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정애-
dc.creator서정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4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450-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starts with the idea that although ultrasound, medical image technology, plays a critical role in prenatal care, the experiences of most women have not been reflected in previous studies. In this respect, this paper is designed to analyse the influences of ultrasound on pregnant women, and to study their attitudes and implications towards it. Three questions were raised to deal with these issues: First, how is ultrasound image related to a woman's perception of her pregnancy? Second, how do doctors intervene in a woman's pregnancy experiences? Third, how do scientific and medical approaches to pregnancy relate to ultrasound and can women be free from the control of medical institutions? The research techniques used for this paper consisting of depth-interview of pregnant women, obstetricians, and mid- wives have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While Fetal ultrasound image is closely connected to the establishment of early experiences of pregnancy, a stage in which fetal movements are not felt by pregnant women, the knowledge of a woman's experience is based on doctors' interpretation of the fetal image. Because ultrasound plays such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scientific'' knowledge of pregnancy, a woman's experience of her own pregnancy and fetus is considered less important. With the advanced technology of image, pregnant women are able to see thier fetus more vividly, realizing the oncoming responsibilities of motherhood. But they' also - must worry about the risks concerned with frequent use of ultrasound, and experience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the ultrasound. Because these experiences stay within the paradigm of authoritative medical institutions, they do not appear to be resistant. As a result, it might be fair to argue that a woman's response to the fetal images be reliant on the interpretation of a medical authority.;본 연구는 대표적인 이미지의료기술로서의 초음파검사가 정기적인 산전관리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것에 대한 대다수의 여성들의 경험이 기존의 연구에서 드러나고 있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글은 초음파검사가 여성들에게 미치는 직접적인 의료기술의 혜택과 위험성에 대한 논의라기보다는 초음파기술이 구체적인 맥락에서 여성의 임신에 관한 경험과 어떤 관련을 갖는가 즉 태아이미지가 임신한 여성들에게 어떠한 사회, 문화적 효과를 결과하는가에 중심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여성들의 임신경험에 초음파기술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토하고 이것이 여성들의 몸에 대한 태도, 자기결정권과 관련해서 어떠한 함의를 갖는가 하는 것에 초점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아초음파이미지가 여성들이 임신경험을 인지하는데 어떻게 관련되는가? 둘째, 여성들의 임신경험에서 의사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개입하고 있는가? 태아이미지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의사들은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가? 셋째, 임신에 대한 과학적이고 의료적인 접근과 초음파검사와의 관련은 어떤 것이고 이러한 지식은 여성들의 임신경험을 자율화하는가 아니면 제도적으로 통제하게 되는가? 임신한 여성들과 산부인과 의사, 조산원과의 심층면접을 사용한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태아를 가시화하는 초음파기술은 여성들의 몸에 대한 경험을 새롭게 구성한다. 여성들은 태아의 존재와 성장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미지에 대한 강한 신뢰를 갖는다. 태동이 느껴지기 이전인 임신 초기에 있어 태아이미지는 여성들의 직접적인 신체적 경험보다 확실한 임신의 증거를 제공한다. 그렇지만 초음파이미지를 통해 형성되는 여성들의 경험은 의사들의 이미지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가능한 것으로 이것은 의사들의 권위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물론 여성들이 이미지를 단순히 응시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를 통하여 태아를 더 현실적으로 지각하고 새로운 모성경험을 갖지만, 이러한 여성들의 행위가 의료의 패러다임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의료지식과 기술의 권위에 종속되어 있다고 하겠다. 다시말해 행위적 차원에서 여성들이 이미지기술에 대한 타협과 저항을 하지만, 의료자체의 권위, 과학과 기술에 대한 신봉 등으로 인하여 이미지가 전달하는 의미나 효과에 대한 여성들의 반응과 문제제기가 현실적으로 무력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여성들의 임신경험과 의사들의 권위를 강화하는데 관련을 갖는 태아이미지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갖는다. 우선 태아가 보여지기 시작하면서 태아는 여성의 정서적, 신체적 몸의 통합적인 일부가 아닌 분리된 존재로서 등장한다. 가시적인 이미지의 사용을 통해서 태아는 여성들의 몸으로부터 분리된 존재로 인식되고 있는 반면 여성의 몸은 비가시화되고 수동적으로 위치되고 있다. 다음으로 초음파가 임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위치를 확보함으로써 여성들의 임신과 태아에 대한 의견이나 진술 등이 덜 중요한 것으로 취급된다는 점이다. 여성들은 자신들의 몸의 경험에 대해서는 침묵하게 되고 이미지를 통해서 몸의 '정상성'을 확인 받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 5 Ⅱ. 연구의 배경 = 9 A. 이론적 배경 = 9 1. 의료기술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 9 2. 이미지의료기술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판 = 11 B. 산전관리와 초음파 = 20 1. 초음파기술의 산과적 적용:기술적 효과와 한계 = 20 2. 우리나라의 산전관리현황:서구적 의료문화의 형성 = 24 Ⅲ. 초음파검사를 통한 여성들의 임신경험 = 32 A. 임신확인기술로서의 초음파 = 32 B. 이미지를 통한 임신과 모성경험 = 36 1. 태아존재와 성장의 확인 = 37 2. 몸을 통한 느낌과 이미지의 경합 : 태동 이후 = 46 Ⅳ. 의료적 권위강화와 초음파기술 = 52 A. 임신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제공 = 52 1. '객관적' 현실로서의 임신: '제대로' 된 임신 = 52 2. 임신에 대한 불확실성의 보완 = 55 (1) 태아의 '기형': '확신' = 55 (2) 태아의 성별성: 태아성감별 = 58 B. 의료적 권위의 강화 = 61 1. 이미지 해석자로서의 의사의 역할 = 61 2. 의사에 대한 권위의 강화 = 66 (1) 전통적 임상기술의 대체: 시각적 기술의 전개 = 67 (2) 임신에 대한 의사의 통제 = 68 (3) 가부장적 모성에 대한 지원 = 72 Ⅴ. 몸의 경험에 개입하는 의료기술: 타협과 저항 = 76 A. 여성의 몸으로부터 분리된 존재로서의 태아경험 = 76 1. '인격'으로의 태아지각 = 76 2. 모성책임의 연장 = 78 B. 초음파에 대한 불안과 '불편함':의학지식의 권위에 대한 갈등 = 82 1. 초음파의 과용과 유해성에 대한 불안 = 82 2. 초음파기술사용에 대한 '심정적 거부' = 84 Ⅳ. 결론 = 88 참고문헌 = 93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192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초음파기술-
dc.subject여성-
dc.subject임신경험-
dc.subject태아이미지-
dc.title초음파기술이 여성들의 임신경험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태아이미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ultrasound on a woman's experience of pregnancy : with a focus on the fetal image-
dc.format.pagev, 10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