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趙穗亨-
dc.creator趙穗亨-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1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7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develops some reflective examinations of Christian ethics by using the feministic point of view. This attempt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from the feministic viewpoint and based on women's experiences those moral norms ruling cultures have regulated since women though accounting for the half of mankind have not been fully treated as they have to be, and by re-forming appropriate standards for both man and woman to apply them to the real, concrete moral problems. Unde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criticize the 'justice' moral philosophical thoughts and Christian ethics that have centrally put stress on from the feministic point of view, and will present feministic morals. Feministic ethics starts from women's concrete experiences, analyzes women's suppressed situations, and makes efforts to eliminate them. From the feministic viewpoint, and as an attempt to challenge traditional ethics, this study will introduce the 'Ethic of Care". Ethic of care was developed by Carol Gilligan when she pointed out that the existing morality had been studied exclusively with that of man while she was studying her instructor Lawrence Kohlberg's theorie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hlberg's conclusion. In Kohlberg's theory women are inferior to men in moral judgement. Gilligan came to find out that women's moral inclination to care, attachment, and sympathy with other people's needs is common than men. However, since women's inclination had been traditionally regarded as their natural merit Kohlberg applied men's traits in moral judgement setting up justice or independence as a barometer of moral maturity to his studies on women. So Gilligan presented "the angle of caring" in contrast to Kohlberg's "angle of justice" materializing those forms of moral judgement on the basis of moral principles of justice. This viewpoint of Gilligan was developed further by Nel Noddings, who attempted feminine approaches to ethics to re-construct the existing ethics founded on masculine prejudices. Noddings pointed out the limitation of ethics developed only by men's prospective and tried to expand the realm of ethics by evolving ethical discussion with the woman's view. She called this attitude of study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The ethic of care she claimed starts from the moral experiences or intuition which come from the true nature of woman. Everyone possesses certain desire to care other people and when they subjectively decides or acts according to the ethical ideal of caring they feels the sense of moral achievement in some degree. Noddings thought the caring heart is general to everyone not only to woman and memories of caring or caring relationship become the root of our ethical behaviors. The author of this study have critically investigated the ethic of justice on the basis of caring, and then has chosen domestic violence as a subject of study. Because, under Korean circumstances, those who need caring most are mothers, daughters silently being assaulted at home. The merit of caring has been imposed on women as their responsibility in the hierarchic family order, but the fact that those who need caring desperately have been overlooked in Christian tradition. So the author of study, while trying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wives being beaten and calling Christianity to account husbands' beating their wives, began to realize that, beside tradition theologies, even family system has also aggravated inequality between man and woman and forced women to tolerate domestic violence silently. Noddings explained her feminine approaches to ethics ultimately aimed at dialectic discourses to transcend masculinity and feminality. That is, under the circumstance of masculine domination and sexual distinction, to recover genuine equal relationship freed from that of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rather to turn over the existing system of domination. Also, caring is essential for today's moral crisis, therefore caring itself should be saved from its role of suppressing women and should be developed together with justice. The author of this study agrees to Nodding's contention that justice and caring should accord with each other, and proposes Walter Muelder's personalistic communitarianism as one echical model. Personalistic communitarianism answers the question why caring must harmonize with justice. That is because man is the most precious being, so there's no need of sexual distinction. This is well manifested in Muelder's moral laws in which ethics of caring is essential to carry out personal, altruistic, and ideally personalistic morals and furthermore to construct ideal community. To realize justice, we must establish caring: and to realize caring, we must establish justice. Justice and caring are in indispensable relation and to be united, and in this respect personalistic communitarianism provides the possibility of their union. Therefore, justice and caring are not in antagonistic but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 and seeing this in the context of intersexual relationship, we must cast off imposing caring upon women and justice upon men and rather emphasize caring to men and justice to women to unite the two sexualities. For recovering genuine equal and harmonious human relationship no longer treating one part of both sexes as superior or inferior, Christian's ethical maturity and some changes in church or society are required. For this, the church should carry out active caring for isolated wives being beaten at home in recompense for God's and Jesus Christ's concrete caring behaviors toward human.;본 연구는 여성해방론적인 시각을 사용하여 윤리학의 성찰작업을 전개한다. 이러한 시도는 여성해방론(feminism)에서 통찰력을 얻어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인류의 반인 여성들의 경험과 시각에서 지배문화가 형성해 온 윤리적 규범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남성과 여성모두에게 적절한 규범으로 재형성하여 현실의 구체적인 윤리문제에 적용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는 철학사상과 윤리학에서 핵심적으로 다루어 온 '정의'의 윤리를 여성해방론적 시각에서 비판하고, 여성해방 윤리를 제시한다. 여성해방 윤리학은 여성의 구체적인 경험에서 출발하고 여성의 억압상황을 분석하여 이를 근절시키기 위해서 노력한다. 여성해방 윤리에도 많은 다양한 성향들이 있겠으나, 본 논문에서는 윤리규범을 포장하고 있는 남성중심적 해석과 적용에는 비판적으로 도전하되, 그 내용에 있어서는 기독교의 복음에 기초한 윤리규범으로 윤리적 결단과 행위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기독교 윤리학과 연속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여성해방적 시각에서 전통윤리에 도전을 가하는 시도에서 '보살핌의 윤리'의 도입을 시도한다. 여성해방적인 윤리규범으로서 '보살핌의 윤리'를 선택한 것은 기독교윤리와 사회과학의 의미 있는 만남을 수립하려는 시도에서이다. 보살핌의 윤리는 하버드의 발달심리학자인 캐롤 길리간(Carol Gilligan)이 그녀의 스승인 콜버그(Lawrence Kohlberg)가 인간의 도덕성이 발달하는 과정을 연구함에 있어서, 여성을 배제한 남성의 도덕성만을 연구하였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서 발전되었다. 길리간은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도덕적 판단에 있어서 열등하다고 본 콜버그의 연구결과에 대해 의문을 품고 여성들의 도덕성을 연구한 결과, 여성들에게 보살핌, 애착, 다른 사람의 필요에 대한 감응성 등의 도덕적 성향이 남성들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여성들의 덕으로 규정되어 온 특성 때문에 콜버그의 연구에서 여성들이 도덕발달단계에서 열등하게 판단된 것은 콜버그의 정의와 독립성을 도덕적 성숙의 척도로 삼는 남성들의 도덕판단의 경향을 인류의 보편적인 도덕판단형태로 보고 여성들에게 적용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그녀는 정의의 도덕원리에 근거해서 도덕판단형태를 유형화한 콜버그의 '정의의 입장'에 대비되는 '보살핌의 입장'을 제시하였다.주석1) 그리고 이러한 길리간의 연구를 발전시킨 나딩스(Nel Noddings)는 남성적 편견에 근거한 기존의 윤리학을 재구성하기 위해 윤리학에 대한 여성적 접근을 시도하였다.주석2) 나딩스의 보살핌의 윤리의 입장을 지지하는 여성윤리학자들은 콜버그의 기본전제인 정의의 윤리의 문제점을 여성의 관점에서 비판하고 있다. 보살핌의 입장에서 볼 때 정의의 윤리는 주로 공적인 영역에 속한 남성들의 도덕적 경험만을 고려하고 여성들의 도덕적 경험은 고려하지 않았을 뿐아니라 여성들을 도덕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보는 기존의 편견을 강화하였으며 도덕적 지식의 유일한 원천을 이성으로 보았다. 또한, 정의의 윤리는 개인의 특수한 상황과 경험을 고려하지 않고 보편적인 원칙과 의무만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인간의 존재론적 본질인 관계성을 무시하는 개인주의적 인간관에 지나치게 의존한 결과 도덕적 행위의 관계적 측면을 간과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나딩스는 남성의 관점으로만 전개된 윤리학의 한계를 지적하고 여성의 시각으로 윤리적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윤리학의 영역을 확장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자신의 작업을 그녀는 윤리학에 대한 '여성적(feminine) 접근'이라고 부른다. 그가 주장한 "보살핌의 윤리"는 여성들의 본성에서부터 나오는 도덕적 경험이나 직관을 그 출발점으로 한다. 사람들에게는 다른 사람을 돌보려는 욕구가 있는데, 보살핌(caring)이라는 윤리적 이상에 따라 주체적으로 결단하고 행동할때 도덕적 행위자는 성취감을 갖는다는 것이다. 나딩스는 보살핌의 정서를 여성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인 것으로 보고, 보살핌의 기억과 보살핌의 관계가 우리의 윤리적 행동에 있어 근원이 된다고 본다. 필자는 보살핌의 윤리에 근거하여 정의의 윤리를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당면한 윤리적 문제들 중 가정내의 아내구타를 선택해서 볼 것이다. 그 이유는 바로 한국적 상황에서 가장 보살핌을 필요로 하는 여성들이 바로 우리의 어머니요 딸들, 즉 가정에서 소리 없이 매맞는 아내들이기 때문이다. 보살핌이라고 하는 덕목은 위계적 가족질서 내에서 여성에게 부가된 책임이었으나, 정작 보살핌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 바로 우리의 어머니들이라는 사실은 기독교 전통 속에서 간과되어 왔다. 매맞는 아내들의 숨겨진 실태를 파악하고, 정직한 잣대로 아내구타를 방관케 했던 기독교의 책임을 묻는 과정에서 남성중심의 성서해석과 가부장적인 하나님의 이미지, 그리고 전통적 신학이 교회는 물론, 가족 내에서 불평등을 조장하고, 가정폭력에 대해 여성들을 침묵케 했던 근원이 되었음을 반성해야 할 것이다. 본문의 마지막 부분에서 필자는 여성과 남성이 평등한 인격적 공동체주의를 실천함으로 정의와 보살핌이 함께 조화를 이룬 교회공동체를 지향한다. 이때 정의와 보살핌은 서로 궁극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한 도구의 역할을 한다고 보고 정의와 보살핌의 화해를 모색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범위 = 4 Ⅱ. 정의의 윤리의 발달 = 6 A. 칸트의 윤리적 토대 = 7 B. 롤즈의 정의론 = 11 C. 콜버그의 정의의 윤리 = 15 Ⅲ. 보살핌의 윤리의 발달 = 20 A. 보살핌의 개념에 대한 이해 = 20 B. 길리간의 보살핌의 도덕성 = 23 1. 여성차별적인 도덕성 발달에 대한 비판 = 24 2. 보살핌의 도덕성의 발달과정 = 26 C. 나팅스(N. Noddings)의 보살핌의 윤리 = 33 1. 윤리학에 대한 여성적 접근 = 33 2. 보살핌의 윤리의 정립 = 35 D. 정의의 윤리에 대한 보살핌의 윤리의 비판 = 43 E. 보살핌의 윤리의 한계와 의의 = 47 Ⅳ. 보살핌의 실천적 과제- 아내구타문제를 위한 보살핌의 실천을 중심으로 = 53 A. 아내구타의 정의 = 54 B. 아내구타의 실태와 분석 = 55 1. 아내구타의 실태 = 55 2. 아내구타의 원인 = 60 3. 아내구타에 대한 잘못된 통념들 = 65 C. 가정내의 불평등과 기독교의 책임 = 67 1. 유대의 가부장전통 = 67 2. 희랍의 이원론 형성과 기독교의 성차별 = 69 3. 이원론에 근거한 전통기독교의 가부장적 인간학 = 72 4. 잘못된 성서해석의 오류 = 74 D. 보살핌의 실천을 위한 교회의 응답 = 79 1. 정의와 보살핌의 만남 = 79 2. 정의와 보살핌의 실현을 위한 인격적 공동체주의 = 87 3. 보살핌을 실천하는 교회공동체 = 91 Ⅵ. 결론 = 95 A. 본문 요약 = 95 B. 연구의 제한점 및 과제 = 98 참고문헌 = 99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265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의-
dc.subject화해-
dc.subject보살핌-
dc.subject윤리-
dc.subject성찰-
dc.subject대안윤리-
dc.title보살핌의 윤리에 대한 성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정의와 보살핌의 화해를 위한 대안윤리의 모색-
dc.title.translatedReflection on the Ethics of Caring : Exploration of alternative ethics for the reconciliation between justice and care-
dc.format.pageviii, 10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