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강호가사의 변모과정 연구

Title
강호가사의 변모과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ariational process of Gang-Ho Gasa(江湖歌辭)
Authors
安彗鎭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강호가사변모과정누정계초당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강호가사의 전반적 모습과 변모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의가 무엇인지 밝히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조선 시대 사대부 문학으로 당대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강호가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정 시기, 특정 작품에 치중된 연구에서 벗어나 전 시기의 작품을 두루 살펴보는 것이 요구되며, 또한 강호가사가 조선 전기에서 후기까지 걸친 역사적 장르라는 사실에서도 통시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논의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는 논의의 전제적 측면으로 강호가사의 개념을 규정하고 논의에 적합한 연구 범주를 설정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대상작품들이 조선 전기에만 치중되어 있어 후기까지 아우르는 고른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역사적 흐름 속에서 강호가사를 살핀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는 점에서 강호가사의 통시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강호가사의 전반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작품의 유형화를 통해 누정계와 초당계 가사를 설정하고 연구 대상을 이에 한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앞서 설정한 누정계 가사와 초당계 가사의 특성을 실제 작품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누정계 가사에서 누정은 자연완상의 이상적 공간으로 형상화되고 있으며, 자연 완상의 흥취 끝에 연군의식이 표출되고 있다. 그리고 자연은 도의 구현체로서 관념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초당계 가사에서 초당은 일상적 삶을 위한 이상적 공간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가족과 친지를 대표하는 가문의식이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자연 또한 감각기관을 통해 구체적, 실질적으로 인식되며 풍류의 대상으로 드러나고 있다. Ⅲ장에서는 앞 장에서 논의한 누정계 가사와 초당계 가사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직접 대비해 그 차이가 지니는 역사적 의미를 밝히고, 누정계, 초당계 가사를 통해 강호가사의 전개과정을 살폈다. 강호가사의 전개과정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강호가사의 움직임을 보다 면밀히 고찰하고 유형화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누정계와 초당계 가사 외의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 검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강호가사의 전개과정에서 드러나는 변모가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누정계, 초당계 가사에서 보이는 뚜렷한 대조적 특성은 건물의 차이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담당층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다. 누정계 가사의 작자층이 전형적 사대부라고 한다면 초당계 가사의 작자층은 향촌 사대부로 나타난다. 이러한 담당층의 차이는 당대의 상황 속에서 변모한 사대부의 존재양식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며, 바로 작품 세계의 특성과 직결된다. 따라서 두 유형이 보이는 대조적 차이는 변모로써 의미를 지닌다. 이것은 강호가사의 전개과정을 이 두 유형을 통해 볼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준다. 강호가사는 15세기 말 상춘곡류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그 확립은 누정계 가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누정계 가사는 성리학적 이념에 입각한 작품 세계를 구현하고 있으며 후대 강호가사의 구성적, 내용적 틀을 마련해 주었다. 17세기는 강호가사의 융성시기이다. 이 때는 누정계 가사와 상춘곡류가 병행되어 발전하였다. 아울러 누정계의 특성이 상춘곡류에 해당하는 작품에서 드러난다는 점에서 누정계 가사의 확대를 보여준다. 18세기에 이르면 강호가사가 쇠퇴하는 가운데 그 담당층이 향촌 사대부로 하향하며 작품의 내용적, 구성적 측면에서도 변모가 나타났다. 이러한 변모의 조짐은 일부에 국한된 전대 작품에서 드러나고 있다. 초당계 가사의 출현은 강호가사의 변모에 대한 뚜렷한 증거이다. 이후 강호가사는 현실을 초월한 은일성이 강화되거나 아예 실생활과 밀착된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소멸하였다. 역사적 흐름 속에서 강호가사는 담당층이 전형적인 사대부에서 향촌 사대부로 하향을 보이고 있으며 작품세계 또한 성리학적 이념에 충실하던 관념적 세계에서 구체적, 경험적 세계관으로의 변모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강호가사의 변모 과정은 조선 전기에서 후기로 나아가는 사대부 가사의 동향과 일치하는 동시에 관념적 세계에서 일상적 세계로 개방되는 가사문학의 흐름과도 맥락이 닿는다. 또한 강호가사의 변모를 강호시가사적 차원에서 바라볼 때, 강호시조와 강호가사를 아우른 강호시가의 주된 변모의 흐름을 조망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ous aspects, variational process of Gang-Ho Gasa and to make clear the meaning of this. To fully understand Gang-Ho Gasa which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historical context of Sadaibu(士大夫) Literature during the Choson Dynasty, it is important to examine Gang-Ho Gasa in depth and across-the-board rather than only focus on a specific period of it. Studying over an extensive period of Gang-Ho Gasa highlights the historical context of it. The process of discussion is as follows ; Firstly, in the introdution , there are two aspects of Nujunggue Gasa(樓亭係 歌辭) and Chodanggue Gasa(初唐係 歌辭), and category. Previous scholors explored the former period and it was deemed inadequate in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Gang-Ho Gasa. So,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Gang-Ho Gasa, a chronological study is needed. To identify with key aspects of Gang-Ho Gasa more easily, I suggested dividing Gang-Ho Gasa into two parts. I selected one in between and divided it into Nujunggue Gasa and Chodanggue Gasa. In chapter Ⅱ, I investigated the key features of Nujunggue and Chodanggue Gasa through the analysis of them. In Nujunggue Gasa, Nujung(樓亭) is regarded as the place for enjoyment of nature and there an appreciation for the king in the end of the enjoying nature. The nature is perceived as intermediary of Chunlee(天理). In Chodanggue Gasa, Chodang(草堂) is considered the place for average life and there is a sense of family. Nature is perceived as intermediary of enjoying beauty through the senses. In chapter Ⅲ, I compared with Nujunggue and Chodanggue Gasa, and examined the development of Gang-Ho Gasa in the historical context. In considering the evolution of Gang-Ho Gasa, I explored other works such as Sangchungoglue(賞春曲類). In addition, I dealt with the meaning of variation of Gang-Ho Gasa and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contrasting features of Nujunggue and Chodanggue Gasa ar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the author's class. The difference of the author's class is connected with the variation of Sadaibu according to the historical context. So due to this variation, strong differences in Gang-Ho Gasa have resulted. This fact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Gang-Ho Gasa through Nujunggue and Chodanggue Gasa. Gang-Ho Gasa was concieved by Sangchungoglue in the 15th century, but the establishment of Gang-Ho Gasa was made by Nujunggue Gasa. Nujunggue Gasa was based on the Sadaibu's ideology and offered the form of Gang-Ho Gasa. In the 17th century was height of prosperity of Gang-Ho Gasa. At that time, Nujunggue Gasa was parallelled with Sangchungoglue. And we could see the expansion of Nujunggue Gasa for Nujunggue Gasa's features in Sangchungoglue. In the 18th century, Gang-Ho Gasa varied and it was written by Hyangchon Sadaibu(鄕村 士大夫) who parted from Sadaibu. We could see the variation of Gang-Ho Gasa. Most of all, Chodanggue Gasa gave proof of the variation of Gang-Ho Gasa. In recent history, the Gang-Ho Gasa's authors varied from the typical Sadaibu to the Hyangchon Sadaibu and the world of works also varied from the ideological world which was based on Sungleehag(性理學) to the real experiential world. In conclusion The variational process was not only in accord with the variational process of Sadaibu Gasa, but also corresponded with the variational tendency of Gasa. Besides, we could see the main variational process of Gang-Ho Siga(江湖詩歌) through th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