability scale indicates that the focus of euen should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cale. A modified meaning postulate of euen is presented, with the help of Francescotti's (1995) concept of most linked with the revised version of the probability scale, which is that the focus of euen is required to lie sufficiently near the low end of the scale - that is, nearer than the majority of alternatives. As a conclusion, the semantics of euen can be stated as a combination of the modified meaning postulate of euen and the felicity conditions of euen-sentences supplemented by the explanation of the function of most, which appears in both the meaning postulate and the felicity. condi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